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왕 항우는 한왕 유방에게 항복했다 되돌아온 왕들을 이전과 달리 너그럽게 받아들였다. 모두 지난 죄를 묻지 않고 봉지를 되찾을 때까지 자신을 따라 싸우는 것을 허락했다. - P175

패왕이 엉뚱하게도 한왕을 뒤쫓는 대신 제나라를 다시 치겠다고 하자 범증은 애가 탔다. 귀담아 그 말을 들어줄 만한 사람은 모두 내세워 패왕의 뜻을 바꿔 보려고 애썼다. - P177

‘아부)의 수단이 너무 비루하구나. 아무리 일이 급하기로서니 한낱 궁궐 안의 여인네에게까지 손을 내민단 말이냐.‘ - P178

"대왕, 그게 바로 한왕 유방입니다. 유방이 그와 같은 자이기 때문에 신은 대왕께 그자를 어서 잡아 죽이라고 재촉하는 것입니다." - P181

이제 바람은 대왕 편에 섰습니다. 부디 이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십시오. 하루빨리 대군을 일으켜 형양으로 가서 유방을 사로잡고 천하 형세를 결정지으십시오!"
범증이 마침 좋은 기회를 얻었다는 듯 다시 한번 패왕을 부추겼다. - P186

대장군 한신도 팽성의 참패에서 받은 충격 때문인지 사람이 달라진 듯 변해 있었다. 한왕을 따라 팽성에 들 때까지만 해도 남아 있던 서생 티는 이제 깨끗이 벗겨지고, 일군의 총수다운 과단성과 위엄을 갖추었다. - P188

내 남아 대장부로 태어나 어찌 일생에 두번씩이나 항복으로 목숨을 구걸하겠는가. 그래도 명색 한 땅의 임금이었으니 임금답게 죽을 뿐이다.‘
장함은 그렇게 자신을 다잡으며 빼 든 칼로 제 목을 찔러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P205

위나라 정벌의 뒤처리까지 마친 한신은 형양으로 돌아가는 대신 다시 동쪽 조나라로 눈길을 돌렸다. - P233

한왕은 고심 끝에 장이를 닮은 사람의 목을 잘라 진여를 속이고 그를 한편으로 끌어들였다.
그런데 팽성 싸움을 통해 장이가 멀쩡하게 살아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진여는 하루아침에 한왕을 저버리고 초나라로 돌아서버렸다. - P236

"범증이 항왕을 달래 제나라와의 화호를 받아들이게 했다고 합니다. 그 바람에 초나라는 동북쪽을 걱정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또 항왕은 구강왕 경포에게 잇따라 사자를 보내 함께 출병하기를 권하고 있는데, 경포도 차츰 마음이 바뀌고 있는 것 같다고 합니다." - P261

"아무래도 여기까지 와서 조나라를 그대로 버려두고 군사를 모두 형양으로 돌릴 수는 없소. 사자께서는 먼저 돌아가셔서 이글을 대왕께 전해 주시오. 이대로만 하면 대왕께서 큰 낭패를보시지는 않을 것이오." - P262

위(魏)와 대(代)를 평정한 한신이 장이와 더불어 군사를 이끌고 조나라로 내려온다는 소문은 조왕 헐과 성안군 진여의 귀에도 들어갔다. 이에 그들은 대나라에서 조나라로 들어오는 길목이 되는 정형 길 조나라 쪽 어귀에 군사를 모아 놓고 기다렸다. - P263

반드시 뒤로는 더 물러날 수 없을 만큼깊은 물을 등지고 진을 쳐야 하오! - P274

먼저 지나간 한군이 지수 가에 진을쳤다는 말을 듣자 크게 소리 내어 웃으며 말했다.
"그것들이 많지도 않은 군사로 물을 등지고 진세를 벌였다고? 도대체 한신이란 더벅머리가 병법을 알기나 한다더냐? 예부터 배수는 흉이라 하였거늘..." - P276

"더 물러날 곳은 없다. 이기지 못하면 죽음이 있을 뿐이다. 어찌하겠느냐? 싸워 이겨 비단옷 걸치고 고향의 부모처자에게 돌아가겠느냐? 개돼지처럼 죽음을 당해 흰 뼈를 이 지수 가에 흩겠느냐?"
한신의 그런 외침에 잠시 지수 가가 조용해졌다. - P283

한신의 사자가 힘들여 달랠 것도 없이 연왕 장도는 스스로 한왕 밑에 들기를 빌었다. - P2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서 이 유 아무개도 끝인가. 교룡의 씨, 적제의 아들이란 것도 지어 내 퍼뜨린 한낱 허황된 거짓말로만 세상을 떠돌다가 잊혀지고 말 것인가. 아득한 푸른 하늘아, 나를 지어 이 땅에 보낸 뜻이 겨우 이거였더란 말이냐?" - P117

천하가 무엇이기에 그들과바꿀 수 있다는 것이냐. 그들의 목숨과 바쳐야만 얻을 수 있는천하라면 내 바꾸지 않으리라. 바꾸지 않으리라! - P120

범증은 하후영이 헤아린 것처럼 그리 어수룩한 사람이 아니었다. 태공 내외와 여후를 사로잡았다는 기별을 받고도 마음을 놓지 않았다
"이번에는 반드시 유방을 잡아 죽여야 합니다. 저 홍문에서처럼 또다시 유방을 달아나게 해서는 안 됩니다." - P130

