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력 비판 쉽게 읽는 철학 6
디터 타이헤르트 지음, 조상식 옮김 / 이학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93년 칸트 3대 비판서의 마지막으로 저술된 이 책은 그의 비판철학의 마침표이자 오성과 의지, 판단을 엮어내는 인간 이해의 칸트적 완성본이다. 이런 그의 책을 일반인도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 책은 쉽게 칸트의 생각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미덕을 갖고 있다.

이 책은 원전의 순서대로 미적 판단력,숭고의 분석,목적론적 판단력비판으로 되어있으나 비교적 [아름답다라는 진술]은 무엇인가를 밝히는 취미판단과 압도당하는 느낌인 숭고의 분석에 지면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 칸트에게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주관적이지만 어느 정도의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다. 어느 것이 꼭 옳다라고 말할 수 없지만 말이다. 이 들어맞는다는 느낌(근사하다)이 질료적 경험이 배제된 순수한 의미의  취미판단이다.  숭고는 압도당하는 느낌이다.상상불허의 이 감정은 도리어 우리의 무제한성(이성의 능력과 실천이성의 존재)을 상기시켜 쾌로 이끈다. 

칸트는 이런 보편적 판단의 근저에 순수 미적 판단의 보편성 필연성이 존재함을 보이며 그의 논의를 이끌어간다. (이런 공통감은 인간의 상호이해와 연대감을 가능케 한다. 그래서 미는 철저히 사회에서만 의미가 있다.)  미적 경험은 미적 관점의 세계와 표준적인 방식에서 조화를 이루는 인간지성의 자기반성이다. 미는 오성과 상상력의 조화이고, 실천판단에서는 의지가 보편이성 법칙의 규준에 의거하여 자신과 합치된다. 이런 유사성은 오성과 미적 판단을 묶어준다. 결국 미와 이성과 실천인식간의 이런 통합은 합목적적인 세계현상의 관점아래 주체 인식능력을 강제성 없이 결합한다는 것이다. 분열되지 않는 자기통합이다. 피히테 식으로 말하자면 절대의지의 관점 아래에서, 진정한 인간의 자기통합, 즉 미적 만족, 오성의 질서, 도덕의 유의미적 실천이 가능해진다는 말이다. 칸트는 미적 판단에서 시작한 인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이 인식할 수 밖에 없는 [합목적적 절대의지]를 드러나게 한 것이다.

자연과학에 있어 생물체안의 인과적 메카니즘은 작동의 원리를 설명한다. 그러나 인과적 설명은 有機體에 대한 목적론적 설명 연후에야 가동이 가능하다.  기계론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그렇게 할 수도 없다는 이율배반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은  담론적 인간오성이 사물들이 구성주체에 의해 산출되는 인공적 메커니즘인 것처럼 가정하며 사유함으로 해소된다. 누군가 배후에 있다는 설명 이후에 가능한 기계론적 이해라는 것이다.

이 자연의 목적은 무엇인가? 인간이다. 인간은 이 자연의 최종목적으로, 합목적적으로 자연의 목적 체계를 만드는 유일한 존재인 셈이다. 자연에 대한 책임을 알고 있다면 그는 자연을 자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인간이 최종목적이라는 것은 이런 위계의 질서를 지킬 책임을 알려주는 것이며, 이 책임은 다시 실천이성을 요구하여 절대의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칸트의 이런 오성과 판단의 전체윤곽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은, 하나의 화살표처럼 인간안에 있는 절대자에 대한 선험적 지각과 인간존재의 의존성을 드러내준다. 미에 대한 판단과 숭고에 대한 경외감,대상에 대한 의미부여,도덕에 대한 의지, 오성의 선험적 틀들은 절대자의 존재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칸트는 여기까지가 인간오성이 자신의 숲길을 헤쳐가야할 마지막 지점이라고 말한다. 그 너머에는 계시만이 가능한 영역이다.그를 따라 다니다보니 계시앞에 더욱 겸손해짐을 깨닫는다.안내자가 겸손한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