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에코의서재 / 2007년 5월
평점 :
루트번스타인이 1999년 쓴 이 책은 진정한 교육은 전인全人을 길러내는 통합교육이어야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실례들을 들어 창조적 아이디어를 만들어낸 여러 사람들의 독특한 생각의 패턴들과 그 통합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나에게 이런 여러 인물들의 생각 패턴의 예들을 보며, 나의 아이디어의 한계를 깨닫고 다른 방향의 생각들을 고려해 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세포가 되어본다는 것은 얼마나 멋진 경험이고, 기괴해 보이는 내 실수들에서 도리어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것은 또한 얼마나 근사한가. 이런 면에서 이 책이, 원래 저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을지 모르지만 느닷없이 인문학 분류의 책으로서 자기개발 처세술 책과 같은 인기를 누리는 이유인지 모른다. 어쩌면 우리 모두 기존의 교육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생각의 창을 열 방법에 그렇게 목말랐는지도.
그렇다면 과연 진정한 문제는 루트번스타인의 지적처럼 교육 시스템, 아이들의 사고의 발달을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커리큘럼에만 있었을까? 이 책이 보여주는 전인교육적 [인성, 통합, 유토리] 교육에 대한 우리의 지난 경험은, 이런 방향으로의 교육정책 변화만으론 결코 완벽한 해답이 될 수는 없음을 이미 보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과연 어떤 새로운 시도가 더 필요한걸까? 개선을 해간다고 할수록 개악되는 현재의 교육정책을 십수년 바라보며, 언뜻 우리가 사는 이곳, 한국의 좁은 땅덩어리와 많은 사람들, 그로 인한 지나친 경쟁과 선행학습, 더우기 획일화된 인생의 전망(몇가지 안되는 성공의 모델들)과 그것을 아직 넘어서지 못하는 부모들의 삶살이에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누군가 깊이 이 문제를 걱정하고, 천재적 스파크로 고달픈 우리 아이들을 행복하고 자기 자신의 소질을 꽃피우는 학교에 다니게 만들어 줄 수는 없을까? 아니면 아이들을 좋은 교육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부모나 부모 중 하나와는 떨어져 사는 해외고아로 여전히 내몰아야만 하나? 몇년이 지나고 해외로 교육때문에 나갔던 아이들이 개선된 한국교육의 혜택을 누리고자 다시 돌아오고 있다는 신문기사를 보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