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타인을 이해하는데 자기자신에 대해 생각하는대로 남을 평가한다. 자기가 어떤 사람이며 어떤 소망, 약점, 속마음이 있느냐에 따라 다른 사람도 자신과 비슷할 것이라고 해석할 수 밖에 없다.특히 가족을 통해 우리는 내가 누구인지 알고 타인이 어떤 존재인지 알고 또 그런 이해 위에 서로를 미워하기도 사랑하기도 하며 살아간다.

유진 오닐이 이 작품을 살아있는 동안 공개하지 않길 원한 이유를 알만하다. 이 희곡은 오닐의 인간에 대한 이해, 자신에 대한 생각, 그것을 만든 자기 가족에 대한 생각이 고스라니 다 들어있다. 그는 이것을 자신이 죽은 후에는 알리고 싶었다. 중독에 취약한 인간, 그 자신도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소뇌 질환의 희생자이다. 투사projection의 정신구조, 내가 이 꼴이 된 것은 모두 가족 때문이다. 그들 때문에 중독 되었고 병들었으며 죽어가고 있고 실패한 인생이 되고 말았다.  표면적 화해, 상대에 대한 미움과 애정을 느끼나 번번히 자신의 필요-외로움, 한 사람을 공동의 적으로 몰아 투사의 대상임을 합리화하기 위한 공동전선을 위한 합작-를 위한 일시적 받아들임이외에 아무것도 아닌. 깨어진 부모자식, 부부 형제의 관계, 수전노 부모와 부부간의, 부자간의 원망과 중독과 멸시의 인간관계는 너무나 일상적인 것이어서 작품을 가치있게 한다. 막장 드라마 한편과 같은 리얼스토리 가정 파탄극은 그래서 여전히 공감을 일으킨다.

[무엇이 가족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따뜻한 대답이었던 [가족의 탄생]이라는 김태용 감독의 영화가 있었다. 영화는 그 사람을 위해 내 삶을 바꿀 수 있다면 그것이 가족이라고 말한다. 과연 자기 이외에는 누구를 위해서도 손해보려 않는다면 우리는 혈연이라도 가족이라 할 수 있을까? 그리고 가족이 손해보는 이 사람을 옹이삼아 불어나며 생겨난다. 예수님은 이런 가족이 되어주는 사람을 [이웃]이라고 정의하신다. 그리고 인간이 사는 목적중 하나가 이 이웃을 사랑하는 일이라고. 우리는 나의 가족에게조차도 이웃이 되어주지 못하는 존재로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