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1]
1. 저 자 명: 조용수
2. 기 사 명: 자크 엘룰의 뒤틀린 기독교
3. 정간물명: 고려신학보
4. 볼 륨 명: 25권(집·호)
5. 연 도: 1993년
6. 게 재 면: 199 - 204
[00002]
1. 저 자 명: 최종고
2. 기 사 명: 사회비평의 신학자 자크 엘룰
3. 정간물명: 기독교사상
4. 볼 륨 명: 권(집·호)
5. 연 도: 1974년 12
6. 게 재 면: 95 - 107
[00003]
1. 저 자 명: 맹용길
2. 기 사 명: 엘룰의 신학사상
3. 정간물명: 기독교사상
4. 볼 륨 명: 33권1호권(집·호)
5. 연 도: 1989년 1
6. 게 재 면: 209 - 217
[00004]
1. 저 자 명: 양명수
2. 기 사 명: 기술의 신학적 도전(1)
3. 정간물명: 기독교사상
4. 볼 륨 명: 35권10호권(집·호)
5. 연 도: 1991년 10
6. 게 재 면: 81 - 94
[00005]
1. 저 자 명: 김성민
2. 기 사 명: 기도를 잃어버린 시대의 기도(1)
3. 정간물명: 기독교사상
4. 볼 륨 명: 40권7호권(집·호)
5. 연 도: 1996년 7
6. 게 재 면: 60 - 74
[00006]
1. 저 자 명: 김성민
2. 기 사 명: 기도를 잃어버린 시대의 기도(2)
3. 정간물명: 기독교사상
4. 볼 륨 명: 40권8호권(집·호)
5. 연 도: 1996년 8
6. 게 재 면: 114 - 130
[00007]
1. 저 자 명: 양명수
2. 기 사 명: 오늘의 교회를 위한 자크 엘룰의 신학
3. 정간물명: 목회와신학
4. 볼 륨 명: 127권(집·호)
5. 연 도: 2000년 1
6. 게 재 면: 208 - 210
[00008]
1. 저 자 명: 이오갑
2. 기 사 명: 자크 엘룰에게 한국교회를 묻는다
3. 정간물명: 목회와신학
4. 볼 륨 명: 127권(집·호)
5. 연 도: 2000년 1
6. 게 재 면: 204 - 207
[00009]
1. 저 자 명: 김선일
2. 기 사 명: 쟈크 엘룰과 프란시스 쉐퍼
3. 정간물명: 복음과상황
4. 볼 륨 명: 50권(집·호)
5. 연 도: 1996년 1
6. 게 재 면: 127 -
[00010]
1. 저 자 명: 데이빗 길
2. 기 사 명: 엘룰과 쉐퍼는 역사를 어떤 관점에서 이해했는가
3. 정간물명: 복음과상황
4. 볼 륨 명: 51권(집·호)
5. 연 도: 1996년 2
6. 게 재 면: 100 - 134
[00011]
1. 저 자 명: 정원범
2. 기 사 명: 자크 엘룰의 기술사회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이해
3. 정간물명: 신학과문화(神學과文化)
4. 볼 륨 명: 7권(집·호)
5. 연 도: 1998년
6. 게 재 면: 141 - 162
[00012]
1. 저 자 명: 양명수
2. 기 사 명: 기술:해방과 이데올로기
3. 정간물명: 신학사상(神學思想)
4. 볼 륨 명: 87권(집·호)
5. 연 도: 1994년
6. 게 재 면: 200 - 220
[00013]
1. 저 자 명: 송광택
2. 기 사 명: 쟈크 엘룰의 생애와 사상
3. 정간물명: 정통신학(正統神學)
4. 볼 륨 명: 11권(집·호)
5. 연 도: 1997년 봄·여름
6. 게 재 면: 154 - 166
[00014]
1. 저 자 명: 김선일
2. 기 사 명: 기술 사회의 예언자, 자크 엘룰
3. 정간물명: 두레사상
4. 볼 륨 명: 3권
5. 연 도: 1995년 겨울호
6. 게 재 면: 309 - 325
ㅁ 박현덕 ( ellul@ellul.or.kr ) |
|
|
그 이외의 자료로는
2000년 1월 목회와 신학에서 신학특집으로 한국교회와 자크엘룰이란 주제로 세 분(이오갑, 양명수, 김성민)의 글을 실었습니다. 두 개의 주제는 위의 서지사항에 있고요 다른 한 글의 제목은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새로운 삶의 양식 / 김성민" 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