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vey Cox

 2010년 8월, 기독교 윤리학자인 하비 콕스의 대표저서인 <세속도시>가 재출간되었고, 그의 최근작인 <종교의 미래>가 동시에 출간되었다. 이를 기억하며, 국민일보의 '21세기 신학자들' 시리즈에 소개된 내용을 여기에 옮겨놓는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등장한 신학의 주제는 세상에 대한 관심이었다. 이것은 패러다임의 커다란 변화로 초자연적인 것에서 자연적인 것으로, 저 세상적인 것에서 이 세상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됐다. 현대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과 전통 기독교에 대한 신뢰 약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1960년대 초 몇몇 신학자들은 독일의 디트리히 본회퍼가 주창했던 세속적 신앙, 즉 성숙한 세계 안에서 기독교를 재현시키려는 신학 작업에 몰두하고 있었다. 세속문화의 한 복판에서 신학을 구출해내고자 하는 다각적 시도들이었는데 그중 잠시 스쳐간 운동은 '세속적 기독교 운동'이라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세속을 신앙적 영역으로 끌어들여 교회가 어떻게 하면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인간의 도시를 건설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려 했다.

이러한 신학적 시도는 하비 콕스(82) 박사에 의해서 집약됐고 대중화됐다. 예일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공부한 콕스는 1965년 하버드대 신학부 교수로 부임했다. 1960년대부터 도시 목회와 민권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속신학을 실제로 적용했던 그는 세속화 신학이 교회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 그 의미를 찾아내는 일에 관심이 있었다. 그는 교회의 기초는 '세속도시'라는 이미지로 상징되는 사회변화, 사회혁명의 신학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속도시의 이미지를 기초로 전통적인 교회 선교의 3대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전개하기도 했다. '케리그마', 즉 교회의 말씀 선포 기능은 이 세상의 권세를 장악했음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교회가 새 시대, 즉 모든 억압 세력과 개인적 사회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선포한다. 두번째는 '디아코니아'로, 교회의 봉사 기능이다. 신앙 없는 사람들과 협력해 도시화한 인간 삶이 만들어낸 심각한 병리현상과 고뇌를 안고 있는 사람들을 유화(宥和)시켜 도시 보존과 보건을 위하는 일에 참여함으로써 도시의 병폐를 치유하자는 기능이다. 셋째는 '코이노니아'이다. 이는 친교 기능으로서, 인간의 도시를 가시화하는 것이다. 교회가 무엇을 선포하며(케리그마) 또 그것이 무엇을 가리키는가(디아코니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교회의 책임을 말한다.

콕스는 여기서 한발짝 더 나아가 이러한 이해는 교회만 누리는 특권이 아니라고 봤다. 오히려 인간 도시의 실재를 가장 유력하고 손에 쥐어줄 수 있게 예증하는 것이 어느 곳에서 나타나든 그것은 하나님 나라의 표지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지들은 세속신학 운동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설서였던 '세속도시'(1965)에서 보여주고 있다.

리전트칼리지 스탠리 그랜츠(기독교 윤리학) 교수는 "이 책의 매력은 1960년대의 소용돌이 속에 놓였던 교회의 청년들이 느끼고 있던 두 가지 첨예하게 대립된 차원을 하나로 묶어준 저자의 능력에 있었다"며 "이 작품은 당대의 혁명적 분위기를 반영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활동적이며 책임있는 그리스도인으로 살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했다.

