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의 연인들
훌리오 메뎀 감독, 나즈와 님리 외 출연 / 에이스필름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I'll stay here as long as i need to.
I am waiting for the coincidence of my life, the biggest one. 

해가 연못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평행으로 지는 북극선에서 아나는 평생의 단 한사람을 기다린다. 바람에 흔들리는 문 소리에 가슴 철렁하며 뒤 돌아보기도 하고, 그 사람의 소식을 가지고 나는지도 모를 항공우편기를 쳐다보며 설레기도 하고, 샌드위치를 우적우적 먹기도 하고, 멀리서 들려오는 우체부의 자동차소리에 벌떡 일어나 마구 달려가 나한테 온게 있냐고 묻기도 하면서. 오늘 무슨 일이 있을거라는 직감만을 믿으며 온 힘을 다해 기다린다.  

난 감정 낭비를 하고 싶지 않다. 감정에 휘둘리며 이런 저런 일들을 그르치는게 싫다. 그 시간에 일을 더 열심히 한다거나, 책을 읽는다거나, 공부를 한다거나 하며 조금 더 발전적으로 살고 싶다고 요즘 들어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4년이나 함께 살던 남자와, 직장을 버리고 해가 지지 않는 곳으로 훌쩍 떠나 그 곳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며 오직 기다리기만 하는 아나의 모습을 보며, 비행기 운전 도중 그녀가 있는 지점에서 낙하산을 타고 훌쩍 뛰어내린 오토의 모습을 보며, 나라면 절대 그렇게 하지 못할거라 짐작하는 동시에 또한 그런 삶은 어떨까 동경해 본다. 

'It's good for life to have many circles.'고 오토는 말한다. 원. 순환. 자기의 이름 오토(Otto)나 아나(Ana)를 뒤에서부터 발음해도 똑같다. (감독의 이름도 마찬가지로 메뎀(medem)이다.) 수많은 우연이 겹치고 겹쳐서 여러개의 원을 만들고 우리는 그 안을 그저 둥글게 둥글게 걸으며 겹쳐지는 우연에 매번 새롭다는 듯이 감동하고, 슬퍼하고, 미워하고, 사랑한다. 하지만 오토의 원은 오직 하나다. 아나. 

나의 원 중심에 한 사람만이 있다면, 그리고 그의 원 중심에도 나 하나만 있다면 오토와 아나가 그랬던 것처럼 삶은 조금 더 살기 편했을지도 모르겠다. 그 감정의 질량이 같아서 똑같이 힘들고, 똑같이 괴롭더라도 중간에서 나를 지탱해주는 사람이 평생 한 사람만 있다면 어떨까. 요즘 들어 결혼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데, 난 이 사람이 아니면 결혼을 할 수가 없겠다. 라고 생각했던 사람을 이미 놓쳤기 때문에 아마 안하게 되지 않을까. 라고 대답한다. 하지만 친구들은 내가 본래 외로움을 많이 타고 감정적이기 때문에 누군가 안정적으로 곁에 있어줘야 할 것 같아 보인다고 조언한다. 오토에게 아나가, 아나에게 오토가 있었던 것처럼 나에게도 그 누군가가 있다면. 나의 삶은 달라질까. 

하지만 둘만의 세상에도 둘만 있는게 아니기에 사랑하는 마음만으로는 안되더라. 가족도 있고, 친구도 있고, 일도 있고, 자살하고 싶은 마음도 있고, 떠나고 싶은 마음도 있고. 세상이 둘을 사랑하게 만들기 위해서 수많은 우연을 만들어낸다면, 반대로 둘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역시 수많은 우연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어떤 건 행운이라 부르고, 또 어떤 건 불운이라 부르면서 언젠가 내게 올 천재일우의 운명이 '또' 올거라 믿고 기다리면서 사는 도리밖에. 아나가 지지 않고 돌고 도는 해를 바라보며 오토를 기다렸던 것처럼.  

그러면 언젠가는 내 두 눈에 그를 담을 날이 있겠지. 

* 참고로 남자 주인공은 떼시스의 호러 영화광. 훈훈. 여자 주인공은 같은 감독의 [루시아]와 [오픈 유어 아이즈]의 여주. 노래도 잘해서 밴드도 결성했는데 Najwajean이란다.  

(그녀가 노래하는 동영상은 http://www.youtube.com/watch?v=RLOR0uJyfNE&feature=related)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1-01-16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이 둘을 사랑하게 만들기 위해서 수많은 우연을 만들어낸다면, 반대로 둘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역시 수많은 우연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영화보다 나는 뽀님의 이 글이 더 좋으네요. 둘을 떨어뜨리기 위해서도 역시 수많은 우연을 만들어낸다고는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 같은데, 생각해보니 그랬던 것 같아요. 맞아요, 떨어뜨리기 위해서 역시 수많은 우연을 이 세상은 만들어냈네요. 음, 지지 않겠어요.

