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사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다이아몬드(굉장한 이름이구만!)박사가 얄리라는 뉴기니아인을 만난건 1972년 뉴기니 해변가였다고 한다. 얄리는 이 백인과 이야기하다보니 좀 만만해 보였나보다.

'너나 나나 별다를게 없는데 너네는 비행기 타고 옷 입고 라이터불 붙이고 살고, 우리는 왜 발가벗고 얼마전까정 타제석기로 사람 잡아먹고 살았냐?'

'글쎄당? 어떤놈들은 우리가 너네보다 유전자가 좋다고도하고, 어떤 놈들은 기후가 우리가 더 척박해서 먹고 살기 힘들어 우리가 더 나아졌다고도 하더라(히포크라테스가 그랬데네)'

생리학교수이면서 조류학, 생물지리학자이기도 한 그는 필드워커다. 실험실에서 물론 세포막 연구로도 유명한 사람이나 새소리따라 다니길 더 좋아하는 그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정원사새를 발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과학의 열정,루이스 월퍼트 외,다빈치)

그는 문명이 경쟁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그는 인류문명의 발달과 역사 급류의 큰 줄거리로 환경의 차이와 이로 인한 작물화과 가축화를 든다. 가축화는 세균에 의한 질병을 부르고, 이는 전염병과 이에 대한 면역력을 유라시아에 가져다 주었다. 곡물화와 인구밀집은 서로간의 치열한 경쟁과 무기의 발달을 일으키고, 살상능력을 극대화시켰다. 이렇게 점차 심화된 차이가 결국 '아타우알파 생포사건'과 같이 소수의 무장된 유럽인에 의한 다수의 남아메리카인의 굴복과 죽음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페르낭 브로델처럼 전문적인 역사학자가 인구변동와 식량, 사치 음료와 의복, 유행으로 15-18세기의 역사의 흐름을 미시적인 곳에서부터 짚어낸 것(물질문명과 자본주의 I,까치글방)과는 대조적으로 선사와 문명발생에서 거시적으로 본 생물학자로서의 미덕이 돋보이는 책이다.

문명주변부, 100 여년전 한차례 [총 균 쇠]의 따끔한 맛을 본 우리로는 [금융,총,정보]의 현대 경쟁 아이템의 주변부로 밀려나지 않아야만 또다시 문명의 희생자가 되는 일을 피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