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리버 여행기 - 개정판
조나단 스위프트 지음, 신현철 옮김 / 문학수첩 / 199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위프트는 원래 말의 나라와 천공의 성 라퓨타를 쓰고 소인국, 거인국 이야기를 나중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사실 그래서 말의 나라, 휴이넘에 대한 걸리버의 표현 속에 들어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다.

그래서 이 책의 기본적 생각은 인간에 대한 깊은 절망과 혐오이다. 그리고 그 대안을 인간들의 나라인 나머지 세 여행에서 찾으려한다. 걸리버가 자기 가족을 인간 야후의 추악함에서 건져 휴이넘의 생각을 갖도록 가르치는 것처럼 말이다.

소인국이 그런 인간사회의 축소판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보는 것이라면, 거인국에서는 타인에 의해 야후인 자기의 모습을 조명당한다. 그리고 다시 3부에서는 이런 인간사회의 구성원들 하나하나의 정체를 드러내어, 그들이 하는 황당한 짓들과 비틀어진 귀족의 뿌리를 보여준다. 자랑할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거다.

스위프트의 추악한 인간 야후에 대한 대안은 어쩌면, 당시의 조류를 반영하듯 이성으로의 회귀이며, 또 다소 복고적으로 그리스적 인간상의 회복이다. 휴이넘은 이에 대한 표상으로 보이며 이성과 자연을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 나타난 인간시스템의 전면적 재검토와 계급파괴는 얼핏 급진적 모양을 띄나 그는 곳곳에서 어설픈 시도를 일삼는 현재의 새로운 조류에 대한 역겨움을 표시한다. 되지도 않은 설익은 생각으로 인간사회를 실험하지 말라는거다. 자주 그는 그의 선조대에 순수한 애국심과 신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자기손으로 땅을 파던 중류층을 동경한다. 점차 그의 이 책은 인간이라는 것 전체에 대한 혐오로 치닫는다.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절망감이다.

그는 끊임없이 전쟁을 일삼고 수많은 사람들을(자신의 나라 아일랜드인을 포함한) 이유없이 죽이고 괴롭히는 유럽의 광기에 분노하고 있다. 오늘날도 여전히 이런 광기가 세계를 휩쓸고 있음을 알면 그는 또 얼마나 비통해할까? 인간이 있는 한 이런 미친 역사는 계속됨을 그도 알긴 하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