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야의 이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7
헤르만 헤세 지음, 김누리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어렸을 때 세계명작전집에서 이 책을 접했던 적이 있다. 그 땐 닥치는대로 읽었기에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고 그냥 읽었다. [해저 2만리]를 책이 닳도록 읽었을 때였는데, [황야의 이리]는 엄청 재미 없어서 다시는 쳐다보지도 않던 그런 책이었다.
헤르만헤세를 다시 알게되면서부터 다른 책은 푹 빠져서 다 읽어도 이 책만은 손이 가질 않았다. 사실은 최근까지도 헤르만헤세의 책인줄도 몰랐다.
황량한 술집에 황량한 사람이 앉아서 술을 마시고 있던 이미지가 남아 있었다.
그래. 헤르만헤세에 공감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에 약간 실망하면서부터 마음이 멀어졌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공감하지 않을테다!'라며 눈을 부릅뜨고 책을 읽어내려가기 시작하기도 했거니와, 이제 그와의 이별이 다가오길 예감 혹은 기대하며 책을 읽었기에 지금까지 헤세에게 열광했던 것과는 상당히 다른 태도로 시작했다.
처음의 냉소적인 태도는 역시나 책장을 넘길수록 수그러들었고, 쇼팽의 피아노곡을 들으면서 술에 취해서 이 책을 읽는 순간이 가장 행복했다. 나는 절망에서 어떤 희열감을 느끼는 것인지, 불우한 천재의 아름다운 피아노곡과 인간이 만들어낸 넥타와 함께 끝도 없는 바닥으로 우리의 황야의 이리와 함께 침몰해가는 기분은 솔직히, 그 어떤 쾌락 만만치 않았다.
1. 헤르미네
읽는 내내, 나는 그녀- 헤르미네 였던가 -가 황야의 이리의 분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내가 한 사람이 아니다.' 라고 분명하게 처음에 명시를 했기에 나 역시도 급 공감을 하면서
- 아 이에 대해서는 지금 읽고 있는 [다중인격의 심리학]에서 매우 과학적으로 설명이 되고 있다. 크크 난 요새 내 행동을 다 다중인격으로 해석하면서 이 이론에 집착하고 있다. 취하면 술취한 나와 정상적인 나와 대화까지 시도 ㅇ리ㅏㅜㅠㅣ아ㅟㅏ나 미쳤고-
아주 당연하게 헤르미네를 그의 또 다른 모습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헤르미네가 죽었을 때 난 드디어 그가 정신적으로 통합된 모습을 보이며 성장하는구나 라며 뿌듯해했는데, 왠걸 혼나고 깨지고, 심지어 끝에 비평에서는 그녀를 하나의 인간으로 못박아버리는.. '-'* (두둥)
그렇지만 뭐 책은 온전히 독자의 것이니 난 끝까지 그녀가 황야의 이리의 반대편에 있었던 따뜻한 인격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2. 쓸쓸함
하루만에 책을 다 읽어버리는 습관은 어디론가 내팽개친 채, 책 한권을 갖고 며칠을 끌기도 하고, 심지어 다른 책을 동시에 읽기도 하는 습관이 생겼다.
여튼 그 땐 이 책에 한참 빠져서 읽던 중이었는데 시를 쓰는 후배를 만났었다. 그날따라 아파서 술을 못마시는 그의 모습이 얼마나 쓸쓸했던지, 난 황야의 이리를 읽으라고 한 5번 얘기했던 것 같다. 황야의 이리를 현실에서 만나는 것이 아마 그 마술극장을 만나는 것보다 더 신기한 일일 것이야.
3. 근 6개월동안 헤르만헤세의 작품들을 달려왔다. 마르케스와 소세키, 서머셋 몸에 이어서 4번째 작가였다. 황야의 이리를 끝으로 아마도 당분간 헤세와는 안녕이다. [유리알유희]는 아껴두고싶어. 다음 작가로 누굴 만나야 할지.. 지금 폴 오스터를 약간 건드려볼까 했는데 비슷한 느낌이지만 역시나 현대작가들은 건방진 지식인의 태도가 단어와 문체에서 배어나와서 빈정상한다.
끝엔, 상당히 지친 기분이다. 끝낸지 꽤 됐는데 아직도 헤어나오질 못하고 있다.
어젠 오랜만에 스무살 정도에 쓴 일기들을 봤는데 그 땐 이 정도로 절망적이지 않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