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임마누엘 칸트 지음, 신옥희 옮김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칸트는 인간은 자신이 도덕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무얼 위해 그래야 하는지 물을 때 종교가 필요하다. 칸트는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이 책에서 계시에 나타난 가르침이 인간 본성안에 있는 이성적 판단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찾고자 했다.

 

그는 계시가 제시하는 악의 존재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앞뒤를 바꾸어 놓는 고의성에서 먼저 발견한다.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생명이 주어져야 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그리고 신의 성품을 가진 이가 오셔 보인 실천만이 이것을 보고 따를 수 있는 근거를 줄 수 있는 것이다. 그 실천이란 사랑이며 방법은 공동체이다. 하지만 조직으로서의 교회는 이런 계시와 이에 따른 이성의 반응을 왜곡하여 인간에 봉사하고 엉뚱한 의식에 스스로 만족하는 종교를 만들고 말았다. 


칸트는 대안으로서 이성으로 파악되는 범위에 머무르길 제안한다. 더 나아가 계시된 교리(계시신앙)가 자연종교(이성신앙)를 최고명령 원리로 삼도록 해야한다고까지 나아간다. 선하게 만들기 위한 계시의 내용과 이성의 판단이 일치한다면 안전하게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칸트에게 파행으로 치달은 종교의 곁길을 교정할 방법은 이성의 깊은 반추로 교정하는 것으로 보였다. 기적이나 비밀, 은총의 수단인 제사란 망상신앙이며 일체의 종교적이라고 하는 비이성적 행위를 거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성이 종교를 교정할 수 잇다는 믿음이 그에게 있었던 것이다.

 

당시 유럽의 정치적 상황은 종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카톨릭의 이교적 성향과 개신교의 자기의적 충돌은 칸트로 하여금 종교적 종교인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기독교 체계에 대한 기획을 의도케 했다.이 의도의 근저에 있는 것은 최종적인 권위를 인간으로부터 박탈하기 위한 보편이성에의 의지 곧 계몽이었다. 결국 이성에 기초한 종교일 때 비로소 유럽의 평화는 가능할거라는 것이다. 그 기획의 과정에서 그는 계시를 넘어 너무 멀리가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