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크리에이티브 공장, 뉴욕 - 뒷골목 아티스트들이 이끄는 뉴욕의 예술경제학
엘리자베스 커리드 지음, 최지아 옮김 / 쌤앤파커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지금 결혼도 글로벌한 '시장'을 형성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아이디어와 기술이 자본과 미디어와 만나면 그것이 무엇이든 '상품'이 되고 '산업'이 되는 시대이다. 10여 년 전, 전국 석차를 헤아릴 정도로 공부를 잘했던 사촌 동생이 '연극영화과'에 진학하겠다고 했을 때, 작은어머니는 머리를 싸매고 몸져 누우셨다. 자식이 '학자'로 살기를 바라는 부모님 앞에 동생은 무릎을 꿇고, 문화와 예술이 곧 거대한 '권력'을 형성하는 세계적인 산업이 될 것이라고 부모님을 설득했다. 문화와 예술에 인재와 자본이 몰려들면서 세계적인 부와 명성과 인기가 집약되는 거대 산업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한 문화, 예술 산업이 집약된 대표 도시가 있다. 창의력과 재능으로 무장된 젊은이들이 몰려들고, 수천 개의 일자리와 수십억 달러의 매출액을 창출하고, 혁신과 경쟁으로 뜨거운 크리에이티브 산업이 집약된 도시, 바로 '뉴욕'이다. "해 아래는 새 것이 없나니"라는 성경의 한 구절을 인용하여 그것이 과연 진정한 '크리에이티브'인가 하는 것에는 딴지를 걸고 싶어지지만 그것은 논외로 하고, <세계의 크리에이티브 공장 뉴욕>은 '뉴욕'을 탐구 대상으로 하여 일부 특정 도시에서 크리에이티브가 왜, 그리고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집중 조명하는 책이다. 문화와 예술의 저변에 존재하는 사회, 경제적 메커니즘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번성하는지를 추적했다.

이 책은 이름 자체가 세계적인 브랜드인 유명인부터 뉴욕의 뒷골목 무명 아티스트들까지 문화, 예술계 종사자 100여 명을 인터뷰했다. 뉴욕이라는 도시에서 크리에이티브가 맨 처음 어떻게 발생했으며, 왜 특정 장소에서 일어나는가를 질문하며 '뉴욕의 예술경제 히스토리'를 구성해냈다. 뉴욕은 어떻게 크리에이티브를 만들어냈고, 그 크리에이티브는 어떻게 뉴욕을 만들어내고 있는가? 이 안에 작동하는 전쟁(세계2차대전), 제조업의 붕괴, 경제 침체와 싼 집값, 클럽과 밤문화, 자본과 미디어 등의 역학이 재밌다. 

그러나 뉴욕을 바라보는 저자의 눈에서 다소 주관적인 '하트'가 감지된다. 눈에 보이는 화려함에 도취되어 열에 들뜬 목소리. 저자의 분석은 흥미롭지만, 뉴욕에 대한 환상이나 로망에 젖어들고 싶지는 않다. 실제로 영화와 패션계에서 종사하는 친구들이 그곳은 운이 따라주어야 하는 '도박판'이라고 하는 푸념이 생각나기도 해서이지만, 세계를 주도하는 창조적 계급에 속하지도 못하고 뉴욕과는 전혀 상관없는 라이프 스타일을 가진 소외감이 다소 삐딱하게 작용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