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의 뇌는 이렇구나

깊은 사고의 체험은 무중력처럼 자유롭다. 끝없이 떨어지거나 끝없이 올라가는 환각체험 같다. 현실 세계로 돌아갈 수 없는 자신이라는 생물은 소멸하지 않을까, 죽어버리거나 폐인이 되어버리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이 여러 번 덮친다. 그러나 그런 잡념은 여기서는 불순이고 중력이 되기때문에 몸은 순식간에 떨어지고 만다. 집중해 생각하는 동안만이라도 공간에 떠 있을 수 있다. 어쩌면 아주 짧은 순간 죽는 걸지도 모른다. 죽는 순간이 머리 회전이 가장 빠르지 않을까 하는 체감. - P167

호흡을 정돈하고 다시 도전하려 할 때는 좀 더 생각하면알 것 같았다. 좀 더 생각하면 도달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는 감각만이 마치 전기에 감전된 것처럼 찌르르 온몸을덮친다. 그리고 납득이 가는 것을 잡았을 때는 체온이 훌쩍오른 것 같은 여운이 남는다. 그것 역시 다음 환각 체험의동기가 될 것이다.
더 깊은 곳까지 잠기고 싶다. 더 먼 곳을 붙잡고 싶다. 끝없이 생각하고 싶다. 그때는 그런 기분이다. 하지만 몇 초후에는 이런 고통은 더 이상 싫다고 느낀다. 그리고 그 고통도 이내 잊어버린다.

수학 문제를 푸는 행위는 지극히 ‘곤충적‘이었다. 그것은 생각한다고 하기보다 유인당하는 것에 더 가까웠다.
연구를 시작하고 내가 만난 사고는 그런 것이 아니다. 완전히 이질적이다. 물론 환하게 빛나는 결승점은 없다. 주위는 사방이 캄캄해서 자신이 더듬어온 길 이외에는 아무것도보이지 않는다. 가령 비약적으로 앞으로 나갈 수 있어서 무언가 손에 닿는 느낌이 있었어도 거기에는 ‘이것이 맞다‘ 하는 증명서는 준비되어 있지 않다. 그것이 맞는다는 것은 직접 확인하고 자신에게 설득하는 것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 - P169

좋은 경험이 되었다는 말로 사람은 뭐든지 긍정해버리는데, 인간은 경험하기 위해서 태어났을까? 지금 내가 하는일은 단지 경험하면 되는 걸까?
경험을 쌓는 것으로 인간은 차츰 훌륭한 존재가 된다.
하지만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출발점으로 돌아갈 수도없다.

"이상해. 그렇게 마음이라는 말을 꺼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정말 이상해. 다들 이상해. 수식을 열심히 생각하는 사람도 다른 사람에 대해 인정하는데, 인간의 마음이 어쩌니 저쩌니 말하는 사람은 수식을 생각하는 사람을 인정하지 않아. 타인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인간으로서 부족한 거 아냐?"

"왜 칼부림 이유 묻지 않았어?"
"글쎄, 그냥. 이유를 말로 들어도 결국은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추상화할 수 없어. 추상화할 수 없다는 건 이해할수 없다는 거야. 말을 들어도 이해한 게 아냐."
"그럼 이해한다는 건 어떤 거야?"
"그 이해로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거야. 그 칼부림을 저지른 사람의 이유를 이해했다고 그것으로 칼부림이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냐 하면, 그런 건 아니지."
"흐음. 그런가?"
"물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은 있어. 심리학, 과학, 아니면 사회학 정도일까? 제대로 그런 연구를해서 정신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사람은 있지. 그 사람은이유를 조사해서 연구를 하고 대책을 강구해, 하지만 주위에서 알고 싶어 하는 구경꾼들은 아무것도 할 수 없어. 그냥 알고 싶어할 뿐이지."
"그래, 그런 건 나쁘다는 거지?"
"나쁘다는 건 아니야. 그것이 일반적이야. 호기심은 누구나 있잖아. 단지, 호기심을 제대로 활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자신의 호기심을 인간이나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쓰고 싶은 것뿐이야. 애써 이 세상에 태어났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