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에서의 일 년
이창래 지음, 강동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특히 원문이 읽는 순간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평이한 문장보다는 "이전 문장에 만족하기 전에는 절대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지 못하기에" 같은 문장을 열 번, 스무 번씩 고쳐쓰기 예사인 이창래 같은 작가의 밀도 높은 문장으로..." P 699

책이 왜 이렇게 술술 읽히지 하는 의문은 마지막 '옮긴이의 말'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다. 문장 하나를 완성하기 위해 열 번 스무버도 고쳤는 작가의 작품이니 빠져들어 읽힌 것이리라.

가제본이라 확실한 페이지는 책을 받고서야 알게 되었다. 흠.. 꽤 두껍네... 헐... 700페이지... 언제 읽지... 했었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마지막 페이지였다. 뒷부분이 궁금해 꾸벅꾸벅 졸면서 책을 보고 있으면 '그만 보고 자라'라는 신랑이 타박이 들려온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오호... 흠... 엥... 다른 때와는 달리 각종 의성어를 남발할 때는 옆에 와서 걸쩍 들여다보면 무슨 책인데 하고 물어봤다. 그러면 읽은 곳까지의 대충의 줄거리를 이야기해 주면 꽤 흥미롭다는 표정으로 듣고 있다. 직접 읽으면 될 것을 귀찮아한다.

어머니는 가출을 하고 아버지와 둘이 살고 있는 20대의 틸러가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지만 등장인물 하나하나가 모두 개성이 있었다.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계속해서 머릿속에 떠다닌 의문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골프장에서 틸러의 어떤 모습에 퐁의 관심을 끌었을까 하고 둘째는 틸러는 왜 공항에서 만난 밸과 빅터 주니어와 함께 했을까였다. 책을 모두 다 읽은 지금도 그 궁금증을 해결하지 못했다. 책을 술술 잘 읽혔는데 놓친 부분이 있는 것일까? 700페이지를 다시 해독해야 하는 것일까?

퐁과 틸러의 아시아 여행기는 누구도 경험하지 못할 독특한 것이다. 하지만 일상으로 돌아온 틸러는 여행 전이나 여행 후나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보통 긴 여행을 하고 나면 나름의 생각이 생겨나고 성숙해지기도 한다.

작가는 이 변화 없는 틸러의 모습에 살아간다는 것은 어는 순간이나 같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했을까? 틸러에게 일어났던 일들은 분명 강렬한 경험들도 있었다. 하지만 틸러를 변화 시킨 것은 밸의 자살 시도였다. 자신을 마치 제3자의 시선으로 보는 듯하던 태도가 바뀌어 간다.

아마 그동안은 밸을 연인보다는 어머니를 대신하는 보호자로 더 인식하다 이제는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사람이라고 바라보게 되는 시각의 변화 때문일 것이다.

틸러는 멀리 떠나서도 찾지 못했던 무언가를 가장 가까이 있던 이에게서 찾게 된 것이다. 자신을 찾기 위한 여행도 좋지만 지금, 바로 옆을 둘러보는 것도 좋을듯하다.

이창래 작가는 1995년 발표한 첫 작품 Native Speaker(영원한 이방인)으로 미국 내에서 6대상을 수상한다. 그중에는 펜 헤밍웨이상, 아메리칸북상등 굵직한 상도 포함되어 있다. 작품을 쓰기 전에 사전조사와 인터뷰에 공을 많이 들이는 작가라 알려져 있다. 그러기에 작품의 완성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듯하다.

서울에서 태어났어나 3살 때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갔다. 한국에는 강연 등으로 자주 오는데 영어만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 한국어는 서툰 듯하다. 어느 강연에서 자신을 한국에 관심 있는 미국인 작가라고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뉴욕 매거진에서 지정한 '40대 미만의 대표적인 미국인 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로 지목되고 있다.

<파친코의 이민진 작가와 양대 산맥>이라는 카피 문구에 걸맞은 작품이다. 파친코를 재미있게 읽은 분들에게 추천해 본다.




[출판사 RHK에서 도서지원을 받아 직접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