하지만 콕스의 신학은 인간의 성숙도와 책임감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관찰한 나머지 그리스도의 십자가라는 대주제는 빠져 있었기에 비평가들의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에 대해 그는 1963년 한 청소년수련회에서 "이 세상을 예수의 십자가 사건이 매일매일 계속 진행되는 현장으로 보고 이 지속되는 십자가 사건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그후 '세속도시'를 떠나 신학적 방랑과 다양한 신학적 실험을 시도하며 설화신학과 해방신학을 거쳐 타종교적 전통과의 대화 쪽으로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교회성장연구소 홍영기 소장은 "하비 콕스를 통해 본 세속화 신학은 현대문명을 배경으로 해서 전통적인 기독교 진리를 재해석하려는 신학"이라며 "서구 신학은 전반적으로 세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신죽음의 신학, 희망의 신학, 정치신학, 해방신학 등은 세속화 신학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세속화 신학은 다양한 모습을 갖추며 더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속도시>이외에도 하비콕스의 저작들은 적잖이 출간되어 있다.  '세속화'에 대한 그의 관심과 탐구가 기독교라는 테두리 안에 있는 사람들(독자들)을 넘어서 기독교 밖에 있는 이들에게도 적잖은 관심을 일으켰기 때문일 것이다. <세속도시>와 <종교의 미래>외에 출간된 그의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예수의 생애에 대한 간명한 기록이자, 복음서에 대한 간략한 개관을 제공하는 <예수>(톰 라이트 지음, 이혜진 옮김, 살림, 2007)의 말미에는 그가 권하는 일련의 책 목록이 있다. 그 책 목록과 라이트의 평가를 옮겨놓는다. 원서, 역서 모두 알라딘에서 검색이 안될 경우 제외했고, 원서의 경우 최근판이 있을 경우, 그 책을 링크했으며, 역서가 있을 경우 원서 제목 밑에 병기해놓았다.

 

 

 

Bammel, E, ; Moule, C.F.D.(eds.) 1984. Jesus and the politics of His Day. Cambridge: CUP(대부분) 세계적인 석학들이 발표한 주요 저작 모음집. 브랜든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Barton, Stephen A. 1992. The Sprituality of the Gospels. London: SPCK/Peaboy: Hendrickson. (번역본) <사복음서의 영성>, 스티븐 C.바턴 지음, CLC, 1997   

복음서에 대한 매우 귀중한 연구. 복음서를 읽으며 신학적이고 영적인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Betz, Otto.1968[1965]. What Do We know about Jesus? Trans. M. Kohl. London: SCM Press/Philadelphia: Westminster. (번역본) <역사적 예수의 진실>(복음주의신학총서 19),옷도 베츠 지음, 편집부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1978   

짧고, 명쾌하고, 읽기 쉬우며 역사적으로도 세심하게 씌어진 글. 저자는 유대 사료(사해문서와 같은)를 매우 잘 활용하여, 학계에서 이 분야에 눈 뜨기 전부터 예수의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Bockmuehl, Markus. 1994. This Jesus: Martyr, Lord, Messiah. Edinburgh: T&T Clark.   

신약 연구계의 떠오르는 샛별(케임브리지 대학, 영국). 저자는 최근의 저서에서 참신한 방식을 도입하여 예수의 삶을 재조명했다. 

 

 

  

 

  

 

Borg, Marcus J. 1984. Conflict, Holiness and Politics in the Teachings of Jesus. Studies in the Bible and Early Christianity, vol. 5. New York/Toronto:Edwin Mellen Press.  

예수에 대한 저자의 첫 저작이었으나, 어떤 의미에서는 초석이 된 책. 이 책은 현재까지도 매우 중요한 저서로 남아 있다.   

 

 

 

 

 

Borg, Marcus J.1987. Jesus: A New Vision.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번역본) <예수 새로보기>,마커스 J.보그 지음, 김기석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1997
다소 사색적인 문체가 사용된, 저자의 학자적 역량에 깊이를 더한 저서. 

 

+마커스 보그는 '예수 세미나' 회원이며, 국내에도 다수의 저작이 출간되었다. '예수 세미나'회원답게 주로 역사적 예수 관련 서적이 주를 이루지만, <새로만난 하느님>, <기독교의 심장>처럼 조직신학적인 색채가 묻어난 에세이도 몇몇 보인다. 대부분 '예수 세미나' 회원들의 저작을 상당수 번역한 한국기독교연구소에서 출간되었지만, 대한기독교서회와 같은 온건한 기독교 출판사, 홍성사와 같은 조금은 보수적인 기독교 출판사에서도 그의 저작이 출간된 것을 보면 '예수 세미나' 회원들 중 가장 온건한 색채를 띈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톰 라이트와 공동작업을 한 <예수의 의미>와 같은 저작이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 

*한국어로 번역된 마커스 보그의 책들  

 

 

 

 

 

 

 

 

 

Brown, Colin. 1984. Miracles and the Critical Mind. Grand Rapids, Mich.: Eerdmans.   

