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 - 소통의 기술, 세상을 향해 나를 여는 방법
유정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말하기를 바라보기’, 그것을 배우다!

보통 글쓰기나 경청은 어려운 기술이라고 생각하여 훈련도 하지만, 말하기는 상대적으로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말하는 것이 쉽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쉽게 내뱉은 말 때문에 상처가 나고, 오해가 쌓이고, 관계가 꼬이고 있는데도 자신은 그것을 잘 모를 수 있다. 말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도 말 때문에 후회하게 되는 경험을 많이해본 사람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가 그러니 말이다. 장황하게 살명했는데도 내 진심이 잘 전달이 되지 않을 때, 토론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감정적으로 대응했을 때, 순간 화가 나서 뱉었지만 내가 정말 하고 싶은 말은 그것이 아니였을 때, 매끄럽게 잘 발표하고 싶었는데 머릿속이 하얘지면서 할 말이 하나도 생각이 나지 않아 발표를 망쳤을 때 등 말 때문에 후회하게 되는 경우가 부지기 수로 넘쳐난다. 게다가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에서 배운 것처럼, 물리적 잡음, 심리적 잡음, 의미적 잡음 등 소통에는 늘 잡음이 존재하기 마련이니, 말하기를 통해 ’소통’에 성공하기는 생각처럼, 뜻처럼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

창조주는 ’말’로 세상을 창조하였고,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지혜를 얻었어도, 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만큼 훈련이 쉽지 않다. 어디에서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 막연하기만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는 말하기의 이론과 실제를 겸한 독학 교본으로 손색이 없다. 자기 주장만 가르치는 웅변술도 아니고, 소소한 말의 기술을 다룬 얄팍한 화술도 아니다.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를 통해 배우는 가장 중요한 ’말하기’는 ’말하는’ 행위에 대한 중요한 성찰과 진지한 자기 반성이라고 생각한다. 말하기는 단순히 ’음성’을 전달하는 행위가 이니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말하기는 ’말은 잘하기’, ’말만 잘하기’가 아니다. 제대로 말한다는 것은 소통의 전 과정이 원활하다는 것을 뜻한다." 말하기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종합적인 소통의 기술인 것이다. 말하기에는 사고와 성찰이 단계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저자의 가르침을 읽으며, ’똑똑한 사람’이 말을 잘하고, 말을 잘하는 사람은 똑똑한 사람이라는 나의 편견이 여지없이 깨어졌다.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는 말을 잘하는 문제를 단순히 자신감이나 용기의 문제로 풀지 않고, 또 당당해라, 도도해라와 같이 우격다짐식의 펌프질을 하지도 않는다. 먼저 분석을 통해 자신에 대한 성찰을 하게 하고, 그릇을 만드는 훈련과 상황별로 구체적인 실제를 훈련해보도록 도와준다. 간결하면서도 감동이 있고, 두루 살피면서도 포인트가 있는 그녀의 강의는 한마디로 ’엣지’있다! 그림 언어처럼 이미지로 전달되는 핵심적인 포인트들이 머리에 속속 들어와 박힌다.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를 통해 내 안을 들여다 보고, 나를 더 잘 알게 된 느낌이다. 자신감 있게 말하기보다, 신중하고 겸손한 자세를 가르쳐준다.

"말에 대해 배우는 것은 자신의 바깥에 있는 것을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안에 있는 것을 밖으로 꺼내는 작업이다"라는 말하기에 대한 저자의 정의가 마음에 남는다. 성경의 한 구절과 함께. "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누가복음 6장 4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