하후영이 돌아보니 놀라 뻗대는 공자와 공녀의 팔을 움켜잡고 수레 뒤쪽으로 끌어가고 있었다.
"대왕, 무얼 하시는 겁니까?"
"아무래도 안 되겠다. 이것들 때문에 수레가 늦어진다. 이렇게 달려서야 어떻게 뒤쫓는 적을 떨쳐 버릴 수가 있겠느냐?" - P131

한왕이 다시 칼을 뽑아 들고 시뻘겋게 핏발 선 눈으로 하후영을 노려보며 꾸짖었다.
"어제 하루만 해도 과인의 한 목숨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장졸들이 죽을 구덩이로 뛰어들었느냐? 그렇게 건져 놓은 과인의 목숨을 저 못난 것들 때문에 잃어도 되겠느냐? 어서 그것들을 수레 아래로 내려놓아라. 그러지 않으면 네 목을 베겠다!" - P133

먼저 웃고 나중에 울게 된 꼴이 난 한왕 유방은 달랐다. 수십만의 장졸을 잃고 비참하게 쫓기는 신세가 되면서, 그동안의 자신을 돌아보니 모든 것이 후회스럽고 부끄럽기 짝이 없었다. - P139

장량이 그렇게 말해 놓고 다시 한 사람 뜻밖의 이름을 댔다.
"대왕께서 이미 거느리고 있는 장수들 가운데는 대장군 한신이 있습니다. 한신에게 따로 큰일을 맡기면 천하 한 모퉁이를 넉넉히 감당해 낼 것입니다." - P141

"알 수 없구나. 대장군이 이 군사 56만을 거느리고 항왕의 3만 군사를 막아내지 못하였다니. 실로 무엇에 홀린 듯하다."
한왕이 군사들을 둘러보다 탄식처럼 말했다. - P160

참으로 어리석고 못난 장수는 싸움에 지고도 아무것도 배우지 못해 같은 적에게 두 번지는 장수일 것입니다.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장수와 막빈들을 자신의 군막으로 모이게 한 뒤 한왕이 말하였다.
"팽성에서는 아래위가 모두 방심하고 태만하였다가 큰 낭패를 당했소. 허나 여기 모인 군사가 15만이 넘고, 사방을 떠돌며 과인에게 돌아올 길을 찾고 있는 장졸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니, 이제 한 번 맞받아칠 때가 된 듯하오. - P81

패왕 항우는 한나라 진세 깊숙이 파고들수록 그 두터운 군세와 정교한 짜임을 느낄 수 있었다. 한참 이름을 떨치던 때 장함에게서조차 느껴 보지 못한 진영이요, 배치였다.
‘한신 이놈이 허우대만 멀쑥하고 입만 번지르르한 책상물림은 아니었구나. 오늘 자칫하면 거록에서보다 더 힘든 싸움을 해야 될지도 모르겠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씨 부인은 외손자에게 폐비 윤씨가 사약을 마실 때 입었던 옷을 보여 주었고 그 옷에는 아들에게 마지막으로 전하는 편지가 피로 적혀 있었어. 내 원한을 풀어 달라고." - P323

"내가 무슨 짓을 한 거지?"
대현은 그의 손을 내려다보았다. 텅 빈 거리에서 율이 그의 옆으로 와서 섰다.
"내가 어떻게 이 일에 동의한 거야?"
"자가께서 허락하셨든 아니든 이슬이는 들어갔을 거예요." - P362

"황수연"
내가 속삭였다.
언니가 나를 올려다보았다. 눈이 텅 비어 있었다. - P367

구더기가 한 걸음 더 다가와 속삭였다.
"누구의 편을 들지 잘 선택하십시오. 아무런 연줄 따위 없는 계집의 편을 드시겠습니까? 아니면 곧 이 나라를 다스리게 될 저희와 함께 하시겠습니까? - P379

제발 우리가 이기게 해 주세요. 나는 하늘에 빌었다. 제발.. - P381

"이번에는 범인이 뭐라고 썼대?"
기녀는 주위를 살피고 아랫입술을 깨물더니 작은 소리로 속삭였다.
"당신이 가장 증오하는 나 무명화를 머지않아 보게 될 것이다. 역사는 왕을 죽인 자로 영원히 나를 기억하리라." - P3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왕이 마침 한자리에 앉았던 범증을 돌아보며 물었다. 그러나 정말 몰라서 묻는 것 같지는 않았다.
"대왕, 아무래도 군사를 물리셔야겠습니다. 팽성이 위태롭습니다."
범증이 펄쩍 놀라는 얼굴로 대답했다. - P13

모든 일에는 기세란 것이 있어 언덕을 구르는 바위 덩이처럼한 번 굴러 내리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몰려가는 수가 있습니다. - P14

우리 대군이 더 이상 성양에 잡혀 있다가는 팽성이 영영 도둑 떼의 소굴이 되고 말 것이오. 과인이 먼저가서 빼앗긴 도읍부터 찾아 놓고 봐야겠소. - P22

"동북쪽에서 말발굽 소리가 들립니다. 적지 않은 인마가 달려오고 있는 듯합니다."
하지만 잠에서 깨어난 번쾌는 그게 바로 패왕이 이끄는 3만의 정병이리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 - P31

우 미인이 세차게 패왕의 품을 떨치고 나가더니 품안에서 날카로운 비수 한 자루를 꺼내 들었다.
"대왕께서는 어찌하여 늙은 도적의 호색을 입에 담으십니까? 신첩은 대왕을 다시 만나 섬길 수 없을 양이면 이 칼로 목을 찔러 세상을 버릴 작정이었습니다." - P36

"패왕이다. 패왕 항우가 돌아왔다!"
초군의 함성에 관영의 군사들이 놀라 허둥대며 소리쳤다. -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