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계선집
이황 지음, 윤사순 옮김 / 현암사 / 1993년 2월
평점 :
몽테뉴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주가 된 1568년, 68세의 노학자 이황은 17세의 어린 왕이었던 선조가 성학의 기본을 쉽게 이해하도록 [성학십도]를 썼다. 이 도표는 정주계의 총결산서로 (1) 태극도 (2) 서명도 (3) 소학도 (4) 대학도 (5) 백록동규도(6) 심통성정도 (7) 인설도 (8) 심학도 (9) 경재잠도 (10) 숙흥야매잠도로 이루어져 있다.
태극도는 우주의 생성원리와 창조를, 서명도는 인간 생성의 원리를, 소학은 인의 시작의 원리로서 개인품행을, 대학은 이에서 발전한 인간관계와 정치를 이야기하고 동규는 이를 위한 가장 근본의 방법인 오륜을 설명한다. 심통성정도는 사단칠정의 요약으로 유교심리학의 원리를, 인설은 유교의 행동과학을,심학도는 이를 위한 심리훈련의 항목을 보인다.경재잠도는 행동훈련의 항목을 상황별로 기술하고, 숙흥야매잠도는 이를 시간별로 보여준다.
성학십도의 근본에는 敬이 있으며 이를 일상생활 가운데 실천하고 훈련함으로 仁의 경지에 이르도록 뒷받침하는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을 이야기하고 있다. 철인치자가 아닌 인의치자로서의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왕에 대한 수행지침인 셈이다. 서양정치론이 치자의 독특성과 우월성에 뿌리를 둔 반면 성학십도가 보여주듯 왕이나 백성이나 동일한 [인간됨]을 목표로 하는 인생관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부동심과 천명에 순종하는 마음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플라톤이든, 아우렐리우스 황제든, 바수데바 왕자든 인류의 공통된 희망이었다. 어쩌면 많은 옛사람들에게 너무나 자명했던 이 목표를 잃어버린 것이 우리 삶의 척박함의 이유는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