Brown, Colin. 1988.[1985] Jesus in European Protestant Thought, 1778-1860. Grand Rapids: Baker. Mich.   

저자는 예수 연구에 깊이 관여해 온 철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예수에 대한 그의 다른 주요 저서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여져야 할 작품 .

 

 

 

 

Brown, Raymond E. 1994. : The Death of the Messiah: From the Getsemane to the Grave. A Commentary on the Passion Narratives in the Four Gospels. Anchor Bible Reference Library. New York and London: Doubleday and Geoffrey Chapman. 

방대하고 학구적이지만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글. 최소한 한 세대를 기념할 만한 책. 그의 주장이 옳다면, '예수 세미나'는 완전히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크로산은 이에 대해 즉각적으로 강력하게 응수했다(1995). 

 

+故 레이몬드 브라운 신부는 가톨릭 신약신학계의 지도적인 신학자였으며, 그 영향력은 가톨릭과 개신교를 아우른다. 국내에서도 상당히 많은 저작이 번역되었는데, 가톨릭 출판사와 개신교 출판사를 가리지 않고 출간되었다는 것이 주목할만하다.

*한국어로 번역된 레이몬드 브라운의 책들 

  

 

 

  

 

 

 

 

    

 

 

 

Burridge, Richard A. 1992.  A Comparison with Graeco-Roman Biography. Cambridge: CUP. 

Burridge, Richard A. 1994.  A Symbolic Reading. London: SPCK/Grand Rapids; Eerdmans. (번역본) <네 편의 복음서 한 분의 예수?>,리차드 A.버릿지 지음, 김경진 옮김, 기독교연합신문사출판국(UCN), 2004 
 

저자는 고전학자였다가 방향을 바꾼 신약학자이다. 그의 전작은 복음서가 실은 '자서전'이었음을 증명했다. 다소 대중적인 입문서. 

 


 

 

 

 

 

Crossan, J. Domminic. 1991. The Historical Jesus: . Edinbirgh and San Francisco: T&T Clark and Harper.  (번역본) <역사적 예수>,존 도미닉 크로산 지음, 김준우 옮김, 한국기독교연구소, 2000
Crossan, J. Domminic, ed. 1991. Jesus Parallels: A workbook for the Jesus Tradition. 2nd ed. [1st ed. entitled Sayins Parallels] Philadelphia: Fortress. 

 

 

 

  

 

Crossan, J. Domminic. 1994. . San Francisco: Harper San Francisco. (번역본)<예수: 사회적 혁명가의 전기>, 존 도미닉 크로산 지음, 김기철 옮김, 한국기독교연구소, 2007

저자는 샌더스와 쌍벽을 이루는 현대 북미 예수학자이다. 예수에 대한 저자의 대표작(1991)에는 그의 입장이 분명히 제시되어 있다. 그의 다른 소품(1994)에는 보다 대중적인 수준으로 그의 입장이 표현되어 있다. 세 번째 작품(1995)는 레이몬드 브라운에 대항하기 위한 것으로, 정경 복음서의 예수 수난 부분은 신학적인 영감을 얻어 씌여졌으며, 반유대주의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 허구라 주장했다. 한편 원 예수 수난 부분은 <베드로 복음>(1998년 작을 보라)에 나타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학자들은 <베드로 복음>이 훨씬 나중에 씌어졌다고 생각한다.

