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을 말하다
탕윈 지음, 이문호 옮김 / 청홍(지상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한의학과는 그 어떤 인기학과보다 입시 경쟁이 치열하며, 전국에서 내놓라 하는 수재들이 가는 곳이다. 그런데 <한의학을 말하다>를 읽어 보면, 오랜 세월 서양 의학에 밀려 멸시와 차별과 배척을 당하며 불신의 늪에 빠져 있는 한의학의 위기를 읽을 수 있다. 수재들을 모아 한의사를 양성하고 있는데, 한의학은 요즘도 여전히 불신의 늪에 빠져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나도 한의학을 신뢰하고 있다고 하면서도, 몸이 아프면 당연한 듯 서양 의술로 치료하는 병원을 찾고 있다. 한의원은 치료보다는 보약을 먹고 몸을 보신하려는 목적으로 더 많이 찾았던 것 같다. 양약은 한약보다 값도 저렴하고, 처방도 간단하게 느껴진다. 게다가 병의 진단이나 치료도 왠지 서양 의술이 더욱 간편하고 정확하고 빠르다는 선입견이 있는 듯 하다. 그래서인지 실제 한의학은 서양 의술을 보조하는 정도로 여기고 있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한의학에 관한 책을 읽을 때마다, 한의학의 매력에 빠져 드는 것은 그 기초를 이루고 있는 '철학' 때문이다.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한의학은 몸은 하나의 우주로 보며, 균형을 중요시 한다. 이러한 동양 철학은 의술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예를 들어, 서양 의술과 비교해 보면, 서양 의술은 몸을 하나의 물질로 인식하여 째고, 잘라내고 하는 데에 거침이 없다. 게다가 몸을 전체의 우주로 인식하지 않고 질병 하나만 보고 치료하는 서양 의술은 약을 하나 처방해도 질병 하나를 고치기 위해 다른 부작용이 따르기도 한다. 이에 비해, 동양 철학에 기초한 한약에 다른 부작용이 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한약은 곧 보약이라는 인식도 그러한 약의 효능에 기인한다고 본다. 이러한 차이는 몸을 인식하는 철학적 사유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한의학을 말하다>는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생명'을 이해하는 데서 그 설명을 시작한다. 생명과 인간의 몸을 바라보는 한의학적 시각에서 질병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설명한다. 한자어로 된 전문용어가 많이 등장하지만, 질병이 발생하는 원리와 증상에 대한 설명이 여러 가지 구체적인 예로 제시되어 있어 상당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질병이 발생하는 '원리'를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이어서 설명되는 문진(질병을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동태평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일), 팔법(치료 방법)은 한의학적 이론을 토대로 몸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질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 개론적인 책이면서도 전문적인 의학 서적이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가 그리 녹녹치는 않다.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어도 개인이 방법을 직접 적용하기에는 어려워보인다(감기에 에 걸렸을 때 왜 생강차를 마시는 것이 좋은지 그 원리를 알고 실천하는 것 등과 같은 치료법은 상당히 흥미롭고 유익하다!). 그러나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읽는다면 '원리'를 이해하는 재미는 맛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내 몸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설명이 나왔을 때, 설명이 더 쉽게 이해하는 것도 아마 그것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으리라.

솔직히 나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의학에 대한 전적인 믿음이 사라지고 있다. 병을 진단해낼 수는 있지만 고칠 수 있는 질병은 많지 않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게다가 의술도 사람이 하는 것이라 치료 과정에서의 의료 사고나 실수도 많이 보아온 터라, 아파도 병원 가는 것이 갈수록 꺼려지고 있다. <한의학을 말하다>를 읽으며 드는 생각은, 아무것도 모른 채 서양 의학에 몸을 맡기는 것보다 우리 몸과 생명, 질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있는 것이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서양 의학과 한의학이 서로 상반되는 무엇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해주는 좋은 친구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한의학을 말하다>를 읽으니 '본초학'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이 커진다. 알수록, 몸을 건강하게 하면서 치료해주는 한의학적 치료에 매료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