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만화) 1 - 스완네집 쪽으로 - 콩브레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만화) 1
마르셀 프루스트 원작, 스테판 외에 각색 및 그림, 정재곤 옮김 / 열화당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 대한 가장 재미있는 평은 [너무나도 유명한 고전이지만 읽은 사람은 거의 찾기 힘든...]이라는 것과 이책 서두에 있는 [가까이 하기엔 너무먼 고전]인 것 같다. 이는 [신곡]에 대해 볼테르의 평인 [아무도 읽지 않고 오랫동안 칭찬받고 있으므로, 이 칭찬은 영원히 그치지 않을 것]과도 닮았다. 그런데 만화책으로 이 책이 나와있었다(!) 그럼 함 읽어보자.

1권은 능청스럽게도 앞으로 그렇게 길게 쓸거면서,절대 기억이 안 떠오른다고 시작한다. 그러다 홍차속의 마들렌느 과자와 함께 시작되는 기억의 여행...2,3권 엮이기 시작하는 스완,블로크, 샤를뤼스, 게르망트 가문이 등장인물 소개처럼 등장한다. 기억속 어린이 세계의 중심은 역시 충격적인 사건들이다. 이해할 수 없는 이모의 칩거, 삼촌의 애정행각, 자기에게는 친절하나 타인에게 끔직한 하녀,동성애의 목격,문학의 세계로 이끄는 르그랑댕씨와의 만남이나 마르텡빌의 종탑의 느낌들.

2,3권은 단연 청년시절의 두가지 관심사이다. [계급과 이성]. 상류층에 편입코자 하는 속물근성과, 사랑이 아닌줄은 알지만 여섯여자가 다 좋은 [좋아하는 것은 좋아할 이유가 있어서인 경우도 있지만, 좋아한다는 행위자체를 좋아하는지도 모른다]는 젊은 치기. 그의 발벡은 이런 기억으로 저문다.

[우리들이 멀리서 볼 때는 아름답고 신비스러워 보이는 사람과 사물들이 실상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그렇게 신비롭지도 아름답지도 않다는 사실은,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터득하게 되는 경험 중의 하나이다. 그렇다고 이런 관점이 항상 옳다고는 할 수 없으며 그리 권장할만한 것도 아니지만, 우리가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이러한 관점을 취할 때 마음의 고통은 훨씬 누그러들고 죽음의 순간이 와도 보다 평온한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죽음의 병상에 누워 삶의 순간순간에 깃든 아이러니와 그나름대로의 재미와 영롱한 빛들을 본다. 접근키 어려운 프루스트를 10년에 걸쳐 만화로 쓰는 까닭은 이런 진솔하고 영롱하기까지 한 인생의 이야기를 책꽂이에 묻혀 있게 할 수 없는 스테판 외에의 마음 때문이리라.나는 절대 내년 4판까지 못 기다려 소설로 나머질 보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