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식가의 디테일 - 비슷비슷 헷갈리는 것들의 한 끗 차이
브렛 워쇼 지음, 제효영 옮김 / 윌북 / 2022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630/pimg_7918442383466599.jpg)
▶ 아이스크림 : 미국 식품의약국의 기준에 따라 유지방이 1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
-필라델피아 스타일 아이스크림 : 크림과 우유와 설탕에 다양한 재료를 소량 첨가해 만든다
-프랑스식 혹은 커스터드 아이스크림 : 달걀노른자가 들어간다
▶ 젤라토 : 이탈리아 법에 따라 유지방이 3.5퍼센트 이상 함유 되어야 한다. 아이스크림보다 공기 함량이 적다. 맛이 더 진하고 풍부하다. 부드러운 식감에 윤기가 흐른다.
▶ 프로즌 요구르트 : 일반적인 아이스크림보다 유지방 함량이 훨씬 낮다. 또한 '저지방' 제품인지 '무지방' 제품인지에 따라 유지방 함량이 다르다.
날이 갈수록 더워지고 있어요. <미식가의 디테일>을 읽으며 핫코코아와 핫초콜릿이 가장 끌렸지만.... 시원한 이야기를 기록하고 싶어 아이스크림에 관한 디테일을 골랐어요. 전 젤라토토를 그냥 아이스크림의 한 종류로만 알았는데, 좀 더 상세히 알고 나니 왜 그렇게 젤라토를 더 좋아했는지 알거 같더라구요.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630/pimg_7918442383466600.jpg)
'맛있으면 그만이지' 할수도 있겠지만 좋아하는 것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을 때 쾌감이란! 31가지 맛만 알다가 이렇게 더 깊게 알게 되니 더 먹고 싶어지네요.
.
"가장 유명한 스타우트 맥주는 기네스다. 아일랜드에서 온 이 짙은색 맥주는 맥길리건, 맥긴리, 맥그로 같은 상호가붙은 세계 곳곳의 술집에서 팔려나가고 있다. (p109)"
에일vs라거, 해시브라운vs홈프라이, 등갈비vs갈비vs쪽갈비, 바비큐vs그릴, 애플사이다vs사과주스, 베이킹소다vs베이킹파우더, 파이vs타르트.... 대충 알고 지나갔던 것들에 대한 미묘한 차이를 알아보는 재미가 있어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630/pimg_7918442383466602.jpg)
살기 위해 음식을 택할 때도 있지만 즐기기 위해 선택할 때도 있잖아요. 무려 310가지의 디테일이 흥미롭게 잘 담겨 있어요. 스스로 먹순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식탁 위에 오르는 친구들(?)에 대해 몰랐던 부분이 많더라구요.
.
▶ 셰프 : 음식점이나 호텔에서 주방을 운영하는 전문 요리사를 일컫는다. 훌륭한 음식을 만드는 동시에 주방을 책임지는 사람이다.
▶ 요리사 : 일반적으로 음식점 외에 다른 곳에서 음식을 만드는 모든 사람을 일컫는다. 전문적으로 요리를 하지 않는 사람도 포함되므로, '셰프'라는 표현을 쓸 때보다 아마추어의 느낌이 더해진다.
티비에서 셰프 혹은 요리사 라는 말이 나오면 그게 그거 아닌가...? 싶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차이를 알게 된 적이 있어요. 정말 간단한 정보지만 책을 통해 개념을 정리하니 깔끔히 정리가 되더라구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630/pimg_7918442383466601.jpg)
맛있는 거 좋아하는 1인으로 요런 디테일한 책 너무 마음에 들어요, :-) 인문학 도서는 사고에 대한 폭을 넓히고 주변을 바라보는 시야를 풍미있게 만들어주죠. 한 끗 차이의 디테일을 알며
뇌 마저 풍부해지는 느낌이었어요.
책을 제공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가? 어떤 과학자들은 요리도 인간다운 행동 중 하나라고 이야기한다. - P54
미국에서 유기농 와인은 합성 살충제와 비료 없이 재배된 포도를 사용하고 효모를 포함한 다른 모든 성분도 유기농 인증을 받은 와인을 의미한다. - P114
진짜 샴페인은 프랑스 파리 북동쪽으로 약 140킬로미터 떨어진 샹파뉴라는 지역에서만 생산된다. - P115
요리에서 끓인다고 할 때는 크고 굵은 거품이 표면에서 계속해서 둥글게 나타나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파스타는 끓여서 익힌다. 파스타 가닥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물이이렇게 계속 움직여야 한다. - P177
사실 비터스위트와 세미스위트를 구분하는 공식적인 기준은 없다. 세미스위트 초콜릿으로 판매되는 제품과 비터스위트 초콜릿으로 판매되는 제품에 들어간 코코아버터와 코코아 고형물 비율이 같을 수도 있다. - P2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