머리말
순수이성비판-형이상학의 기초

순수실천이성비판-도덕형이상학의 기초


1 도덕에 대한 평범한 이성 인식에서 철학적 이성 인식으로 넘어감

-인간은 도덕이성을 갖고 있다

 행복은 본능이 가장 안다

 행복보다 가치있는 다른 의도가 있다는 이념이 감추어져 있다.

 이성의 진정한 사명은  자체로 선한 의지를 만들어내는

 의무란 법칙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어떤 행위를 밖에 없는

 실천적 판단능력은 평범한 인간이성안에서도 훌륭히 일을 수행한다.

 경향성과 이성 사이에서 자연의 변증법이 생겨 경향성을 옹호한다

 이것에서 지키기 위해 실천철학을 필요로 한다

2 대중적인 도덕 철학에서 도덕 형이상학으로 넘어감

-의무의 근거는 자율성에서 나온 정언명령
 

[의무이기에 한다] 것은 경험되어지느냐가 아니라 이런 명령이 존재한다는 것이 중요

 의무의 지시를 내리는 근거는 순수하게 이성에 바탕을 선험적인 도덕 형이상학이어야

 의지(실천적 이성) 원칙에 따라 행위하는 능력

 의지가 객관적 이성에 따르도록 강제하는 것이 명령법이다.

 정언적(무조건적) 명령법은 의도를 고려하지 않는 객관적 필연에 의한 명령  

 *숙달의 규칙-skill,뚜렷한 목적 아래 방법론

 *영리함의 충고-처세술,목적이 주관적이어서 권고적임, 자체로는 방법론

 *도덕의 명령-당위, 선험적 필연성

 정언적 명령은 [보편적 자연법칙으로 삼으려고 있는 그런 준칙에 따라 행위하라]

 

 최소한의 의무(사소하고 불가피한 예외를 인정한다는 )라는 개념은 정언적 명령을 인정

 정언명령의 기초는 인간본성에서 찾을 없음-순수 실천이성이 필요

 의지는 목적을 따른다. 인간은 목적 그자체로 존재하는 것이지 의지의 수단으로가 아니다

 인간이 목적 그자체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객관적이면서도 최상의 실천의 근거이다

 *자살하지 않으려면(자기자신에 대해)

 *거짓 약속의 비난이유(타인에 대해)

 *자기계발의 필요성(우연히 칭찬받을 의무, 인간성(목적) 향상)

 *기부행위(타인의 인간성을 위한 적극적 노력

 

 보편적 법칙을 주는 의지는 이성적인 존재 각각의 의지

 (자기자신에게서 나온 법칙 cf.루소의 사회계약론)

 목적의 나라와 조화

 *목적의 나라- 자기자신이 주는 보편적 법칙 아래 결합(자율성)

                     동인은 도덕성() 요구하는 존엄성(가격에 대비하여) 때문

자율성의 법칙과 일치하는 의지는 선한 절대의지(신의 의지)이다

선하지 않은 의지가 자율성의 원칙에 의지하는 -구속력

구속력 때문에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 객관적 필요성-의무

 

*도덕성의 최상 원칙인 의지의 자율성

  자율성의 명령->정언적 명령법-> 도덕성의 원칙

*도덕성에 대한 모든 사이비 원칙은 의지의 타율성에서 생긴다

  다른 어떤 것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어떤 것을 해야한다면 가언적 명련
*
타율성을 근본 개념으로 받아들이면 나올 있는 도덕성의 모든 원칙을 분류

  경험론-행복을 위한 경험에서 나온 도덕적 감정을 기초로함

  합리론-완전성을 위한 합리적으로 도출된 자랍하는 완전성(신의 의지) 기초로

자율성 도덕성의 정당성은 선험적 필연적이라는데 있다-> 순수실천이성비판

3 도덕 형이상학에서 순수 실천이성 비판으로 넘어감(이성-자유-도덕)
1.
자유라는 개념은 의지의 자율성 설명하는 열쇠이다

  의지가 모든 행위에 있어 스스로 법칙이 (자유-도덕)
2.
자유는 모든 이성적인 존재의 의지가 갖는 속성으로서 전제되어야 한다

  이성은 바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기의 원칙을 창시하는 ]

  이성-자유
3.
도덕성이라는 이념에 붙어 있는 관심에 대하여

  자유는 인간의 본성안에서 찾을  없다

  도덕-관심-감성과 오성을 전제하게 -이성의 자기발견

  결정되어 있는 감성계의 원인에서 독립된 자유가 존재한다 

4. 정언적 명령법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가

   지성계에 속하는 작용원인-의지

   감성계(해야하는 ) 속해도 지성계(하려하는 ) 복종함

5. 모든 실천 철학의 한계에 대하여

   자유와 자연의 모순 해결

   사물은 법칙에 복종하나 물자체는 법칙에 독립한다

   실천이성은 지성계에 의지의 대상까지를 끌어들일 없다.

   지성계는 관점일 뿐이다. 형식의 조건 의지의 자유를 따른다

   도덕적 감정(관심) 이성의 법칙이 의지에 작용한 것이지 결코 도덕 판단의 근거가 아니다

   법칙은 우리 의지에서 생겼으므로 우리에게 적용됨

   자유의 가능성과 도덕적 관심으로의 전환은 설명할 없다 (주어졌다)

   정언적 명령은 필연적인 것임을 개념으로 파악할 없다.

  

맺는
정언적 명령은 자유를 의도할 필연적 결론이다.

하지만,이성으로는 인간이 도덕적으로 살아야만 한다(정언적 명령) 이유(필연성) 찾을순 없다.

해제-자유로운 인간을 위한 도덕
1.
칸트의 철학과 '기초 놓기'
2.
칸트의 철학이 노리고 있는

3.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놓기> 대하여
(1)
머리말
(2)
1 도덕에 대한 평범한 이성 인식에서 철학적 이성 인식으로 넘어감
(3)
2 대중적인 도덕 철학에서 도덕 형이상학으로 넘어감
. 보편적인 법칙
. 목적으로서의 인간성
. 자율성과 '목적의 나라'
(4)
3 도덕 형이상학에서 순수 실천이성 비판으로 넘어감

4.
칸트의 도덕 철학이 갖는 현대적 의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