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의 조건 피터 드러커의 21세기 비전
피터 드러커 지음, 이재규 옮김 / 청림출판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움직이는 사람에게는 의지와 더불어 지적 원동력이 필요하다. 콜럼버스가 대서양을 건널때 소지한 책 중에 피에르 다이의 [세계의 형상]이 있었다고 한다. 인도로 가기위해서는 동쪽으로 도는 것보다는 서쪽으로 가는 것이 빠르다는 생각, 그 책은 빽빽이 콜럼버스의 육필메모가 가득차 있다고 한다. 그는 그책을 읽고 또 읽으며 이사벨라 여왕을 설득하고 선원의 쿠데타를 참고 설득해 가며 [서인도]에 도달한 것이다. 나 또한 이 책에 빽빽한 메모를 남길 수 밖에 없는 많은 인사이트들이 이 책 안에는 있었다.

드러커는 지식으로 일하는 사람들에게 동력을 제공하는 사람이다. 그 진위여부와 실현가능성을 떠나 그의 여러 제안들과 현재를 보는 눈에는 설득력과 동기부여가 있다. 그의 제안의 독특성은 [기여]에 있다. 자기 강점을 알고 그것을 [다른 사람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성과]를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이다. 자기 밖의 영역에 자기가 전문적인 분야를 연결시켜 폭발적 성과를 창출하고 유지시켜 간다는 것이다.

드러커는 평범한 사람이 따라갈 방법을 제시한다.똑똑한가는 목표달성 능력의 충분조건이 아니다.평범한 사람이 꾸준히 추구하므로써 성취할 수 있는 자아실현과 사회공헌의 길로서, 강점으로 채택된 목표에 집중하며, 커뮤니케이션하며 혁신을 도모하라고 한다. 당장의 업무와 이익을 따라 막상 성과가 있는 영역을 소홀히 하는 생활, 이것이 우리의 모습이기에 지지부진한 권태에 빠져 들고 만다는 것이다.

이 방법의 요체는 시간이다. 한정된 자원인 시간, 그가 완벽을 추구코자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은 계획과 피드백의 습관이다. 그리고 시간을 큰 단위로 통합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성취에 미치는 힘을 그는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일상의 실용서들에서 느끼는 얄팍함이 아닌 경험과 지혜의 그리고 이 시대를 철저히 파악하고자 하는 사람의 힘이 느껴진다. 상사에 대해 다르게 보는 눈, 의사결정의 경계조건에 대한 강조, 혁신의 본질인 기회분석과 주도권 등은 이런 바탕이 아니면 파악되기 어려운 값진 것임에 틀림없다. 분명 귀중한 지혜를 준 책이다. 이제 내겐 그 빽빽이 써 놓은 메모를 실천하는 일이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