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6
돌프 페르로엔 지음, 이옥용 옮김 / 내인생의책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역사의식과 성찰이 없다면, 
악행이 악행인줄도 모르는 이 천연덕스러운 '마리아'와 다를 것이 무엇인가.


책 제목을 보고 2백 년 전의 ’악녀 캐릭터’에 대한 궁금증이 가득했다.
2백 전의 악녀는 도대체 어떤 악행을 저질렀기에 '악녀'라는 꼬리표를 달고,
그것을 얼마나 대담하게 일기로 남겼을까?

그런데 정작 책을 펼쳐 읽고는 첫 장에서 경악했다.
<2백 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의 주인공은 이제 막 14살 생일을 맞은
하얀 피부에 파란색 원피스와 하얀색 에나멜가죽 구두가 잘 어울리는 천진한 ’소녀’이다!

내가 경악하는 이유는 ’악녀’로 등장하는 14살 소녀 ’마리아’가 
’너무나 보편적인’ 역사적 인물이라는 것 때문이다.
50년 넘게 어린이, 청소년 책을 썼다는 작가 ’돌프 페르로엔’은 
14살 소녀의 맑고 투명한 감성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것이 사실이 아니더라도 '소녀'에 대한 우리의 감상은
공동된 믿음을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판타지를 형성하고 있다.
각종 CF를 보라!
어린 소녀들의 것은 무엇이든 하얗고, 투명하고, 맑고, 순수하게 그려진다.
작가는 우리 모두가 지켜주고 싶어하는 그런 순수 '소녀'를 주인공으로 하여,
'너무나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된' 역사의 악행을 목도하게 한다.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적어도 나는 선한 사람이라는 믿음을 뿌리부터 흔들어 뽑아버리는
충격 속에서 말이다.
작가는 제대로 우리의 허를 찌른다! 
우리 안 어딘가에 자리잡고 있을 것이라고 우리가 믿고 있는
'순수'와 '선함'에 대한 믿음, 바로 그 정곡을!

14살 생일을 맞은 '마리아'는 성인이 된 기념으로 
태어나서 처음으로 자신만의 노예를 선물로 받는다.
그 노예를 다룰 채찍과 함께!
식탁 한 가운데 커다란 쟁반 뚜껑을 여니 꼬마 노예가 쪼그린 채 앉아 있었다.
꼬마 노예 꼬꼬는 늘 멍한 눈빛을 하고 있는데,
마리아는 그게 너무 화가 나서 하마터면 꼬꼬를 때릴 뻔했다.

매주 한 번 아줌마들이 집에 오시는데
에르다 아줌마의 노예가 케이크 한 조각을 바닦에 떨어뜨렸다.
야단법석이 났다.
마리아의 엄마는 꼬꼬에게 "싹싹 핥아 먹어"라고 명령했고,
아줌마들은 정말 놀라운 재치라고 말한다.

작가는 이렇게 말하는 듯 하다.
"노예를 다루는 '마리아'에게서 혐오감을 느끼는가?
그러나 우리가 역사의식과 성찰 없이 산다면, 
'악행'에 무지한  이 순진한 소녀 마리아와 다를 것이 무엇인가?"


"한참 뒤에 나는 점차 깨닫게 되었다. 
누구나 거대한 역사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는 사실을.
나는 하얀 피부 때문에 피부색이 검은 사람들에게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된다.
맞는 말이다.
나는 노예무역으로 큰 덕을 봐 잘 살게 된 나라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
이제 나는 똑똑히 안다.
역사란 우리가 잊지 않고 기억해야만 한다는 것을.
역사는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가르쳐준다"
(작가의 말 중에서).


피부색이 다르다는 그 한 가지 이유로 '인간'에게 온갖 악행을 저지르면서도
그들의 고통과 비명 소리를 들어도 아무 느낌이 없는 '마리아'처럼,
이 책을 읽고도 역사의식과 성찰의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면
우리는 악녀 마리아와 다를 것이 없는 것이다.
버젓이 자행되어 온 역사의 악행을 외면한 채,
'나의 가슴은 언제 커질까'를 고민하고,
멋진 청년 '루까스'에게 온통 관심이 가 있고, 
그 '루까스'에게 실망과 모욕을 느끼며 괴로워하고,
다시 여행을 하며 모든 걸 체험해 볼 기대와 함께 멋진 인생을 꿈꾸는 마리아,
그 마리아의 삶과 지금 내 삶의 차이가 무엇인가 말이다.

언제까지 우리는 마리아의 엄마처럼,
"똑바로 앉아. 여자애들한테는 나쁜 자세만큼 안 좋은 건 없단다"라는 식의
교육만 하고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