 

 + 전 가톨릭 신부이자 로버트 펑크, 마커스 보그와 더불어 '예수 세미나'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인 존 도미니크 크로산은 (그의 저작들에 대한  평가는 논외로 두고) 현대 '역사적 예수' 연구에서 주요한 학자 중 하나다. 그의 저작들 역시 국내에 적지 않게 소개되어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도미니크 크로산의 책들

   

 

 

 

 




 

Evans, Craig A. 1989. : Life of Jesus Research  An Annotated Bibliography. Leiden: Brill.
열정적인 독자들조차 한동안 분주하게 만들 만한 내용이 담긴 광범위한 목록이 나열되어 있는 책. 이곳에 들어있는 글들 모두가 매우 중요하다.

 

Farmer, W.R. 1956. : Maccabees, Zealots and Josephus An Enquiry Into Jewish Nationalism in the Greco-Roman Period. New York: Columbia
Farmer, W.R. 1964. The Synoptic Problem: A Critical Analysis. London, New York:Macmillan.
Farmer, W.R. 1982. Jesus and the Gospel. Philadelphia: Fortress.
Farmer, W.R. 1994. The Gospel of Jesus : The Pastoral Relevance of the Synoptic Problem.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저자는 다른 사람들이 30년이나 걸린 내용들을 1950년대에 이미 읽어냈다. 그의 1956년 작은 여전히 중요한 작품으로 남아 있으며, 1982년 작을 통해 보완되었다. 1994년 작은 최근에 진행된 복음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복음서의 숨겨진 의미들을 기술하고 있다. 그는 주류학계에 대응해 오랫동안 <마태복음>이 먼저 기술되었다 주장해 왔다(특별히 1964년 작).

 

reyne, Sean. 1988. Galilee, Jesus and the Gospels: Literary Approches and Historical Investigatio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예수 시대의 갈릴리를 조명했던 선두주자. 저자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Funk, Robert W., and Roy W. Hoover. 1993. The Five Gospel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Words of Jesus. New York: Macmillan.
총 천연색으로 '예수 세미나'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주장이 빈약하기 이를 데 없다

+ 톰 라이트가 '빈약하기 이를 데 없다'는 평을 달았지만(라이트는 '예수 세미나' 일원들의 논의, 특히 크로산과 펑크와 날카로운 각을 세우고 있다), 그건 그만큼 로버트 펑크와 도미니크 크로산이 주도하는 '예수 세미나'가 대중들에게 적잖은 호응을 일으켰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크로산과 보그에 비해 펑크의 저작은 국내에 그다지 소개되지 않았는데 소개된 한 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로 번역된 로버트 펑크의 책

   

 

 

 

Harvey, Anthony E. 1982. Jesus and the Constraints of History: The Bampton Lectures, 1980. London: Duckworth.
고전학자였던 신학자가 쓴 중요하고도 혁신적인 작품. 일부 결론에 의문의 여지가 있고, 최근 북미 연구에서 경시되기도 하였으나, 여전히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Hengel, Martin. 1981[1968]. The Charismatic Leader and His Followers. Trans. James Grieg. New York: Crossroad Publishing.
Hengel, Martin. 1995. Studies in Early Christology. Edinburgh: T&T Clark.

현대 신약학자들 중에서도 가장 학구적이라 할 수 있는 신학자가 쓴 두 권의 매우 중요하고도, 어떤 면에서는 현학적인 저서. 예수와 초기 기독론을 1세기 유대주의를 바탕으로 다루고 있다. 

+마틴 헹엘은 튀빙엔 대학 명예교수며, 신약성서와 초기 유대교 문헌연구로 많은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내에도 적잖은 책이 소개 되었다. 

*한국어로 번역된 마틴 헹엘의 책들 

   

 

 


 

 





  

Horsley, Richard A. 1987. Jesus and the Spiral of Violence: Popular Jewish Resistance in Roman Palestine.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Horsley, Richard A., and John S.Hanson. 1985. Bandits, Prophets and Messiahs: Popular Movements at the Time of Jesus. Mnneapolis: Winston Press.
사회 저변의 가난한 계층이 일으켰던 운동과 유사한 맥락에서, 예수는 정치 혁명이 아닌 사회 혁명을 옹호했다라고 보는 책. 

