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키, 하루키 - 하루키의 인생 하루키의 문학
히라노 요시노부 지음, 조주희 옮김 / 아르볼 / 2012년 10월
평점 :
올해도 어김없이 노벨 문학상 후보에 이름을 올린 작가가 있다. 우리의 바램은 고은 선생이었고 아마도 그네들의 바램은 무라카미 하루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한중일 삼국지에서 올해는 중국의 손이 번쩍 치켜져 올라갔다. 또 다시 고배. ... 일본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를 말하라면 무라카미 하루키, 단연 그의 이름이 가장 먼저 자리할 것이다. 네임밸류 면에서 가장 우월하면서도, 그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작품 측면에서도 그리 많은 작품들을 만난 것 같지도 않다. '상실의 시대'로 알고 있는 '노르웨이의 숲'과 아직 내 책장에서 손길을 기다리는 '1Q84'정도가 다랄까!
익숙한 이름, 하지만 낯선 작가라는 말이 어울리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조금 가까이 알고 그의 문학에 다가가는 기회를 얻게 해주는 책 한 권과 만난다. 바로 <하루키, 하루키>가 그 주인공이다. 히라노 요시노부의 이 작품은 히라노 요시노부라는 교수에 의해 쓰여진 무라카미 하루키의 평전이다. 일본 중견 출판사의 '일본의 작가 100인' 시리즈의 한 권으로 기획된 이 작품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삶을 다룬 부분과 그의 문학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하루키의 삶과 문학, 너무나 궁금하고 기대된다.
하루키의 삶과 인생은 그의 부모님과 유년시절로 시작된다. 죽음의 공포로 각인된 최초의 기억과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그의 작품속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들로 재탄생했다고 한다. '노르웨이 숲'의 배경이 되기도 했던 와세다 대학의 진학과 서쪽 기숙사, 그의 아내 요코와의 사랑,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문예지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하고 '노르웨이 숲'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에 시기별로 흥미 있게 그려진다. 전세계 33개 언어로 번역 되어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노르웨이 숲'에 대한 이야기들과 우리에게 익숙지 않은 다른 작품들과 작품세계에 관한 이야기들이 깊은 눈으로 하루키의 인생을 들여다보게 만든다.
'노벨상에 대해서는 누구에게도 아무 달도 듣지 못했고, 실제로 저는 어떤 상에도 흥미가 없습니다. 저에게는 독자가 상입니다. 카프카를 존경하고 있기 때문에 상을 받으러 왔지, 특별히 노벨상을 염두에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 P. 148 , 2006년 프란츠 카프카 상 수상식 기자 회견에서 -
<하루키, 하루키>의 저자인 히라노 요시노부는 서문에서 이 책의 가장 큰 성과가 일본 신인 작가의 등용문인 아쿠타가와 상에 두 번이나 떨어진 것이 하루키에게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점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시간이 흘러 이제는 노벨상이라는 거대한 산 앞에 선 하루키. 하지만 과거의 상에 대한 트라우마는 현재 진행형인 것일까? 벌써 몇번이나 노벨상에 고배를 마신 그이기에 왠지 걱정이 되기도... 정말 2006년에 했던 말처럼 그는 상에 연연하지 않을까? 잠시나마 그런 고민 아닌 고민들에 미소가 지어진다. 하루키?~ 하루키!! ^^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12/11/19/19/easlle2_0698534567.jpg)
그의 삶, 인생을 들여다 보는 일도 재밌었지만 2부에서 하루키의 문학과 만날 수 있어서 더욱 흥미롭다.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낯선 작품들이 그의 이름과 함께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데뷔작인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진정한 의미의 첫 장편소설인 '양을 둘러싼 모험', 익숙한 이름 '노르웨이 숲'과 '1Q84'. 작품들의 줄거리와 감상 포인트가 친절하게 담겨져 있다. 이 한 권으로 하루키의 문학 전부를 아우를 수 있을 정도로 인상적으로 기록된것 같다.
'적어도 내게 있어서는 소설가라는 직업에 승패는 없다. ... 쓴 것이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도달했는지 아닌지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그것은 간단하게는 변명할 수 없는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는 뭐라고든 적당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기 자신의 마음을 속일 수는 없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을 쓴다는 것은 풀코스 마라톤을 달리는 것과 비슷하다.' - P. 172 -
하루키에게는 고독과 그리움이 있다. 많지는 않지만 만나본 그의 작품들이 그랬고, <하루키, 하루키>속에서 들여다본 그의 삶이 왠지 그런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런 의미에서 그를 알게 한 작품 '노르웨이 숲'이 국내로 들어오면서 '상실의 시대'라는 전혀 다른 느낌의 이름을 안고 등장한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는 생각이 들게한다. 하루키가 가진, 그의 작품속에 담겨진 상실, 고독, 그리고 삶에 대한, 사람에 대한, 시간에 대한 그리움!! '1Q84'를 통해 하루키는 아직도 그런 깊은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너무나도 익숙한 이름, 무라카미 하루키! 하지만 그의 삶도 그의 문학도 그리 익숙치만은 않았다. 오히려 낯설다는 말이 어울리지 않을까. 하지만 그런 낯섬을 통해 새롭게 그의 인생에 같이 발걸음도 건네보고 그가 하려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게 된다. <하루키, 하루키>는 바로 하루키에게 다가가는 작은 발걸음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와 함께 걸으며 삶을 이야기하며, 그의 문학에 대해 말을 건네는 편안하고 흥미로운 시간이된다.
'완벽한 문장 따위는 없어. 완벽한 절망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야.'
이렇게 말하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사랑한다. 고인 물이 아닌 항상 분주히 발걸음을 내딛는 그의 끝없는 도전에 박수를 보낸다. 완벽한 문장을 위한 것이 아니라 끝없이 도전하는 것이 작가의, 문학을 대하는 이들의 모습이라고 그는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지금까지 그래왔던 그의 문학 인생처럼 강렬한 붉은 표지를 가진 <하루키, 하루키>, 그를 알고 싶은 그의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이 작품을 권하고 싶다. 그리고 머지않아 노벨상 수상 소식도 함께 들려 오기를... 그는 아니지만 우리가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