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2 - 한국 대표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
문태준 해설, 잠산 그림 / 민음사 / 2008년 6월
평점 :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 김수영의 풀 中 에서...
우리는 가슴이 아닌 눈과 입으로 만나는 시에 익숙해져있다. 가슴으로 시를 사랑해
본 적이 있는가? 당신의 가슴속 한 모퉁이에 시가 꽃피어 본적 있는가? 사랑보다는
이별이라는 시간을 겪은 이라면 한번쯤은 아픈 가슴으로 시를 만나보았을 테지만...
혼자되는 시간, 아름다운 밤 별을 바라보며, 흐드러지게 핀 꽃들 속에서 가슴내밀어
바람을 맞으며, 한번쯤 시를 읖조리고 싶어지다가도 운율이 어떻고, 초성이 어떻고,
무엇을 맞추고 어쩌고 저쩌고 이래야 하나 저래야 하나 망설이다 시(詩)의 시간을
잃어버린 기억이 있을것이다. 우리에게, 아니 나에게 시는 아직도 조금은 어렵다.
시의 시작은 제목도, 첫행의 첫마디도 아닌 시인의 이름이라는 말을 들은적이 있다.
이 말이 사실 좋은 말인지, 나쁜 말인지 그 답을 내어놓을 수는 없겠지만, 시에 대해
조금은 낯선 사람에게는 약간의 도움이 될 듯도 해보인다. 익숙한 시인의 이름들...
김수영, 박목월, 서정주, 노천명, 한용운, 김용택, 이상.... 그런 익숙함속에서 시를
시작 할 수 있게 만드니 말이다. <어느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를 통해 외로운
양심과 젊은 이성, 독립을 위한 열정의 윤동주, 선명한 분홍빛의 김소월, 고향의 향기
를 머금은 정지용, 기도하는 시인 김남조... 등 많은 시인들을 만났다. 대표 시인들이
추천하는 대표 애송시, 그속에도 낯익은 익숙함이 많이 자리한다. 애송시 100편의
첫번째 이야기는 정끝별 작가의 맛갈스런 해설로 시와 시인들의 삶까지 잠시 들여다
보는 시간을 간직할 수 있었다. 2편에서는 문태준 시인의 목소리를 통해 시인을
조금더 가까이 만나고, 시를 조금은 쉽게 이해하도록 만들어준다. 1편의 일러스트를
담당했던 권신아의 그림이 환상적이고 조금은 몽환적인 느낌이라면 2편을 그린 잠산
의 그것은 현실적이고 그리움과 친근함이 묻어나는 색깔을 띤다고 말할 수 있을것
같다. 그들의 그림은 시를 더 생동감있고 시를 조금더 쉽게 이해하게 하고 시와 가까워

지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같다. 시의 원래 색깔을 유지
하면서도 그 색깔을 더 선명하게 만들어 준다고나 할까....
이어령 교수는 '한편의 좋은 시를 읽는 다는 것은 영혼의 항아리 속에 향기
로운 꽃을 꽂아두는 것과 같다.' 고 말한다. 바쁜 일상과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
현대사회속에서 점점 메말라가는 영혼의 항아리. 그 속에 꽃을 향기를 담아내는
한편의 좋은시. 그 향기로 말미암아 가슴에서 시가 꽃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 먹는 소 먹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 김종삼 묵화(墨畵)
처음 만난 이 짧은 시(詩)가 책속에서 나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문태준 시인의 해설에
따르면 그의 시는 짧고 군살이 없으며, 여백을 충분히 사용해 언어가 잔상을 갖도록
배려한다고 한다. 여백과 잔상... 눈에 보이는 것이라곤 소의 목덜미를 어루만지는
할머니의 거친 손, 그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그 속에 담겨있는 유대, 고단함, 위로,
평화로움, 쓸쓸함... 이런 많은 것들이 머릿속에 유영한다. 시는 이러한 것일 것이다.
어렵고 복잡하게 쓰여진, 너무 짧고 함축거나 혹은, 유행가 가사처럼 길게 쓰여지기
보다 일상을 평범하게 이야기하지만 가슴을 일렁이게 하는 작지만 강한 느낌의 그
무엇이 바로 시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된다.
시는 상상과 열정의 언어다. 상상과 열정은 청춘의 다른말과도 같다. 어느 날 당신
이 읊조린 아름다운 작은 언어들이 시(詩)시가 되고 그것은 상상과 열정, 당신의 청춘이
되어 줄 것이다. 어떤 틀에 옭아맨 단어들의 조합이 아니라 가슴속 향기로 꽃피우는
아름다운 시 한편이 당신을 새로운 젊음과 열정으로 이끌어 주리라 믿는다. 우리
가슴속에서 눕고 울고 일어서며 푸르게 살아있는 푸르른 '풀' 처럼 말이다.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를 통해 그 열정과 상상, 젊음을 만나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