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격보다 우위에 자기를 놓는 태도.

‘나는 사랑할 자격이 없어’라고 고백하는 사람은 사랑 앞에서 자기 몸을 한껏 낮추면서 동시에 (그 겸손의 몸짓으로) 사랑을 한낱 자격의 문제로 끌어내린다. 자격은 ‘지금’ 없을지라도, ‘언제든’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얻거나 잃을 수 있다. 잃거나 얻을 수 있다. 언제든 잃을 수 있으므로 얻었다고 우쭐할 것이 아니고 언제든 얻을 수 있으므로 잃었다고 아쉬워할 것도 아니다. 그런 속셈을 추측할 수 있다. 더 위악적으로 해석하자면, 그까짓 자격, 일부러 갖추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한 것일 수 있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자격을 얻을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발적으로 그러지 않는다는 태도를 견지함으로써 그 자격을 깎아내리고 자기를 높이는 방법. 자격보다 우위에 자기를 놓는 태도. 못해서가 아니라 하기 싫어서라는 포즈. 

- 경멸과 연민

경멸보다 연민이 낫다는 건 아니다. 사실은 그 반대이다. 경멸은 대처할 수 있고 견딜 수 있다. 경멸은 일종의 공격이므로, 공격에 대해 방위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를테면 경멸하는 상대를 똑같이 경멸하거나 그럴 가치조차 없는 것으로 무시함으로써 이겨낼 수 있다. 형배가 그녀의 마지막 모습을 경멸로 기억하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경멸이 연민보다 쉬웠을 것이다, 적어도 그에게는. 그렇지만 연민은 공격이 아니고, 비유하자면 부드럽게 껴안는 포옹과 같아서, 일종의 베풂, 심지어 은혜라고까지 할 수 있으므로 방어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연민은 피할 수 없고 막을 수 없다. 어떻게, 무엇으로 은혜에 대항한단 말인가. 대항한다 하더라도 은혜에 어떻게, 어떤 손상을 입힌단 말인가. 덧붙이자면 이렇다. 행위자의 행위에 목적이나 계산이 없을 때는 손상을 입히는 것이 불가능하다. 손상은 그 행위가 아니라 그 행위의 목적이나 계산을 향하게 되어 있으니까. 그럴 때만 손상이 이루어지니까. 행위 자체가 아니라 그 행위의 목적이나 계산을 조준하고 치명타를 가하는 것이 공격이니까. 그런데 은혜는 목적이나 계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고, 무조건적으로 주고 그냥 손을 내미는 거니까, 그러니까 어떻게 해도, 어떤 타격을 가해도 손상을 입지 않는다. 어떻게 해도 손상되지 않는 것을 손상시킬 수단은 없다. 치명타를 날릴 수 없다.

그러니까 엄밀히 말하면 우리는 ‘꿈을 꿀’ 수 없다. 공부를 하거나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능동태의 동사(‘꿈꾸다’)를 쓸 수 없다. 꿈은 꾸어진다. 꿈꾸는 사람은 자기가 꾸는 꿈에 대해 무력하다. 자기가 꾸는 꿈속 인물들과 이야기에 대한 권한이 없다. 꿈꾸는 사람은 자기가 꿀 꿈, 꿈속의 인물이나 에피소드를 선택할 수 없다. 꿈은 잠자는 사람의 뇌 속에서 벌어지는 사건이다. 허락을 구하지 않고 허락을 할 수도 없다. 우리가 꿈을 꾸는 것이 아니라 꿈이 꾸어지는 것을 겪을 뿐이다. 사랑은 덮친다. 덮치는 것이 사건의 속성이다. 사랑하는 자는 자기 속으로 들어와 살기 시작하는(물론 허락을 구하지 않고) 어떤 사람, 즉 사랑을 속수무책으로 겪어야 한다. 

사랑하는 자의 말은 불가피하게 우회하는 말이다. 사랑의 말은 직선을 모른다. 아니, 모르지는 않지만 쓰지 못한다. 쓰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두근거림과 조심스러움, 즉 수줍음이 쓰지 못하게 한다. 직선의 언어는 빠르지만 날카로워서 발화자든 청자든 누군가를 다치게 하기 쉽다. 자기든 남이든 다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이 시작되는 현장에서 직선의 언어는 여간해서는 채택되지 않는다. 

이렇게도 말할 수 있다. 사랑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사랑에 대해 더 진지하다. 더 진지하기 때문에 함부로 하지 않는다. 함부로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시도하지 못한다. 함부로 하는 것은 사랑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함으로써 모독하느니 아예 하지 않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피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두려움은 멸시가 아니라 공경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싫기 때문에 다가가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존경하기 때문에 다가가지 못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다가가지도 못하고 떠나지도 못하는 비극이 그래서 생겨난다. 탈옥도 하지 못하고 개조하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상태. 

가령 고슴도치는 누군가를 안으려 하는 순간 몸에 난 가시로 상대방을 아프게 하고 만다. 문제는 ‘사랑한다’는 말이 고슴도치의 몸에 난 가시와 같은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가시가 아닌 말, 가시 돋친 말이 아닌 사랑의 말이 가시가 되어 누군가를 해할 수 있다면, 우리는 생각을 뒤집어야 한다. 말에는 가시가 없지만, 말해지는 순간 가시가 생겨날 수 있는 것일까. 가시 돋친 말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말해지는 특정 맥락 속에서 어떤 말은 가시 돋친 말이 되는 것이 아닐까. 맥락이 감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닐까.


  ‘사랑한다’는 말은 그럴 가능성이 유난히 높은 말이다. 아름답고 황홀한 말이지만 그만큼 위험하고 부담스러운 말이기도 하다. ‘사랑한다’는 아무 말도 아닌 말일 수 없다. 그저 그런 말, 하나 마나 한 말일 수 없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이 말을 듣는 순간 우주가 흔들리는 전율을 느끼지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온몸을 움직여 떨쳐버리고 싶은 이물스러움을 느끼기도 한다. 그런 종류의 말이다. 

사랑을 내세워서 무엇을, 그것이 무엇이든, 요구하는 사람은, 그 사람이 자기 사랑을 얼마나 대단하고 절실한 것으로 표현하든,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무엇을 요구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기 때문이다. 요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요구할 수 없는 것이 사랑이다. 사랑은 권력이 아니고 권력이 될 수 없고 권력이 되어서도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