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던의 거룩한 시편 - 청동거울 문고 작은거인 3-1
존 던 지음, 김선향 옮김 / 청동거울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던은 베이컨과 거의 같은 시대를 살았던 시인이자 성직자였다. 젊은 시절 연하의 소녀와 신분을 넘어선 사랑으로 자신의 출세길을 포기했고, 후에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신앙에 귀의한 사람이다. 그가 앤 던을 만난 것은 그의 나이 29세, 앤이 17세였다.(띠 동갑!) 국새상서인 에거튼경의 비서가 된 후, 에거튼 경의 조카인 앤과 사랑에 빠진 것이다. 그녀와의 사랑은 그의 유명한 시집 [The Songs and Sonnets]을 낳게 했으나, 경제적 사회적으론 파면과 투옥의 어려움을 당하는 이유가 된다.

그 이후 어려움과 질병 가운데 그의 거룩한 시편들이 탄생하고 그가 가톨릭에서 국교회로 옮기는 기간이 된다. 가톨릭교도로서 헨리8세의 이혼을 반대하다 죽임을 당한 토마스 모어의 후손이기도 한 그에게 가톨릭과 영국국교회, 그리고 청교도 사이의 고민은 그의 인생의 주제이기도 했다. 결국 구교도 신교도 아닌 그 중간에 선 그는, 그래서 영국국교회의 신부가 된다.

Holy sonnets 중 XVIII은 그의 이런 고민을 가장 잘 대변한다. 그리스도께 그분의 진정한 교회가 누구인지 보여달라는 그의 기도이다. [건너편 해안에 짙게 화장한] (프랑스이기도 하고 가톨릭이기도한) 교회인가? 아니면 [독일과 이곳에서 통곡하고 한탄하는](루터나 칼빈의 신교)인가? 아니면 누구인가? 이 시대의 고민이며 던의 고민이기도 했던 이 의문은 그의 시 전체를 흐른다. 그러나, 여전히 부족한 인간들을 자기신부인 교회로 삼으신 사랑의 하나님에 대한 그의 신뢰만은 변치 않음을 그의 시는 보여준다. 사실 죄인임을 뼈저리게 알기에 구원이 필요하다고 고백하는 것이다.

베이컨이 인본적 인간으로서 삶을 모색하였다면, 던은 종교적 존재로서 삶에 대한 탐구를 추구한사람이었다. 그의 이 시편은 그래서 이성보다는 감성으로서 풍요로운 던의 모습과 아울러, 영국시의 모태가 된  영성詩의 뿌리를 그의 속깊은, 시대의 아픔에 대한 고백을 통해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