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루소는 [진정한 국가]의 재건을 이야기한다. 중세와 절대주의 시대의 군주주의라는 어처구니 없는 전통을 깨고 원래 의미의 국가를 찾고자 한다. 그래서 진정한 의미로서의 국가가 무엇이며 어떤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에게 가장 바람직해 보이는 정치유형은 귀족정치이며, 회귀의 모델은 로마이다. 이 책에서 루소는 계약에서 출발하여, 여러국가의 상황에 맞는 정부의 형태와 인류역사의 경험상 인간이 이기적이고 탐욕적이라 하더라도 잘 운영될 수 있는 실행의 방법들을 제시한다. 그는 아무래도 소수의 비이기적 엘리트가 가장 적합하다는데 끌린다. 이런 시각은 여전히 니체와 여러 정치사상가에서도 발견되는 역사 속의 꾸준한 관점 중 하나이다.

루소의 재미난 점은 이런 논의의 중심에서 그리스도인들을 무대에 등장시킨다는 것이다. 인간의 이기심의 기반위에서도 인간전체를 위한 유익하고 균형잡힌 국가, 국민을 위한 국가, 비교적 무식한 사람은 무식한대로 ,똑똑한 사람은 똑똑한 대로 만족스런 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데... 이것에 대해 반기를 드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그의 마지막 장 [시민종교](국가와 결합된 형태의 기독교를 뜻한다)는 전체논의중 부가적인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길고,루소의 어조 또한 단호하다. 루소의 의견에는 이미 국가와 영합한 종교도 물론이거니와, 순수한 기독교는 더더욱 국가의 존립에 위협적이라 생각된다. 그의 대안은 그래서 종교의 순화 즉 국민의 윤리의식,애국심 고양과 법의 신성성 부과의 한도에서만 종교를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다양한 종교를 인정하여 국가에 손을 못대고 타종교와 경쟁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런 까닭에 로마시대 기독교인들에게 국가는 악의 결집체로 비쳤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로마를 사랑하는 루소에게 [계약국가의 적]으로 불려진다. 그들은 딴 주머니를 차고 있다. 이들은 공공연히 로마의 부름을 거절하는 자들이었다. 그들은 공직의 부름을 거절했고 그것을 최초로 영예로운 책임에서 악하고 자아에 함몰된 권력욕으로 바꾸어 불렀다. 또한, 그들은 살인를 거부했다. 다른 신들과 달리 기독교의 신은 로마와 연합하여 로마를 축복하기를 거부했다. 국가에서 볼 때 결코 건강한 백성들이 아닌 셈이다.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를 지키는 신은 그래도 이스라엘 민족공동체와 연합되어 있었는데... 기독교의 그리스도는 국가의 시스템, 그리고 이와 결합한 종교에 의해 죽임을 당한 하나님이었다. 그 제자들은 결코 국가의 친구일 수 없었다. 

계약국가는 루소의 말처럼 개인의 자유와 관점, 개인으로서의 존엄을 박탈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는 그것을 [사고], 안전과 소유 확대의 기회를 [판다].  만약 공공의 안녕이 아닌 한 개인의 인간적 가치와 존엄성이 항상 최우선이라면, 정말 그런 종교라면, 국가는 정말 결코 설 수 없을 지도 모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정 2004-12-18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를님..

저 죄송한데요

Henry David Thoreau의 walden을 번역판으로 읽을려고 하는데 월든이라고 해서 나온 책이 무척 많네요. 미국에 살아서 번역 내용을 확인은 못하겠어서요......혹시 가장 번역이 잘 된 것을 추천해주실 수 있나 해서 여쭈어봅니다.

귀찮게 해드렸다면 정말 죄송하구요. 그럼....

카를 2004-12-18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레에서 나온 구판으로 읽었는데 별 문제 없었구요...

주위사람들도 주로 그 책 신판으로 구입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