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01 | 102 | 103 | 1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법의 순간 (양장)
파울로 코엘료 지음, 김미나 옮김, 황중환 그림 / 자음과모음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대학생 때였을 것이다. 파울로 코엘료의 책을 처음 만난 것은. 학교 도서관에서 공강 시간을 때우고 있던 중 발견한 "연금술사". 무심코 펼쳐든 책으로 어쩌면 나머지 인생이 뒤바뀌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극적이지 않고 담담하게 청춘과 열정을 이야기하는 그를 보면서 나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다고 다짐하였다.




파울로 코엘료는 "희망"을 이야기하는 작가이다. 청춘에게 힘을 주고 위로를 하는 그의 글들을 보며 용기를 내어 새로운 길을 찾아나서는 청년들이 많았다. 마치 목사님, 스님처럼 온화한 얼굴로 그는 나지막하면서도 힘차게 이야기한다. 하고자 한다면, 온 세상이 너를 도울 것이라고.



인생은 짧습니다.

그러니 가슴안에만 담고 있는 말이 있다면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 생각하고

오늘 한번 해보세요.



이번에 구입한 <마법의 순간>은 그가 트위터에 남긴 글들을 모아 엮은 책이다. 140자라는 한계가 있는 트위터에서 그의 글들은 한계가 없다. 사랑을 이야기하고, 인생을 이야기하고, 삶의 태도를 노래한다. 그의 글들에서 부족한 나의 모습을 찾을 땐 부끄러워지다가도, 이내 용기를 주는 그의 말에 마음이 벅차다. 



스스로가 불행하다고 느껴질  때는 행복한 척을 해보세요.

일주일 안에 진짜로 행복해질 것 입니다.



글과 함께 한 그림도 인상깊었다. 내가 읽는 책을 건너 보던 남편은 그림만 보고 어떤 주제에 관한 것인지 이야기할 정도로 글과 일러스트와의 조화가 아주 좋았다. 마음에 와닿는 그림이랄까. 좋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 코란까지 읽는다는 황준환씨의 말에도 감동을 받았다. 그렇다. 이렇게 모든 사람이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다. 에필로그를 읽으면서도 배우고 또 배우는 책이다.





당신이 기다려온 마법의 순간은

바로 오늘입니다.

황금마냥 움켜잡을 지

아니면 그냥 흘러가게 내버려둘지는

당신 마음먹기에 달렸습니다.




이 책을 구입한 후 몇 권을 더 구입했다. 요즘 지쳐있는 동생에게 한 권, 아이를 낳아 기르느냐 고생하는 친구에게 한 권씩 더 보내려고 말이다. 아마 그들도, 이 책을 읽고 마음의 평화를 얻는 마법의 순간을 함께 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가를 갖는 이유는,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이다, 라고 인문학적으로 생각해본다. 일만 하면 그게 사람이겠는가. 그리고 그게 삶이겠는가. 강신주의 감정 수업은 철학에 인간미를 덧붙인 그런 책이다. 딱딱하고 메마른 인문학이 아니라, 실제로 숨을 쉬는 사람을 위한 인문학이다. 스피노자의 철학이 이렇게나 인간 중심적이었는지, 그리고 그의 철학과 강신주의 해석으로 위로받는 나자신을 발견하였다. 인문학으로 위로받는 휴가, 아, 생각만 해도 달콤하다. 게다가 지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열어 놓은 창문 너머로 달이 밝다. 어제는 도톰한 송편 모양이더니 어느새 살이 올라 언뜻 보기에 둥근 보름달 같다. 뜬금없이 달 이야기를 하는 건, 저 달을 나에게 허락한 창문이 고마워서이다. 그리고 창문처럼, 투명인간을 허락한 성석제 작가가 고마워서이다. 한국 소설가 중에서 가장 오지게 이야기를 잘하는 작가, 이야기꾼이라 칭하는 성석제가 신간을 내었다. 요근래 그의 책들을 보면서 `좀... 이야기가 약해진 것 같다. 싱겁다.` 라고 생각했던 나인데, 그래서 투명인간에 대한 기대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한 인간의 비극적인 삶을 60-70년대의 슬픈 한국 현대사와 80-90년대의 북적거리는 분위기에 너무나 잘 녹아내었다. 수많은 화자가 등장하여 주인공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것도 새롭다. 그러면서도 정작 주인공은 한 마디 말이 없는, 주인공을 투명인간으로 만들어낸 작가의 붓에 더욱 감탄하게 된다. 감히, 성석제 작가의 대표작이라 할만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만수, 그가 잊혀지지 않는다. 홍천에 독특한 칼국수집이 있다. 한 할머니가 운영하시는 건데 번 돈을 쓰는 방법이 자못 새롭다. 칼국수를 팔아 번 돈으로 산불을 내고 돌아가신 남편을 대신해서 벌금을 내셨단다. 그렇게 살아온 세월이 20여년, 드디어 빚을 갚으셨다고, 내가 찾아가서 여쭈어 보던 해에 비로소 웃음을 보이셨다. 그 할머니의 웃음과 김만수의 표정이 언뜻 겹치는 것은 왜일까. 20여년을 빚을 지고 살아가는 그 마음은, 그리고 그 빚을 갚기위해 허름한 천막을 뒤집어 씌운 칼국수집을 매일같이 열며 힘들게 살아가는 모습이, 마치 다리 위에 투명인간이 되어버린 김만수의 힘듦과 같아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안타깝다. 생각할 수록 김만수가 너무나 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가지를 흔들 듯이 - 3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 3-1(가) 수록도서 동시 보물창고 3
정완영 지음, 김수연 그림 / 보물창고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처럼 더운 날이면 아무런 생각도 들지 않고 그저 덥다, 이 생각만 하게 된다. 그것이 비단 여름뿐만이겠는가. 봄에는 황사때문에 코가 간지럽다, 싫다. 가을에는 아 외롭다, 살찐다. 겨울에는 춥다, 아 춥다. 태생이 시인과는 거리가 멀기에 단순하고 일차적인 생각만 한다. 그러다 가끔 시를 읽게 되면, 같은 시간을 살면서도 다르게 표현하는 그들에게, 시에게 감탄한다.


