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를 리뷰해주세요.
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 - 일상에서 찾는 28가지 개념철학
황상윤 지음 / 지성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대답이 'Philosophy'라는 어원에 바탕을 둔 '지혜에의 사랑'이라는 표현일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내 그러한 답이 쑥쓰러워지는 이유는 너무도 도식적인 대답이라는, 그리고 그것으로는 철학에 대한 어떤 실질적인 것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스스로 깨닫기 때문일 것입니다. 교육과정에서 많은 철학에 대한, 또는 철학을 설명하는 책들을 대하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하겠다고 나서는 것 자체가 우스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자가 말하듯이 '모른다'는 사실을 솔직히 인정하고 '잘 모르겠다'고 대답하는 것이 철학이 무엇인지 설명하는데 더 그럴 듯한 철학적인 자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철학의 다양한 모습과 철학이 삶에 적용되는 형태들을 이야기할 수 있기는 하겠지만, 역시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완벽한 설명을 찾는 것은 무모해 보일 뿐이니 말입니다. 

  하지만, 이 책도 철학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책이니만큼, 그 처음의 시작은 '철학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철학 자체에 대한 탐구와 다양한 철학적 주제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책의 처음의 시작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경험론과 합리론을 통한 세상과 사물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와 참과 거짓 등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3부에서는 인간이 인간이 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사유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고, 4부에서는 도덕과 윤리, 5부는 역사와 유물론, 6부는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습니다. 즉 실제 생활에서 우리가 접하는 정치와 역사와 도덕에 대한 것들을 철학의 눈으로 더듬어 보는 과정인데, 무심코 넘기던 사실들에 대한 질문을 하게 만들고 또한 그것들에 대한 진지한 생각을 하게 만드는 부분입니다.  

 책의 제목에서처럼 소소한 일상에서 유쾌한 철학적인 삶을 건져올릴 수가 있을까?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주제들은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실들이지만, 역시나 읽는 이로서는, 그러한 주제를 철학을 빌려 논하는 것은, 땅에 발붙이고 아웅다웅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이야기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철학적인 소양이나 교육의 문제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삶속에서 사람들이 부딪히며 현실적으로 느끼는 것들과는 저만큼 떨어진 곳에서 주절거리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더 강하게 들기 때문입니다. 비록 구름위에 올라타서 흥얼거리는 정도는 아니지만, 소소한 일상을 굳이 철학적인 사고의 틀로 해석하려는 모양새가 그러한 일상을 더 복잡스럽게 만든 것은 아닌지.... 물론 이 모든 것을 소양의 탓으로 돌릴 수가 있겠지만 말입니다. 

**************************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  철학이라는 골치아픈 학문을 조금 더 일상에서 다가설 수 있는 녀석이라는 생각을 들게 만든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 진지함을 원하는 사람... 그 중에서도 진지한 질문, 다른 방식의 질문을 원하고 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는 사람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 모든 질문에는 정답이 있고, 그 정답만큼의 진실이 있다. 그러나 모든 질문이 동일한 진실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질문에 따라 정답이 달라지고 드러나는 진실의 범위도 달라진다. 따라서 철학은 질문의 내용을 중요시한다.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