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도덕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진환.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화제의 중심에 서 있는 저자가 바로 ‘마이클 샌델’아닌가! 그가 던졌던 화두은 우리 사회를 뒤흔들었고, 나 역시 그 충격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다. ‘공정 사회’의 기치와 맞물려 전혀 공정하지 않은 사회, 그 사회에 대한 환멸과 스스로를 돌아보며 자신의 양심과 정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자각은 신선하고 또한 놀라웠다. 솔직히 말하면, 결코 쉽지 않았다. 아니 어렵다. 머리가 지끈지끈거리고, 자신의 한계를 끊임없이 느끼며 이리저리 마구 흔들렸다. <정의란 무엇인가?>란 책은 내게 그랬다. 그리고 무엇인가 커다란 결핍감에 또 다시 ‘마이클 샌델’의 저서를 손에 쥐었다. 마땅히 읽고 그가 던지는 화두들을 곰곰이 생각하고 스스로를 다시금 돌아봐야만 했다.
얼마 전 기가 막히는 공금횡령사건이 있었다. 공금횡령이야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국민의 성금을 관리하는 ‘공동모금회’의 횡령 사건은 무척 당혹스럽기까지 하였다. 우리 사회의 저변에 깔려있는 도덕적 해이, 거짓말, 부패, 도덕 불감증 등, 그 문제의 심각성을 이 연말 뼈저리게 느낀다. 대통령이 내걸은 ‘공정사회’의 기치! 그런데 공정사회라는 화두가 우리에게 가져온 불신, 실망, 좌절, 환멸은 우리 스스로 ‘정의’와 ‘도덕’을 논하게 한다. 바로 지금 우리에게 왜 도덕이 화두일 수밖에 없는지 고민하며, <왜 도덕인가?>를 펼쳐, 다함께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했다. 절묘한 시기와 맞물려, 그가 던지는 숱한 질문들을 고민하고 해답을 찾아야 했다. 그것이 우리 사회의 숙제 아닐까?
민주 사회에서 도덕성의 의미와 본질, 그것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을 다루며, 여러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 딜레마를 이야기한다. 그렇게 다방면에서 공정한 사회를 위한 도덕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많은 사례를 통해 도덕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게 된다. 여지없이 전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파고들며 적나라하게 오늘을 비판하고 있다. 욕망의 충동을 부채질하는 자본주의, 대량 소비 사회에서 우리가 간과하고 무시하고 있는 도덕적 가치를 고찰하며 스스로를 돌아본다. 도덕, 양심이 밑바닥으로 떨어진 오늘, 지금이라도 정신을 바짝 차려야하지 않을까? 더 늦기 전에. 돌이길 수 없다는 한탄을 쏟기 이 전에 말이다.
최근 ‘강남몽, 허수아비춤, 비즈니스’와 같은 소설들을 통해 자본주의 경제 중심의 우리 사회의 비열하고 추한 단면과 마주하게 되었다. 경제적 풍요 속에 감춰져 있던 사회 제도의 모순과 비인간적인 행태들을 생생하게 들여다보면서, 천민자본주의, 부정축재로 일구어낸 모래성 같은 허상과 마주한 느낌! 그렇게 어떤 허기와 갈증을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문제의 핵심을 찌르며 사고할 수 있는 시간, 우리가 놓치고 외면했던 문제들의 근본을 파헤치며, 스스로 해답을 찾아야했다.
용어의 개념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논쟁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번 <왜 도덕인가?>역시 만만치 않게 어려웠다. 칸트, 듀이, 롤스 등과 같은 위대한 학자들의 주장과 논쟁 속, 실례 중심의 전개 방식은 논쟁의 중심으로 훨씬 쉽게 다가가도록 도왔다.
특히, 인간이 자신의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인 ‘자유’에 대한 상실과 불안에 대한 논지는 무척 흥미롭게 다가왔다. 또한 미국의 실례 중심임에도 그 속에서 우리 사회의 흐름을 읽을 수가 있었다. 미국의 70년대는 마치 오늘의 우리와 다르지 않은 느낌이랄까! 10년에 걸친 인플레이션과 실질임금의 하락으로 스스로 운명을 개척할 수 있다는 미국민들의 자신감을 무너뜨렸다는 지적은 우리의 모습 그 자체였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일으킨 한강의 기적, 그 놀라운 경제 발전과 풍요를 맛보려는 찰라, IMF 경제 위기는 우리 안의 자부심과 열정을 무참하게 무너뜨리지 않았는가! 그리곤 이젠 불안과 좌절의 노예가 되지 않았는지 되돌아보게 하였다.
진정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로 이 세상에 당당히 서 있는지, 또한 양심과 도덕적 가치 앞에 떳떳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게 된다. 그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 곱씹고 또 곱씹으며, 한 번 쯤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도덕’, ‘도덕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 문제의식과 대안을 통해 한 걸을 나아갈 수 있는 계기로 삼기에 충분한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