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스트 ㅣ 알베르 카뮈 전집 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카뮈는 '우리 모든 인간이 살아가는 중에 겪게 되는 수많은 고통과 외부적인 위협 그리고 유배된 듯한 느낌으로부터 오는 삶의 질식상태를 묘사하고자 어떤 방법을 찾기 원했다' 고 한다. 그것이 [페스트]다.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깨닫게 해 주고 싶은 것이다. 죽음으로 인한 삶의 무의미와 그러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 해답은 세가지가 존재한다. 첫째는 코타르가 택한 자살, 어느날 문득 산다는 모든 것이 무의미함을 알고 죽음과 부조리한 현실이 압박해 올 때 비웃으며 돌아서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파늘루신부가 택한 내세적 믿음, 현실의 괴로움을 내세적 희망으로 수용하고, 혹시 있을지 모르는 구원을 간구하는 것. 마지막으로 의사 리외, 투루, 나중에 마음을 돌린 랑베르 기자가 택한 [일상에 전념하기]이다. 비록 아무 쓸모 없는지 알아도, 묵묵히 주어진 일에 성과를 바라지 않고 [구체화된 반항]이라 하든, [부조리에 대한 무의미적 도전]이라 하든 이건 절망적인 몸부림이다. 그래서 멋있다고 한다.
카뮈의 이런 제안은 그의 스승 장 그르니에를 닮았다.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에서 득도하는 것, 카르마 요가를 통해 이르는 카르마 팔라 탸가(행위의 열매 포기)의 경지이다. 페스트의 고통의 원인에 대한 성찰 또한 그러하다. 서로 사랑해야 할 모든 사람들이 분열되고 고립된 채 살아가고 있었던 것, 절망적 [섬]인 우리의 존재에서 찾는 것이다.
이 페스트 균은 [결코 죽지 않으며, 또한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그것은 가구안이나 리넨 상자속에 수십년간 잠복해 있을 수 있다. 그것은 어느 침실안이나 지하실, 트렁크속, 책장안에서 때를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아마도 파멸의 그날이 오면 사람들을 교화하기 위해 나타날지도 모른다] 우리는 모두 어찌되었든지 죽음에 직면해 있고, 부조리한 세상을 살고 있다. 어찌됐든, 카뮈는 그의 임무, 즉 리외의 임무 [임무란 오직 `이런 일이 우리에게 일어났다'라고 말하고, 그것을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듯하다. 해답은 이성적 접근이 불가능한 영역에 속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