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1962년 처음 나온 이 책은 과학의 발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과학사의 접근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으며 과학자와 관련학생 뿐 아니라 다른 특수분야의 역사에 대한 고찰에도 영향을 미친 책이다. 과학의 발전을 점진적 누적이 아닌 대안적 체계(패러다임)로의 교체로 보는 저자의 견해는, 현재에 밝혀진 사실 혹은 심미적 믿음에 근거한 대안이 새로운 세계관을 창출하며 이것이 기존의 것에 대한 실용적 우위를 증명할 때 급격한 개종(conversion)이 발생하여 과학구조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국 과학의 진보란 점점 베리타스(truth)에 접근하는 것이 아닌 해결되는 문항수를 늘리는 풀이법으로 교체해 가는 과정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견해로 보자면 자연을 상대하는 과학자에게 진정 필요한 혁명적 성격은, 결국 이런 개종의 위기를 인식하고 기존에 의지하던 정상과학을 해체하며 수많은 다른 관점에 마음을 열고 자기 눈을 바꾸어보는 여유가 아닐까?

그의 관점은 진화론적이라는 점에서 참신하게 와 닿는다. 이 책은 결국 과학의 현재 모습을 목적론적 관점에서가 아닌 비목적론적 관점의 진화의 산물로 본다. 즉 특정 패러다임 종(species)의 생존을 자연선택의 결과로 봄으로써 과학의 발전에 대한 최고 목적 지향의 신화를 깨뜨리고, 과학자 사회의 환경요소에 의한 적자 생존의 연속으로서 과학사를 규정한다. 이것은 다윈적 모델의 과학사적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선택의 단속적 진행이 지속적 진보의 모습으로 보이는 후향적 착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내 입장에선 무작위적이며 보이지 않는 선택이 과학자 사회의 기호(忌好), 가치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저자의 통찰은 도리어 무작위 안에 항상 내재되어있는 목적론적 방향성을 느끼게 해 준다. 그리고 현재 주어진 나의 과학자로서의 위치에서 선행 표준예제를 따르며 진행하고 있는 과제의 상대성을 알 수 있었으며, 우연히 현재는 다른 패러다임 그룹안에 와 있으며 그 견해에 대한 해석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결국 나는 지금  현재는 패러다임 미탑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