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르시아 신화 - 대영박물관 신화 총서 7 ㅣ 세계 신화 시리즈 15
베스타 S. 커티스 지음, 임웅 옮김 / 범우사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페르시아가 처음 알려지고 세계사의 기록에 자세히 남는 것은 아마도 구약성경과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통해서일 것이다. 아케메네스의 키루스 때부터 이 싸움 잘하는 민족은 가볍게 당시의 앗시리아와 바빌론의 뒤를 잇는 중동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그들과 원수지간인 투르와의 갈등을 해소하고자 터키로의 서진西進을 거듭하여 드디어 그 지역에서 식민지 건설에 열올리고 있던 그리스인들과 조우하게 된다. 크세르크세스가 치명상을 입어서였던지 이 척박한 땅에 더 관심이 없어였던지 그들과 그리스와의 전투는 그리스측의 승리 주장만 역사에 남아있다. 정작 이 나라가 그리스에게 패배한 것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에게 뿐일지도 모른다.
이 지역은 오랜 옛날부터 문명의 발생지로부터 흠뻑젖는 혜택을 받아왔다. 메소포타미아와 인도문명 사이의 카스피해 아래에 위치한 탓에 분명 양쪽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재생산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중앙아시아의 인적없는 삼림과 벌판, 어두움 속의 동굴로부터 유래했음에 틀림없는 마술적 힘과 신화의 동물들은 이런 밀집거주 지역의 문화와 만나 그들만의 독특한 페르시아 이야기들을 탄생시켰을 것이다.
그들은 인간의 충성과 용기, 힘과 지혜, 역경의 극복과 태생, 자연과의 조화와 전쟁의 일상성에 익숙한 사람들이었다. 비록 외적外敵에 불과한 알렉산더라 하지라도 그 영웅의 특출함은 그들에게 그를 한 이란왕의 사생아로 탈바꿈하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게 한다. 그들은 영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었음에 틀림없다. 아랍 종마들을 달리며 사자가 출몰하는 북아프리카와 유라굴로가 바다를 뒤집어엎는 소아시아에서 코끼리를 몰고나타나는 인도 군대에 이르기까지, 낯선 전쟁터를 서로에 대한 신뢰, 충성과 승리의 의지로 생존해 오던 민족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이 이 세상에서 최강이라는 자존심은 알렉산더가 입힌 패배의 상처로 깊은 도전에 직면했었음에 틀림없다. 사산왕조에 이르러 주변 민족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흐름이 생긴 것도 이런 패배로 인한 자신을 돌아보는 마음에서 생겨났다. 승리하는 자는 이 세상에서의 소멸을 두려워하지 않고 기념비적 건물에 집착하나, 패배한 자는 자신의 발자취를 기록으로 남기고 자기를 구별하여 그 뿌리를 찾으려한다. 이런 기록 종교의 필요성이 비로소 조로아스터 종교의 명문화, 기존의 아케메네스 왕조후 소실된 [아베스타]의 복원과, [샤나메]의 창조를 가져왔다.
이 책은 주로 이 [아베스타]와 [샤나메] 속에 나타난 그들의 뿌리와 여러 영웅들과 주위의 적들의 사악함에 관한 묘사와 그들에게 거둔 승리에 대한 기록들이다. 그 출처가 되었을 떠돌이 이야기꾼들(naqqal)의 구전은 분명 민중이 원하는 맛깔대로 각색된 옛 선조들의 영웅담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주인공은 정작 왕이 아니고, 충성된 장군이며, 영특한 동물들과, 버림받은 왕자들이며,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을 하는 연인들이다. 사산왕조의 루스탐 이야기에 대한 애정은 우리 백성에게도 왕보다 더 가까왔던 이순신과 의병 이야기를 연상케 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그래서, 이제 인류 모두의 것이다. 그들이 만들기도, 유통시키도 한 이야기들은 알렉산더를 빚댄 [임금님귀는 당나귀귀], 금세공쟁이 하산의 모험담을 다룬 [선녀와 나뭇꾼]으로 여러 문화안에 살아서 숨쉬고 있다. 춘분과 새해에 하는 액운을 쫓는 축제들(쯔리)은 여전히 여러 남아시아 국가와 일본에서 그 자취를 보인다. 페르시아는 유럽과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를 이어오던 한 끈이었음을 짐작케하는 증거들이다. 페르시아인은 지금은 일단 그들의 종교로 인해 유폐되었으나 그들의 이야기는 여전히 세계를 아우르고 있음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