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원적 인간: 선진산업사회의 이데올로기 연구 한마음신서 9
H.마르쿠제 / 한마음사 / 199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쟈크엘룰과 비슷한 시기인 1964년, 독일로부터 도피후 주로 미국무성과 대학에서 소련에 대한 연구를 해 온 마르쿠제는 66세의 나이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대립이 아닌 그 배후의 철학적 힘으로서의 [기술]의 1차원적 지배를 고발하는 책을 쓴다.  이 책은 당시 미국내 [New left]에게 호소력을 가지면서 마르쿠제를 일약 학생운동의 정신적 지주로까지 끌어올렸다.

1차원적이라는 것은 변증법적으로 [부정]을 유발하는 분리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그래서 초월이고, 혁명이고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인간상태를 의미한다. 마르쿠제는 진정한 기술사회의 심각성은 그 전체주의적 성격에 있음을 지적한다.  기술지배의 표현으로서 정치, 경제의 변형뿐아니라  나아가서 이와 같은 사고체계를 뒷바침하는 실증주의적 사고와 언어분석학의 철학파괴 현상을 연관지어 보여준다. 부정성을 상실한 문학과 예술의 파행과  [길들여진 반항]으로서의 양대정당, 노동조합의 모습들을 그는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파괴]로 본다. 프로이트와 실존철학, 프랑크프루트 학파와 변증법을 넘나드는 그의 경력만큼이나 다양한 방면에서 이런 기술지배의 확장을 설명해낸다.

[부정으로서의 철학의 자리매김]은 어쩌면 대중과 융합되어가는 고급예술의 타락에 맞서 대중이, 아니 인간의 이성이 이해키 힘든 일탈로 뛰쳐나간 예술이나, 리비도의 억압에 대항해 美를 타파하는 성욕으로 치달은 문학만큼이나 철학을 왜곡시키는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마르쿠제가 보는 현대사회의 빅브라더인 테크놀로지의 지배는, 타협을 불가능케 하므로 어쩔 수 없는지도 모른다.

그는 대안으로, 결국 모든 문제를 포용하는 이런 기술사회에서조차 소외자로 남는 추방된 자들, 외국인 근로자, 인종차별로 고통당하는자, 실업자와 고용이 불가능한 하층계급 그리고 학생들만이 사회 부정세력으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또한, 부정과 체제전복의 근거로 [오직 희망을 갖지 못한 자를 위해서]라고 이야기한다. 분석은 정확하고 논리는 [부정적]이고 대안은 허술한 느낌을 준다. 그 대안들의 패배를 본 이후라 내가 그렇게 느끼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