+ 리차드 호슬리는 진보적인 북미권 신학자라는 점 역사적 예수에 대한 관심을 '예수 세미나'와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수 세미나'의 접근방식을 비판하며 그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논의를 개진시켜나가고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리차드 호슬리의 책들 

  
 


  

  

 

 

 

  

Johnson, Luke T. 1995. . San Francisco: Harper.(번역본)<누가 예수를 부인하는가?>, 루크 티모디 존슨 지음, 손혜숙 옮김, CLC, 2003
'예수 세미나'를 강력히 비판하는 내용을 포함해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구 가톨릭의 관점(역사적 상황 속의 예수에 대한 연구는 개신교적 문제다)과 구 실증주의의 관점(진정한 예수는 우리가 다시 사신 왕으로 예배하는 바로 그 분이시다)사이에 유화적인 타협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Meier, John P. 1991 1/4.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Vol,1. The Roots of the Problem and the Person. Vol. 2. Mentor, Message and Miracles. New York: Doubleday.
(포스트 모던과 구분되는) 근대 비평주의 방법론에 기초한 방대한 연구 내용을 담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인 결론을 보인다. 향후 몇 년동안 널리 읽히고 논의될 듯 하다. 관련 주제를 진일보시켰는지는 더 두고 보아야 하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예수 세미나'와 그들의 저작에 강력한 제동을 걸었다. 

 



Meyer, Ben F. 1979. The Aims of Jesus. London:SCM Press.
이곳에 올려놓은 책들 중 무인도에 가져갈 책 하나를 고르라면 아마도 이 책이 될 듯하다. 저자는 이 분야에서 큰 조명을 받지 못한 영웅이다. 일부 주요 문제에서 나와 견해를 달리하고는 있지만, 그의 작품들은 모두 진지하게 다루어질 가치가 있다.

 

 

 


 

Moule, C.F.D. 1967. The Phenomenon of the New Testament: An Inquiry Into the Implications of Certain Features of the New Testament. SBT 2nd series, vol. 1. London: SCM Press/Naperville, Illinois: Allenson.
Moule, C.F.D. 1997. The Origin of Christology. Cambridge: CUP.
영국 신약학계의 원로가 쓴 두 권의 중요 저작이다.

 

Riches, John K. 1980. Jesus and the Transformation of Judaism. London:Darton, Longman and Todd/New York: Seabury.
중요하지만 약간 불균형적인 책.

 


 

Sanders, E.P. 1985, Jesus and Judaism. Philadelphia/London: Fortress Press/SCM Press. (번역서) <예수와 유대교>, E.P 샌더스 지음, 황종구 옮김,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Sanders, E.P. 1993.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London:Penguin.  

영미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약학자로 여겨진다. '예수 세미나'와 매우 상이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 1993년 작부터 살펴보아도 좋을 것이다.

*한국어로 번역된 E.P 샌더스의 책들  

  

 


 

 
 

 




 

Schweitzer, Albert. 1954[1906].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A Critical Study of Its Progress from Reimarus to Wrede. Trans. W.B.D.Montgomery. 3rd ed. London: A&C Black/New York: Collier (1968). (번역서) <예수 생애 연구사>,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1995  

'옛탐구(Old Quest)'의 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이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을 전한 책이다. 여전히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니는 자료로서 저자가 뛰어난 작가라는 점을 각인시킨 책이기도 하다.

 



 

Theissen, Gerd. 1987[1977]. Sociology of Early Palestinian Christianity. [English title: The First Followers of Jesus. Trans. J.Bowden. London: SCM Press/Philadelpha: Fortress. (번역서)<원시 그리스도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1986  

원시 예수 운동을 사회학적인 맥락으로 이해하려 했던 초기 작품으로 꽤 영향력 있는 작품이다.

