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포로 된 교회 - 21세기 예레미야 마이클 호튼의 세속화된 복음주의 치료책 마이클 호튼 시리즈 4
마이클 호튼 지음, 김재연 옮김 / 부흥과개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대에 느꼈던 확신들이 오히려 이런저런 교회 안의 이야기들과 설교들을 통해, 또한 더욱 크게는  나 자신의 사고의 틀로 인해 갈피를 찾지 못하는 느낌이 든지 오래이다. 이 책이 참 오랜동안의 믿음안에서 궁금증을 풀어 준다는 것을 깨닫는다. 더욱이 복음의 핵심과 현재의 삶을 하나로서 살게 하는 처음 눈을 다시 회복하게 해 준다.

이 책의 읽은 후의 나는 이전과 같을 수는 없다면 과장인가? 신학을 몰라도 된다는 주위의 이야기들과 다른 신앙서적들의 홍수 속에 믿음은 느낌과 현실의 괴리 속을 떠돌고 있었다. 분명 계시와 역사 속의 구속사역이 그 시작이었음에도. 알고보면 황당한 일이지만, 분명 나 자신의 이론과 주위의 압력, 인간조정의 인문이론과의 조화와, 삶의 특수영역에 거대한 탑을 쌓아 다른 부족을 벌충하려는 "숨은 자기의"로 얽혀 돌아가는 도피의 생활. 돌아돌아 20년을 보내고 다시 믿음의 영역에 있어 신학-계시의 명료화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는다. 

알고보면 살상을 할 수 있는 기독교 민병대, 부시의 십자군 전쟁, 이 낯선 일이 내 믿음 가운데 벌어지고 있었다. 성공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려는 시도. 선교가 아닌 나의 전투에 축복해 주시길 원하는 신앙이라는 것. 그 뿌리에는 걸어갈 길. 주어진 일에서 그 구실을 다 하는 그리스도인이 되지 않고도 내세울 무언가가 있는, 좀더 나은 기독인으로 인정 받으려는 우위의 욕구. 그래서, 기복과 두려움 사이에서 갈팡질팡한 하던 고단한 자아라는 신. 

어느 것 하나 쉬어지진 않았지만 이제 나는 내 싸움을 알 것 같다. 이곳의 주신 일을 사랑하고 그것을 위해 목숨을 거는 삶. 아, 왜 이로도 긴 시간이 필요했을까? 왜 이런 과정을 허락하셨을까? 기독교를 길들일려면 시민종교로 만들어야 한다던 루소의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인 전략이 20세기의 문화 속에 미국 신학 속에, 그리고 내 안에 기가 막히게 성공적인 셈이다. 나의 공부와 사회생활과 노력의 목적이 무엇이던가?  하나님이 아니셨던가? 언제 이것이 이생의 자랑을 넘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까지로 변하여 나는 겨우 아둥바둥 견디어내고 있었던가?  그래서, 나는 내가 더 나은 내가 되도록 노력한다면 언젠가 이루리라는 말을 더 이상 믿지 않는다. 이제는 매달릴 곳이 나에게는 남지 않게 된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