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이 고인다
김애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9월
평점 :
돌이켜보면 나는 철이 늦게 든 편에 속했다, 늘.
초등학교 5,6학년 정도에 처음 내 돈을 주고 사서 읽었던 소녀 잡지에서 자꾸 나오는 단어인 ‘생리’라는 뜻을 도통 모르겠어서 망설이다 엄마에게 물어보기도 했고, 젖봉오리가 살짝 올라올 때는 오빠에게 만져보라며 자랑도 했으며, 중학교 2학년이나 되어서 첫 생리를 시작했을 때에도 막연한 불편함에 서럽기는 했지만 여자가 되었다는 기쁨 따윈 생각도 못했다.
초등학교 4학년인가, 3학년에는,
집에 와서 하루 엄마가 안 보인다고 온 동네를 뛰어다니며 엄마!엄마!엄마! 소리를 지르며 울고 다니기도 했고,
초등학교 6학년인가 중학교 1학년인가에는,
자는 척 이불을 뒤집어쓰고 누운 나를 뒤로 하고 어딘가에 전화를 걸어 처음 듣는 엄마(여자)의 목소리를 내며 신문에 이름을 낸 옛사랑의 열정을 애써 도도한 목소리로 확인해보던, 그 전화 한 통을 걸기 위해 수날을 망설였다가 이내 자책과 실망으로 주저앉고 말았을 것 같던 불행한 모습의 엄마가 기억의 한 페이지로 존재한다.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가족의 트라우마는 마침 중학교 3학년 때에 내게도 찾아왔고, 그것이 여적 남은 걸 보면 나는 아직도 그때 겪은 외상을 어린 시절 읽은 잔혹 동화 정도의 하나로밖에 인식하지 못하는 비현실적인 구석을 지니고 있다.
엄마는 어린 내 눈에 하루만 안 보여도 안되는 무조건 ‘엄마’이면서, 어딘가에 더 이상 받을 수 없는 애정을 갈구하는 한 ‘여자’.
내게는 어쩌면 영원히 화합되지 못할 것 같은, 이중적인 존재.
이제 내가 엄마가 되어서 아이를 보면, 가끔 눈앞이 아주 뿌얘지면서, 도무지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알려주어야 할 지 모르겠는 나를, 아이더러 이해하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의 엄마나 나나,
아이들에게는 잔혹 동화를 읽어주는 사람이면서, 잔혹 동화를 겪게 하는 사람들. 아니 엄마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반복해서 서로에게 소통을 빌미로 그렇게 하고 산다.
김애란은 그것을 잘 알고 있고 그런 일들이 무심하게 일어나는 일상 속에서 소설이라는 한계적인도구를 사용해 자신만의 상상으로 만들어 낸 우주를 펼친다.
첫 작품집보다 두서가 없고 산만한 두번째 작품집은 소설이 지니는 한계와, 일상과 상상의 극단적인 부조화 속에서 피치 못하게 떨어지는 결과물이기도 하겠고, 조금쯤은, 안이함의 산물이기도 하다.
이러나저러나, 몇 편의 단편 중에서 두 편 정도를 제외하고는 무척 재미가 없다.
김애란은 나보다 꽤 어린 사람인데, 그가 묘사한 노량진이랑 학원이랑 자취방은, 왜 내가 겪었던 그 옛날의 그것들이랑 한 치 차이가 없는지, 그게 참 재미가 없다. 게다가 어떤 묘사들은 청신하다 느껴졌던 그만의 묘사에서 많이 식상한 쪽으로 기울었다. 글은, 재주라기보다는 사색과 부단한 연습에서 나오는 것이리라…또 다시 생각하게 되는 대목이다.
지금보다는 조금 더 오래 삭힌 세번째 작품집이 나오기를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