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레몬이 노란색이라는 데(그리고 그것이 레몬이라는 데) 대체로 동의하는 이유는, 빛이 레몬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안구를 통해 뇌로 들어올 때 우리 모두의 뇌가 동일한 허구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우리가 눈으로 본 대상에 대한 의견이 갈린다면 해당 이미지가 어떤 식으로든 모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 사람의 뇌와 다른 사람의 뇌는 각자의 방법으로 그 이미지의 모호함을 해소한다. 파스칼은 이러한 해소가 일어나는 대표적 예로 개인 내면의 쌍안정 착시intrapersonal bistable visual illusion를 들었다. 뇌가 두 가지 가능한 해석을 동시에 택할 수 없고 한 번에 한 가지 해석만 선택하므로 ‘쌍안정’이라고 하며, 모두의 뇌가 동일한 두 가지 해석을 인정하므로 ‘개인 내면의’라는 말을 사용한다. 여러분도 그런 이미지를 한 번쯤 봤을 것이다. 예컨대 오리-토끼 이미지는 오리로 보였다가 토끼로 보였다가 한다. 뇌는 오리와 토끼를 동시에 볼 수 없고, 대부분의 사람은 이 두 가지 해석을 받아들인다. 꽃병으로도 보이고 마주 보는 두 사람의 얼굴로도 보이는 루빈의 꽃병도 마찬가지다. 


- ‘상당한 불확실성’에 해당하는 상황을 만나면 뇌는 자신의 경험을 이용해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해야 마땅한’ 것에 대한 환상을 만들어낸다. 다시 말해 새로운 상황을 만나면 뇌는 대개 자신이 보게 되리라고 예상하는 것을 본다. 


- 파스칼은 드레스 사진이 이와 동일한 현상이 드물게 일상적 상황에서 일어난 결과물이라고 생각했다. 이 사진은 과다 노출로 찍힌 듯 배경이 하얗게 바래 보이고, 이 때문에 드레스 색깔이 모호해졌다. 그러자 사람들의 뇌는 ‘자신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광원의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그 모호함을 해소했으며, 이 모든 과정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났다.


  이 사진은 흐린 날 싸구려 휴대전화로 찍었으며, 사진의 어떤 부분은 밝고 어떤 부분은 어둑하다. 파스칼은 이런 정보를 빠르게 나열한 뒤 물었다. “그렇다면 우린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조명이 애매한 거군요?” 내가 대답했다.


  “맞아요!” 파스칼은 사람들의 뇌가 조명의 모호함을 해소한 방식에 따라 뇌에서 인식한 색깔이 달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떤 이들은 그 모호함을 해소해 파란색-검은색이라고 결론 내렸고, 다른 이들은 흰색-금색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 모호함을 제거하는 자신의 방식이 명백히 옳다고 느끼는 이런 인지적 맹점을 나타내는 심리학 용어가 있다. 소박실재론naive realism이다. 이는 자신이 특정한 가정이나 해석, 편향, 감각의 한계에 얽매이지 않고 세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본다고 믿는 경향을 말한다. 


- 현실에 대한 해석이 양극으로 갈리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측면의 분석뿐 아니라 추론과 동기, 사회적 보상, 사회적 비용, 규범, 믿음, 태도, 가치관을 아우르는 심리적 측면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이해가 필요하다. 게다가 사람 간 상호작용만 관찰해서는 안 되고 각 개인의 뇌에서 일어나는 일, 뉴런과 호르몬, 신경절이 하는 일까지 살펴야 한다. 


- 심리학에서는 이를 프레임 경쟁frame contest이라고 부른다.16 사실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만(총기 난사는 심각한 문제다) 그 사실에 대한 해석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그런 사건이 일어난 것은 X 때문이다 / 아니다, Y 때문이다).


- 소박실재론 탓에 우리는 주관적 현실을 객관적 현실이라고 느끼고, 따라서 타인의 마음을 바꾸려면 그들에게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사실을 알려주면 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읽거나 목격한 것을 상대방도 읽거나 목격하면 당연히 그 사람도 나처럼 해당 사안을 깊이 숙고해본 뒤 나와 같은 관점을 갖게 되리라 여기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필요한 사실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해서 그런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 정보를 모두 알고 나면 그들도 자신의 견해에 동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견해가 다른 이들과 논쟁을 벌일 때 실상은 효과가 없음에도 자신이 믿을 만하다고 여기는 온갖 출처 링크를 복사해 붙이는 것이다. 물론 그들은 상대편이 잘못 판단했거나, 정신이 나갔거나, 정보가 부족하거나, 또는 그냥 완전히 틀렸다고 믿는다. 문제는 상대편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 과학자인 파스칼은 증거를 갖춘 결론만이 고려할 가치가 있는 결론이라고 믿는다. 자신의 현재 생각이 틀릴 수 있고 자신의 해석은 말 그대로 하나의 해석일 뿐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사람은 현재의 생각을 재고하게 하는 새로운 증거를 만났을 때 마음을 바꾸기가 더 쉽다. 


- ‘사람들은 모든 면을 보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화를 내지 않지만 틀렸다는 말은 듣기 싫어한다. 아마도 그것은 본래 사람이 모든 것을 볼 수는 없고, 우리의 감각이 인지하는 것은 항상 진실하기에 자신이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본래 틀릴 수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머리에서 나온 이유보다 자신이 찾아낸 이유에 더 잘 설득당한다.’


- 뇌는 불확실한 세계를 경험하고 처리하기 위해 수많은 가정을 할 수밖에 없다고 파스칼은 설명했다. 보통 이는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사실 수백만 년 동안 그래왔다. 문제는 우리가 그 가정들을 과도하게 적용할 때 발생한다. 파스칼은 이를 타이핑할 때 자동 수정 기능의 제시어를 무조건 다 받아들이는 데 비유했다. 


-  우리는 사람들이 각자의 결론에 어떻게 도달했는지 묻고 이해할 줄 알아야 한다. 타인이 나와 다른 사전 경험과 가정, 프로세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나와 타인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확신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우리는 서로 다른 공동체에서 다른 문제와 목표, 동기, 관심사를 갖고 산다는 사실을, 무엇보다 서로 다른 경험을 지녔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만일 내가 타인과 같은 경험을 한다면 그 사람과 같은 의견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 틈을 만들어야 빛이 들어갈 수 있는 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