 

 

 

 

Theissen, Gerd. 1987[1986]. The Shadow of the Galilean: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in Narrative Form. Trans. J.Bowden. London: SCM Press/ Philadelpha: Fortress. (번역서)<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 게르트 타이센 지음, 차봉희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1996 

재기 넘치고 창조적인 소설 같은 책. 자극적이고, 재기가 넘치며, 영리하고, 상상력을 자극한다. 



Theissen, Gerd. 1991[1989]. The Gospels in Context: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in the Synoptic Tradition. Trans. Linda M. Maloney.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번역서)<복음서의 교회정치학>, 게르트 타이센 지음, 류호성,김학철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02

공관복음서가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탄생하게 된 결정 과정에 관련하여, 창의적이고 새로운 가능성들에 대한 시각을 제시한 책. 

 

+ 게르트 타이센은 대륙권에서 '역사적 예수'관련 연구로 널리 알려진 신학자다. 저작들 또한 상당수 번역되어 있다.

 *한국어로 번역된 게르트 타이센의 책들
  





  

 




Risen Indeed
Davis, Stepen T.1993. Risen Indeed: Making Sense of the Resurrection. London: SPCK/Grand Rapids: Eerdmans.
철학자가 쓴 부활에 대한 최근 작품으로, 예수가 육체로 부활한 사건과 빈 무덤에 대한 역사성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Vermes, Geza. 1973. Jesus the Jew: A Historian's Reading of the Gospels. London: Collins/Philadelphia: Fortress.
Vermes, Geza. 1983. Jesus and the World of Judaism. London: SCM Press/
 Philadelphia: Fortress.
Vermes, Geza.1993. The Religion of Jesus the Jew. London: SCM/ Philadelphia: Fortress. (번역서) <유대인 예수의 종교>, 게자 베르메스 지음, 노진준 옮김, 은성, 1995
출간되었을 당시 그 제목만으로도 충격을 주었던 책. 오늘날 이런 책 제목에 놀라지 않는 이유는 현 세대를 대표할 만한 작가 중 하나였던 그가 많은 알찬 책을 출간해 왔기 때문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Jesus and the Zealots
Brandon, S.G.F.1967. Jesus and the Zealots: A study of the Political Factor in Primitive 
Christianity.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tity Press/New York: Scribner.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바로 그 책. 브랜든의 주장(예수는 본질적으로 '광신자'이자 유대의 자유 투사였는데 초기 교회는 이를 쉬쉬하려 했다)는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열띤 논쟁을 일으겼으며, 이 논쟁은 그형태를 달리하여 여전히 진행 중이다. 

 

 

  

Wenham, David. 1989. The Parables of Jesus: Pictures of Revolution. London: Hodder&Stough
ton/ Downers Grove: InterVarsity.  

비유에 대한 대중적인 입문서. 비유의 정치적인 면을 부각시키면서도, 신학적인 측면 또한 놓치지 않았다. 

*한국어로 번역된 데이비드 웬함의 책들

 

 

 

 
  





Yoder, John H. 1972. The Politics of Jesus: Vicit Agnus Noster. Grands Rapids: Eerdmans(new edition 1994)(번역서)<예수의 정치학>, 존 하워드 요더 지음, 신원하, 권연경 옮김, IVP, 2007
메노나이트파의 선두주자가 예수의 비폭력 주장을 옹호한 책으로, 출간된 지 20년이 지나도 여전히 매혹적인 책.
 



*한국어로 번역된 존 하워드 요더의 책 

 

 

 


Chilton, Bruce D. 1992. The Temple of Jesus: His Sacrificial Program Within A Cultural History of Sacrifice. University Park, Pa.:Pennsylvania State UP.

저자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간과되어 오던 예수의 유대적 배경, 즉 소위 랍비들의 '탈쿰(성서 주석)'을 연구해 왔다. 이 책에서 그는 예수가 말한 '하나님의 나라'가 실은 '권능을 가진 하나님 자신'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성전에 관한 그의 책은 제사가 문화적으로 어떻게 '작용'했는지, 또 성전에서의 제사 의식을 막기 위해 예수는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를 고찰하는 주요하고도 중요한 (그리고 때로는 밀도 있는) 작품이다. 

