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 - 조선을 혼란으로 몰아넣은 13인
임채영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조선은 어느 순간 내부로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8년 대한민국!

"역사는 승자(勝者)의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역사는 반복된다." 이 책을 만나기

얼마전 읽었던 [조선의 위대한 패배자들]에서 역사의 시간속 진정한 승리자들의 모습을

만날수 있었다. 단순히 시간속에서 승자와 패자라는 이름으로 나뉘어 있을뿐 그들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굳건히 한 페이지를 장식했던 위대한 승리자들의 모습에 다름

없었다. 그리고 이 책을 만난다. 위대한 패배자들과는 사뭇 다른 추악한 배신자들을...

패배자들의 이름속에는 존경과 진정한 승자라는 수식어구가 필요하지만 역사속 배신자

들에게는 그 어떤 미사어구도 필요 없을것 같다. 다소 예쁘게 포장하려는 노력조차

그들에겐 사치라는 생각이든다. 역사의 순환을 말하면서 역사의 거울속에 비친 현재

우리의 모습을 바라본다. 2008년 대한민국, 아직도 추악한 배신자들의 그림자가 이땅

어딘가에 자리하고 있는건 아닌지.. 의문과 걱정이라는 감정과 마주하게 된다.

 

<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은 500년이라는 단일왕조사상 세계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오래고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던 조선에 다가온 한순간 몰락의 길을 이야기한다.

그런 조선의 몰락과 조선을 헤어날 수 없는 수렁으로 빠져들게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조선의 몰락은 제도적인 부분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 권력사이의 작은 틈에서

시작되었다. 왕실내에서 벌어진 권력 암투와 외척정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서는

배신자라는 낙인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들, 그리고 조선의 멸망에 결정적인 공헌?을

한 을사오적 등 13명의 추악한 배신자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 가운데 놓인 조선이라는

숨죽인 한나라를 이야기한다.





추악한 배신자라고 낙인찍힌 이들의 몇가지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첫째, 그들은 주워진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어찌보면 준비하고 노력한 사람에게 다가오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비추어질수도 있겠지만 그 기회화 목표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극단적인면으로 나타난다. 둘째, 그들은 변신의 귀재들이다.

혹여 카멜 레온이 환경에 맞춰 옷을 바꿔입듯이 권력과 힘의 논리에 철저히 순응하는 존재

들이다. 셋째, 시련을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이끌어낸다. 누군가에겐 시련이지만 그들

에겐 최고를 향한 최상의 조건이다. 사화와 반정, 모함, 외척정치, 친일을 통한 그들의

정치 철학, 연구해 볼만한 가치?가 있을 것같다. 마지막으로 위대한 패배자들과의 차이점

을 들 수 있겠다. 위대한 패배자들은 공통의 목표를 위해 그들의 신념과 의지를 불태

우지만 추악한 배신자들은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신념과 의지를 초개처럼 던져 버린다.

 

계유정난의 한명회, 무오사화의 유자광, 갑자사화의 임사홍, 계축옥사 이이첨, 인조

반정과 호란속 역적의 대명사 김자점...문정왕후, 정순왕후, 순원왕후의 여인세상..

조선을 팔아치운 상인권력가?들, 을사오적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이완용, 권중현.

역적, 배신자, 역사를 후퇴시킨, 조선의 몰락을 이끈 사람들의 면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이름을 하나씩 하나씩 똑똑히 기억하게 되었다. 제2의 그들이 생겨나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과 함께...





올림픽의 뜨거운 열기가 채 식기도 전, 올림픽 폐막식에서 그 열기를 싹 씻어버리는

Sea of Japan이라는 화면이 우리 국민들을 분노케 해버렸다. 그리고 어제 워싱턴

포스트에는 '역사왜곡 중단하라'는 독도 광고가 게재되었다. 얼마전에는 Do you know?

라는 가수 김장훈씨의 후원으로 독도광고가 뉴욕타임즈에 실리기도 했다. 조선의 몰락

과 함께 시작된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그 역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을사오적이 팔아

버린 조선이라는 나라는 아직도 역사의 거센 풍랑을 마주하고 서있다. 건국 60주년

이라는 이상한 논리를 펼치는 정부의 속내가 궁금하다. 60년을 광복과 독립이라는

흥분과 환호속에 반성하고 새로이하고 더 좋은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해온 우리다.

추악한 패배자들의 그림자가 2008년 대한민국을 어둠속에 몰아 넣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사리사욕이 아닌 모두를 위한, 소통과 완전한 통합을 위한 모두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역사의 순환을 이야기했다. 역사는 그렇게 과거의 흐름속에 현재를

담아낸다. 위대한 패배자들을 만난것도, 추악한 배신자들의 삶을 엿본것도... 현실에서

다시는 그런 愚을 범하지 않기 위함일 것이다. 100년전 어리석은 역사의 반복이 아니라

찬란하게 미래의 선도하는 앞으로의 500년 대한민국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것이 독도를, 동해를 영원히 우리 곁에 자리하게 만드는 힘일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