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하루 한 장만 보아도, 하루 한 장만 읽어도, 온종일 행복한 그림 이야기
손철주 지음 / 현암사 / 2011년 5월
평점 :
그림의 멋에 취하고, 이야기의 향에 취하다!
길을 걷다 보면 문득 바쁜 걸음을 멈추게 되는 노래가 있다. 다른 일에 집중하고 있다가도 자꾸만 귀를 기울이게 되는 이야기가 있다. 애써 시선을 주지 않으려 해도 자꾸만 시선을 잡아끄는 그 무엇이 있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가 그러하다. 한 폭의 그림이, 우리의 옛 그림이, 그 정겨운 이야기 한 자락이 바쁜 발걸음을 멈춰 세우고 귀를 기울이게 한다. 좋은 것을 보면 사랑하는 사람이 생각난다 했던가. 좋은 것을 보고, 멋스러운 이야기를 들으니 나만 알고 있기에는 아까워진다. 글을 나누고 싶다. "우리의 옛 그림 이야기 한 번 들어보겠니?" 나도 모르게 선뜻 손을 뻗어 낯 모르는 이의 옷자락이라도 잡아끌 기세다.
서양 화가들의 명작은 심지어 샴푸 용기에도 프린트 되어 나올 정도로 우리에게 익숙하다. 어떤 이들은 그림만 보고도 누구의 것, 어떤 화풍, 어떤 시대의 것인지 빠삭하게 알고 있을 정도로 친숙하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가 보여주는 우리의 옛 그림은 어디서 한 번쯤 보암직한 그림이면서도, 어디서도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그림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 미안해지고, 그래서 더 재밌기도 하다. 기다리고 기다렸던 인연을 만난 것처럼, 이제야 만난 것이 아쉽기도 하고 이제라도 만난 것이 다행이다 싶기도 하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에 왜 이처럼 겉잡을 수 없이 빠져드는 것일까. 일단 저자 손철주 선생님의 이야기 솜씨가 아찔할 만큼 현란하다. '글맛'이라는 단어를 실제 맛보기라도 한 것처럼 글자 그대로 맛깔스럽다. 이렇게 빛나는 글쏨씨가 우리의 옛 그림을 보고 해석하는 탁월하고 예리한 눈과 만나니 이 한 권의 책이 그 자체로 한 폭의 그림이 되었다. 그러나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그 주체가 영 글렀다면 아무리 빼어난 글솜씨도, 대상을 해석해내는 예리한 눈도 쓸 데가 없어질 것이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에 그렇게 빠져들었던 이유도, 우리의 옛 그림이 가진 그 정겨운 마음과 멋스러운 삶의 향취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림에 담긴 이야기는 우리의 것이며, 옛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오늘 우리의 이야기이고, 오늘 우리의 삶이기도 하다. 그렇게 우리의 인생은 나고 자란 이 땅에서, 그리고 결국 자연의 한 자락으로 돌아가는 이 땅에서 그렇게 돌고 돌며 돌고 있었다.
장맛비의 시끄러운 소음도 잊게 만들고, 습한 더위도 잊게 만들고, 시름도 우울한 기분도 잊게 만들었던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 중 가장 먼저 보여주고 싶은 그림은 이것이다.
정선, <꽃 아래서 취해>, 고래대박물관
저자의 이야기를 날 것 그대로 들어보자. "산 아래 푸르른 이내가 깔려 몽롱한 초봄의 한갓진 언덕. 오가는 이 뵈지 않고 복건을 쓴 도포자락의 노인이 혼자 노란 꽃 붉은 꽃 앞에 두고 휘청거린다. 술병과 술잔과 잔대가 발밑에 어지럽다. 춘풍이 코끝을 간질이는데, 낯술에 취한 노인은 눈이 반이나 감겼다. 꽃향기는 술잔에 스며들고 꽃잎은 옷 위에 떨어진다." 관찰하는 눈빛이 예리하다.
그림은 보이는 것만이 아니다. 이 그림 안에 감추어진 이야기가 이렇게 풀어진다. "권커니 잡거니 짝이 없는 노인은 꽃과 더불어 대작했다. (...) 흥을 돋워보려 하나 꽃피는 이 봄을 몇 번이나 더 볼는지, 마음 한 구석으로 수심이 파고든다. 꽃 꺾어 곁에 둔들 가는 봄을 잡아두랴." 노인의 마음속을 엿보았던가. 꽃 앞에 두고 휘청거리는 노인의 마음이 내게 전달된다.