정완영 시인의 <꽃가지를 흔들듯이>는 동시조집이다. 그러나 형태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동시조라는 느낌보다는 참한 동시의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낯설다, 라는 느낌보다는 익숙한데, 뭔가 다른 새로움이 느껴진다.



까치가 

깍 깍 울어야

아침 햇살이 몰려들고


꽃가지를 

흔들어야

하늘빛이 살아나듯이


엄마가 

빨래를 헹궈야

개울물이 환히 열린다.



동시조에도 행과 연을 도입하여 동시인듯 하면서도 마지막 종장의 첫 구절은 세글자로 시조의 형식을 갖추었다. 어떻게 보면 동시와 동시조의 구별을 짓는 일이 무의미한 듯 한 이 시들은, 그러나 동시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규칙성이 시를 더욱 안정감있게 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어딘가 차분한 마음이 들게 한다. 


시에서도 그러한 차분한 느낌이랄까, 나지막이 일러주는 할아버지의 음성이 들리는 듯 하다. 철저히 구어체의 문장으로 구성된 시조들은 할아버지 무릎에서 듣는 옛이야기들을 닮았다. 따뜻한 옛 정취를 함뿍 담았음에도 오래되었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건, 시인의 마음 속에 동심이 살아 있기 때문이리라. 읽으면서 가장 좋았던 시도 그런 시조였다. 아이와 할아버지가 묻고 대답하는 듯한 <꽃과 열매>라는 시조는 호기심 많은 아이와 할아버지의 대화를 엿듣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나뭇잎은 새파란데

꽃은 어찌 새빨갈까

세상에 꽃 빛깔 많아도

잎 닮은 빛 엎는 것은

벌 나비

환하게 불러

열매 맺잔 뜻이란다.


그러면 이상하다

꽃은 붉고 샛노란데

어찌해 풋열매는

잎을 닮아 새파랄까

잎 속에

덜 읽은 열매를

숨겨 두잔 뜻이란다.


용하고 또 용하다

높고 깊은 하늘의 뜻

열매가 다 익으면

고운 빛깔 갈아입혀

과일은

새에게 주고 

씨는 묻잔 뜻이란다.



<봄비>로 시작한 동시조는< 설날 아침>으로 이어진다. 사계절을 동시조에 담아내었다. 봄에는 상추씨도 뿌리고 보리밭을 건너기도 한다. 박꽃을 보다가 큰나무 아래서 더위도 피한다. 불러만 보아도 단물 잘잘 흐르는 달이 뜨는 한가위도 보내고 강물 소리 나는 연줄을 팽팽하게 감아 높이 연을 올려 띄운다. 지금은 잊혀진 일들이 많다. 요새 아이들이 상추씨를 알 것이며, 보리밭의 푸른 너울을 본 적이 있을까. 박꽃은 어떤 색인지 알려나. 희뿌연 하늘에도 달은 뜨는지, 연이 하늘로 올라가면 가슴이 벅차서 터질 것 같은 그 마음도. 아마 이 시조들을 읽어본다면, 아이들도 경험하고 싶을 것이다. 연도 상추씨도 박꽃도.



읽는 내내 가슴이 저미게 아름다운 추억들을 떠올리게 된다. 내가 기억하는 추억들을 몇 개의 자음과 모음들로 살려낸 시인의 마음에 고마운 마음이 든다. 그리고 그림을 그린 김수연 화백에게도 감사한 마음이다. 소설은 영화같고 시는 사진 같다고 했던가. 머리 속에 장면 장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시와 함께 그림으로 표현되어 더욱 좋았다. 시조들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그림들이었다. 하나하나가 작품이고 감탄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느려지는 미학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좀 더 어렸을 적에는 빠른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느리게 이해하고 느리게 행동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즐기고 간직할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된다. 정완영 시인의 동시조도 그렇다. 느릿느릿 나지막이 얼러주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01 | 102 | 103 | 1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