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합본
나쓰메 소세키 지음, 김상수 옮김, 배미정 그림 / 신세계북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대한 사전지식은 하나도 없었다. '나쓰메 소세키'님이 그리도 유명한 작가라는 것도 몰랐다. 단순 이 무렵 고양이에 대해 특히나 일본인의 고양이에 대한 생각이 무척이나 궁금하던 차였다. 책표지의 고양이 자태와 "고양이"라고 활성화 된 글자체에 나도 모르게 집어 들었다.
요즘이야 동물의 시선으로 인간을 바라 본다는 것이 신기할 것도 없지만 이 책이 나온건 어언 100년전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당시에는 파격적인 글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이름도 없는 그냥 고양이. 이 고양이가 선생님 집에 머물게 되면서 그 집에 드나 드는 사람들에 대해 일일이 사설을 단다. 어찌 보면 참 건방진 고양이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또 그 집에 드나 드는 인물들이 범상치 않은 사람이라 고양이 탓만 할수도 없음이다.
이 책이 전체 인간에 대한 비판을 담은 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시대에 자칭 지식인이라는 사람들의 허풍을 꼬집는 것은 아닐까(책에 대한 배경.해설 등을 전혀 읽지 않았기 때문에 100% 추측이지만) 생각해 본다. 그것도 서양문화를 아는척 하는 지식인층. 하필 머물게 된 것이 선생님 집이었고 이 집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이상한 형태지만 문학에 참여한다든가, (이학)박사가 되기 위해 완전 구체를 만들려고 한다던가, 사업가를 발끝의 때처럼 생각한다든가, 서구의 어려운 이론이나 이름을 대며 상대방을 놀려 먹는 재미로 사는 사람이라던가 말이다.
흥미로운건 이 고양이 또한 완전하지 않다는 점이다. 쥐를 못잡는 아니 안잡는 고양이라니...이 점이 뭔가를 시사해 주는것 같은데 확 잡히지는 않는다. 나름 생각해본 결과 부족한 지식인을 비판은 하지만 결국 그들을 비꼬고 있는 고양이도 완벽하지 않는 부족한 면을 보여 줌으로써 조금은 지식층 인간을 위로해 주려는 것이 아닐까 인간에 대한 작은 애정내지는 배려가 아닐까.
불쌍하게도 하필 그런 이상한 집에 들어갔는지. 고양이를 사랑할 줄 아는 귀여운 소녀가 있는 집에 머물게 되었다면 아마 이 고양이는 인간을 보는 관점이 180도 바뀌었을텐데 말이다.
내가 원하는 일본인의 고양이에 대한 관점을 알지는 못했지만 덕분에 아주 좋은 책을 읽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