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하는 힘>을 리뷰해주세요.
고민하는 힘
강상중 지음, 이경덕 옮김 / 사계절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얄팍하고 작은 모양을 하고 있지만 표지는 하드커버를 쓴 이 책의 외양은 아쉽게도 그 속내용과 닮아있다. 

'고민'이라는 제목으로 쓰인 단어의 무게감을 믿고 뭔가 얻을 요량으로 기대를 잔뜩 하고 이 책을 읽는다면, 당신은 곧 실망하게 될 지니, 아무쪼록 만약 일독을 하실 분이 있다면 출퇴근 길에 가볍게 읽을만한 에세이 정도로 기대하시길 바란다. 

나쓰메 쏘세키와 막스 베버, (약간의 톨스토이)등의 위대한 작가들의 고매한 작품에서 깊은 고민의 결과로 나온  인용할 문장들을 얻어다가 자신이 재일 한국인으로써 겪은 정체성 고민이라는 개인적인 경험담을 섞어 버무리는 방식 자체를 놓고 비난할 것 까지야 없겠지만 그래도 이런 정도의 제목을 들고 화려하게 등장했다면 단순히 시대의 우울을 배경 삼아 마케팅으로 승부하려는 책으로 보이지는 않게 좀 더 깊고 웅숭한 고민의 그늘을 보여주려고 신경을 썼어야 마땅하지 않을까. 

짧은 챕터 안에 그다지 울림이 없는 글들을 읽고 있노라면 저잣거리에서 술 한잔 기울이며 '왕년에 우리가 이토록 고민했던 것들이 아직도 현실에서 개선되지 않음'을 통탄하는 뭇 일반인들과 전혀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에 괜시리 억울하단 말이다. 

불평이 길었다. 그냥 한 줄 서평으로 썼다면 '아이고 고민하는 힘 보다는 고민하지 않는 힘을 알려주는 책을 차라리 원해요'라고 할 뻔 했다. -_-;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별로 없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별로 생각나지 않는다. 나쓰메 쏘세키의 책들이 많이 거론되는데 그 중 아무 책이나 읽어도 이 책보다 훨씬 고민거리를 많이 던져줄 것이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별로 없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 자아의 어둠을 찾다보면 이유도 모르는 이매망량(온갖 유령과 도깨비)이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그것을 피한다는 의미에서 고민 없이 사는 것도 현명한 삶의 방식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얼핏 원숙한 듯이 보입니다. 그러나 진짜로 원숙한 것이 아니라 바닥이 얕은 원숙함, 즉 원숙한 기운만 풍기는 것이지요.  

위 구절에서 여러 사람들을 떠올렸다. 작가가 딱 이 부분만을 빼서 한 권의 책을 썼다면 딴지일보 김어준씨 정도의 (그가 쓴 '건투를 빈다'에서 보인 정도)설득력은 가졌겠다 싶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4-20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4-20 16: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파고세운닥나무 2009-12-28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이 책 보며 아쉬웠던 건 나쓰메 소세키 부분이에요.

많지는 않지만 나쓰메가 조선을 비하하는 얘기를 몇 번 하거든요. 저는 강상중씨가 일본에서 재일조선인이란 정체성을 강고히 지킨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 자이니치를 만든 배경인 한일관계를 옹호하는 나쓰메를 어떻게 무비판적으로 읽어내는지 이해가 잘 가질 않았네요.

지적인 염결함이 부족하지 않나 싶어서요.

치니 2009-12-28 19:25   좋아요 0 | URL
나쓰메소세키가 조선을 비하하는 얘기를 했는 지는 몰랐네요. 흠.
전체적으로 고민하는 힘은, 저자가 더 열심히 만들어 나가야 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책이었는데, 말씀하신 지적인 염결함의 부족...그거 때문인 지도 모르겠다 싶어요. ^-^;

파고세운닥나무 2009-12-28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쓰메 소세키 연구자인 윤상인 교수의 <문학과 근대와 일본>을 보면 나쓰메와 관련한 글들이 있어요.
저도 작품 속에선 그런 걸 몰랐는데, 기행문에 그런 내용이 있다네요.

치니 2009-12-29 08:59   좋아요 0 | URL
아,예, 정보 감사합니다. ^-^ 소세키를 작가로써 좋아하는 편인데, 말씀하신 책을 읽어보면 일본문학을 조금 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도 있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