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영이 죽었다고?
김경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나는 왜 이모냥인지 모르겠다, 라는 생각을 했다.

책장을 덮고난 직후...

 

왜 , 남들이 다 재미있다고 할 때, 읽어보면 나는 그렇게까지나 재미나지가 않을 때가 많으면서도,

또 남들이 그리도 재밌다고 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나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별로 없게 만드는 것은,

사람이나 소설이나 영화나 모두,

내게는 '재미'가 없다로 치부되어 버린다는 사실을,

또 잊고 말았던 거다.

 

어쩌면 나는, 소설을 읽으면서 공감을 형성하기보다는,

내가 모르는 미지의 세계만을 찾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무릎을 탁 치게 하는 재간 보다는, 언어의 완벽한 구성보다는,

그냥 가슴이 좀 알싸한,

머라고 딱 꼬집어 말할 수 없는 그런 것을 어떻게든 찾으려고 혈안이 된 심정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때 이런 소설은,

잘못한 것 하나 없이 괜시리 미움 받는 며느리 짝이다.

나는 뭐, 말 안해도 알겠지, 못된 시어머니.

 

그래도, 결정적 미움을 산 이유는 한 가지 있었다.

'인용'이 넘쳤던 것.

나는 '인용'이 많은 책을 그다지 신뢰하지 못하는 편이다.

때때로 남의 말을 마치 자기 말인 것인 양 읊어대는 꼴을 보이는 사람들이 가엾거나 대화를 맥 빠진 골짜기로 끌고가 버리는 수가 있는데,

작가가 자신의 글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인용' 보다 몇 곱절의 도용을 해버린다고 느껴지는 순간,

이것 역시 좀처럼 애착이 가지 않는 것이다.

어쩌면, (오늘은 '어쩌면'이 정말 많이 들어가는군) 김경욱이, 인용 따위는 하지 않고도,

몇 몇 문장은 주옥같이 섬광같이 내지르는 정도의 천재성을 가졌을 거라고 섣부른 기대를 했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