지지말아요. 그러니까, 무엇에든.

Forgettable. 2011-01-17 11:25   좋아요 0 | URL
ㅎㅎ 그러니 행운이라고 생각 했던 것에 너무 고마워 하지도, 불운이라고 생각 했던 것에 너무 억울해하지도 말아야겠어요. 지지 않겠다니. 맞네. 정말 ㅋㅋㅋ 나도 지지 않을겁니다!

아주 오래 전 영화인데도 참 좋더라고요. 같은 감독의 '루시아'라는 영화가 진짜 괜찮은데, 락방님도 좋아할 것 같다고 생각되는데 보셨나요?

기웃 2011-01-16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북극의 연인들을 2003년에 봤으니 한 6,7년 지난 것 같은데, 당시 겨울 그것도 피츠제랄드가 말했던 '영혼들 마저 잠든다'는 새벽 세시쯤에 봤었지요. 당시 너무 인상적으로 봐서-(영화 탬포가 은근히 빨랐던 것으로 기억해요. 뭔가 후다닥 해치운듯한 느낌? 그래서 더 영화에 빠져 들었지요.)- 메뎀의 다른 영화를 찾아 보았었지요. 그 중에서 93년작인 붉은다람쥐는 정말 필견입니다. 혹시 보실 기회가 있으시면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지금은 영화를 거-의 보지 않지만 당시에 연 200편이상 본 영화들 중 열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정말 좋아하는 영화에요. ㅎㅎ

일본평론가 하스미 시게히코가 존 포드 감독 영화의 인물들이 빈 병 혹은 작은 돌멩이를 '던지는' 순간 반드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한다고 통찰했었는데 뽀님의 가출? ^^ 역시 존 포드의 인물들이 그랬듯 '던지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요. 반드시 뭔가 새로운 상황이 발생할겁니다. ^^. 꼭 그럴거에요. ㅎㅎ


Forgettable. 2011-01-17 11:34   좋아요 0 | URL
겨울의 새벽 세시라. '바람이 부는' 새벽 세시에만 익숙해 있었는데 '영혼마저 잠드는' 새벽 세시도 좋네요. 전 술 마실 때 아니면 세시까지 깨 있지 않는 사람이에요. 하하 영화 러닝타임이 짧은게 아닌데 오토, 아나, 오토, 아나, 오토, 아나, 오토, 아나의 눈, (마지막게 생각이 안나네요) 뭐 이런식으로 끊겨 있어서 더 보기 편했던 것 같아요. 전 [루시아]를 통해서 훌리오 메뎀을 알게 됐는데, 당시에는 [북극의 연인들]을 찾을 수가 없어서 ㅠㅠ 근데 [붉은 다람쥐]라니.. 토렌트를 또 뒤져봐야겠네요. ㅋㅋㅋ

저도 한 때 영화를 정말 많이 봤거든요. 지금도 영화 좀 봤다하는 사람들이랑 얘기할 때 그 때 본 영화들로만 대화를 이어나갈 정도로 많이 보다가 최근 몇년 간 영화를 거의 끊다시피 했죠. 그러다가 요즘 한 두편씩 보고 있는데(책을 거의 안읽으니 ㅋㅋ) 영화의 세계는 무궁무진해요. 본 영화들도 또 보고 싶을 때도 있고..

아. 새로운 상황이라.. 새로운 상황인 캐나다 생활에 점점 익숙해지니, 이제 한국 갈 때가 됐는데 그게 새로운 상황인지 익숙한 상황인지 잘 모르겠고 더 이상 낯선 것에 둘러싸여 어리벙벙하게 지낼 여력이 남아 있지 않은데 그렇다고 해서 익숙하고 지겨운 루틴을 반복하고 싶지는 않고 이래저래 참 복잡한 요즘입니다.

피비 2011-01-17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루시아 명작 ㅠㅠㅠ전 이거 극장에서 보고 정말 좋았는데 시사회하고 개봉은 못 한 비운의 작품
지금은 망한 스카라인가 거기에서 봤어요
아 님하 이 글 너무 시적이다 ㅠㅠㅠ감성적인 면의 표현이 부럽

Forgettable. 2011-01-17 15:04   좋아요 0 | URL
전 나다에서 봤던 것 같아요. 기억이 가물가물 ㅋㅋ
그래도 알 사람들은 다 알더라구요. 밤 바다에서의 섹스장면이 그렇게 부럽더란... +_+

감사합니다. ㅋㅋㅋ 영화 자체가 시적이어서 리뷰도 그렇게 쓰고 싶었는데 뜬구름 잡는 헛소리만 하는 것 같아서 좌절하며 썼는데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