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ec1.images-amazon.com/images/P/142503022X.01._SS500_SCLZZZZZZZ_V34592731_.jpg)
고어체의 17세기 영어로 쓰여진 이 책은 밀턴의 서문처럼 그리스 비극을 형식을 따르며 동시에 히브리의 삼손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를 연상시키는 설정 속 24시간의 하루에, 비교적 간단하게 성경에 씌인 사사기의 삼손이야기에서 밀턴은 상상력을 발휘하여 삼손의 심리적 고뇌와 결심, 하나님의 선하심과 그 백성의 승리를 보여준다.
어리석은 장사가 아닌 유혹의 피할 수 없는 성격을, 우발적 붕괴사고가 아닌 인간의 약함에 무관한 하나님 의지의 실현을 보여주는, 밀턴의 시각은 하나님의 의지에 대한 의식을 갖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삶과의 결정적 차이를 드러낸다. 그것은 후회하며 주저앉지 않고 그 자리에서 은총을 구하여 다시 일어선다는 것이다. 결국 위대함은 힘에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 앞에 자신이 가진 것이 무엇이든 아무 것도 아님을 깨닫고 약점으로 인해 무너지는 자리에서, 약점에도 불구하고 일어서는 삶임을...
부모의 계획은 아들 삼손의 보석保釋이었으며, 드릴라의 최후의 제안은 유혹의 은근함과 거절할 수 없음을 이용한 러브 어페어로 돌아감이었고, 이 상황을 비웃는 적의 장수는 그의 절망적 현실을 직시하라고 요구한다.하지만 삼손은 다른 확신에 머무른다. 새로운 힘의 재생, 힘 가진 자앞에서도 진정한 용기는 하나님을 의뢰하는데서 나옴을 그는 끝까지 믿고 그 길을 묵묵히 나아간다. 진정한 용사는 힘의 용사가 아닌 존재 중심에서 그를 도우시는 자를 의뢰하는 자이다.
그의 마지막 순간이 아닌, 쓰여지던 젊음의 순간에 이 중심을 가졌다면 그는 얼마나 아름답게 쓰여질 수 있었던 삶인가. 그는 마지막 기회조차 놓칠만큼 어리석지는 않았지만 진정한 지혜는 블레셋으로 내려가는 길을 되돌렸으면 더욱 빛나는 것이었을 것이다. 인간의 약함을 너무 잘 아는 나이에 다다르면 누가 그를 비난할 수 있으랴. 지금이라도 나는 유혹을 끊고 일어나 부족함에도 써 주시는 분 앞에서 인생을 낭비치 않으려고 결심하는 아고니스트인가? 아니면 많은 시간과 되돌아올 기회를 믿으며, 아직도 원수의 수중에서 수수께끼와 거짓말을 늘어놓으며 살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