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1호는 왜 남대문일까


국보 이야기
이광표 지음 | 작은박물관 | 344쪽 | 1만5000원

 
최근 국보 1호를 숭례문(남대문) 말고 다른 것으로 바꾸자는 논의가 감사원으로부터 제기돼 한창 논쟁이 불붙은 바 있다. 문화재위원회가 “당분간 숭례문을 국보 1호로 유지하되, 서열로 오해될 수 있는 지정번호는 폐기한다”고 결론내려 논쟁은 마감됐다. 그러나 국보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가는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10년 동안 동아일보에서 문화재기자로 활약한 저자가 모두 307건에 달하는 국보에 얽힌 이야기를 구수한 이야기체로 정리했다. 저자는 묻는다. 왜 똑같은 조선의 4대문이었는데, 남대문은 국보 1호이고, 흥인지문(동대문)은 보물 1호냐고? 남대문은 14세기 말 건립된 것으로 현존하는 도성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됐다. 반면 동대문은 경복궁 중건 직후인 1869년 지었다. 남대문은 장중하면서도 절제와 균형의 아름다움을 보이지만, 동대문은 과도한 장식과 기교에 치중했다.

조선시대 무기 모조품을 만든 뒤 바다에 빠뜨렸다가 이충무공의 유물이라고 한동안 속여 국보로까지 지정됐던 ‘가짜 총통’사건, 강도에게 강탈당했다가 회수된 국보들의 기구한 사연 등도 읽을거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