 


Caird, G.B. 1963. The Gospel of St.Luke. Harmondsworth: Penguin/Philadelphia: Westminster.  

Caird, G.B. 1965. Jesus and the Jewish Nation. London: Athlone Press.  

Caird, G.B. 1980.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London: Duckworth/Grand Rapids: Eerdmans(1996).

저자는 이 분야에서 가장 명석하고 예리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 현재 주목받는 주제들을 그는 이미 30년 전부터 분명히 알아보고 있었다. 언어와 상상에 대한 그의 작품은 다양한 주제들과 특별히 '예언'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초석이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race1976 2011-08-27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세심한 정보에 정말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요즘 같이, 예수님을 내 편에 서서만 바라봄으로써, 예수의 사랑에 대한 시각이 많이 왜곡되어 있는 때에, 과연 예수님이 어떤 분이셨으며, 왜 십자가에서 그 극심한 고통을 당하시면서까지 우리를 사랑하셨나를 되돌아보게 할 수 있는 좋은 책들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입니다.
댓글저장
 

2009년 12월에 출간된 책들 중 몇 개를 꼽아보았다. 기독교, 인문서적이 주를 이룬다.


1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루이스가 메리에게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이종태 옮김 / 홍성사 / 2009년 12월
11,000원 → 9,900원(1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2009년 12월 30일에 저장
구판절판
중세 몸의 역사
자크 르 고프 지음, 채계병 옮김 / 이카루스미디어 / 2009년 12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09년 12월 24일에 저장

윤치호와 김교신- 근대 조선의 민족적 아이덴티티와 기독교, 개정판
양현혜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9년 12월
19,000원 → 19,000원(0%할인) / 마일리지 570원(3% 적립)
2009년 12월 24일에 저장
품절
신화철학 1
프리드리히 W. J. 셸링 지음, 김윤상 외 옮김 / 나남출판 / 2009년 11월
23,000원 → 23,000원(0%할인) / 마일리지 690원(3% 적립)
2009년 12월 24일에 저장
품절


1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영혼의 자서전 -상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안정효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15,800원 → 14,220원(10%할인) / 마일리지 79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09년 12월 07일에 저장

영혼의 자서전 -하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안정효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15,800원 → 14,220원(10%할인) / 마일리지 79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09년 12월 07일에 저장

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립
빌헬름 딜타이 지음, 김창래 옮김 / 아카넷 / 2009년 11월
42,000원 → 39,900원(5%할인) / 마일리지 2,100원(5% 적립)
2009년 11월 30일에 저장
품절
도스토예프스키 판타스마고리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스토예프스키와 함께 환영의 도시를 거닐다
이덕형 지음 / 산책자 / 2009년 11월
27,000원 → 24,300원(10%할인) / 마일리지 1,350원(5% 적립)
2009년 11월 30일에 저장
절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2009년 10월에 출간된 책들 중 관심있는 책들을 모았다. 물론 그리스도교 관련 서적이 주를 이룬다.


2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이븐 할둔- 역사의 탄생과 제3세계의 과거
이브 라코스트 지음, 노서경 옮김 / 알마 / 2009년 10월
33,000원 → 29,700원(10%할인) / 마일리지 1,650원(5% 적립)
2009년 11월 09일에 저장
구판절판
역사와 역사가들- 서양사 연구를 위한 입문
마크 길더러스 지음, 강유원, 이재만 옮김 / 이론과실천 / 2009년 10월
13,000원 → 12,350원(5%할인) / 마일리지 620원(5% 적립)
2009년 11월 09일에 저장
절판
선의 연구 / 퇴계 경철학
니시다 기타로, 다카하시 스스무 지음, 최박광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9년 10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09년 11월 09일에 저장

시간의 개념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 서동은 옮김 / 누멘 / 2009년 10월
9,000원 → 8,100원(10%할인) / 마일리지 450원(5% 적립)
2009년 11월 09일에 저장
품절


2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