그림에 인생이 담겨 있다. 그림은 우리에게 이런 지혜를 전한다. "청년은 봄맞이가 즐겁고 노년은 봄앓이가 힘겹다. 하여도 젊은 이들아, 우쭐대지 말거라. 봄나들이 길에 꽃 아래 취해 쓰러진 노인을 보거들랑 뒷날의 날인가도 여겨라"(20-21). 노인도 아니건만 서러웁다. 봄이 오면 노인도 앓는다! 봄을 앓는 저 노인 옆에 앉아 마시도 못하는 술 친구라도 되어드릴까. 세월이 지금처럼 빠르게 흘러 어느 새 저 그림 속으로 쏙 들어가 앉아 있게 되는 날이 오면, 나는 오늘을 떠올리게 될까.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는 뻔하고 당연한 이야기에 머무르지 않는다. 저 혼자 싸구려 감상에 젖어 들지도 않는다. 그림 안에 담긴 것은 이야기만이 아니다. 여기 놀라운 이야기 한 토막! 사대부 화가 남계우는 별명이 '남 나비'일만큼, 나비 그림에 있어서는 조선 제일이었다고 한다. 그는 수 백 종의 나비를 채집해서 꼼꼼히 관찰하고 치밀하게 묘사했는데, 생물학자는 나중에 그의 그림에서 희귀한 열대종 나비까지 찾아냈단다(60-61). 우리의 조상님들은 어찌 이리 지혜로우셨는가. 자랑스럽기만 하다.
최근에 천문학자가 미스터리였던 신윤복의 활동시기를 밝혀냈다는 보도가 있었다. 신윤복은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일컬어지지만 그에 대해 알려진 역사적 사실은 1758년에 출생했다는 것 단 하나뿐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한 천문학자가 신윤복이 그린 '월하정인'에 담긴 '빨간색 둥근 달'을 주목했다. 그 달의 모습을 분석한 결과 그것이 1793년 8월 21일 밤에 일어난 월식을 그린 것임을 확인했다고 한다. 천문학자도 알아볼 만큼 그리 정교한 그림을 화폭에 담았단 말인가. 감탄스러울 뿐이다. 그런데 신윤복은 그 '월하정인'과 1805년에 헤어졌는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우리의 옛 그림을 담아낸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는 '가을' 자락에 헤어진 여인의 뒷모습을 그린 신윤복의 <처네 쓴 여인>을 담았다. 뒷모습이여서 더 처연한 느낌이 드는 이 그림의 낙관에 그린 때가 적혀 있다. '을축년 초가을에 혜원이 그리다.' 을축은 1805년이고, 혜원은 신윤복의 호다(200-201). 내 마음은 그렇게 신윤복의 두 그림을 연결지으며 저절로 이야기를 짓고 있었다.
이 밖에도 "대찬 임금의 그림 솜씨"를 볼 수 있는 정조의 <들국화>와의 만남도 귀하다. 그림에 있는 낙관에 정조는 이렇게 새겨넣었다. '만천명월주인옹', 풀이하면 '온갖 물줄기를 고루 비추는 밝은 달의 임자'란다. "조물주에 버금가는 이런 대찬 호를 쓴 이는 나라 안에서 단 한 사람, 바로 정도다"(156). 참 알수록 멋진 임금이요, 그리운 군주이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는 "우리만" 알 수 있는 정겨움이 있다. "우리만" 알아볼 수 있는 멋이 있다. "우리끼리만" 통하는 정서가 있다. 술 취한 선비의 모습까지 어찌 그리 귀여운지 저절로 미소 짓게 하는 순박함이 있다(176). 희디 힌 매화 꽃 눈송이 흐드러지게 핀 날 거문고 가락으로 춘흥을 돋우려고 사랑하는 동무를 찾아갔던 멋스러움이 있다(16-17).
내 그대를 모르오나, 수줍은 손 뻗어 그대의 옷자락 살포시 잡아끄는 것은 나만 알기 아까운 그림이, 그 정겨운 이야기 들려드리고 싶기 때문이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