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세기가 지나도 싱싱했다 : 오늘의 시인 13인 앤솔러지 시집 - 교유서가 시인선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공광규 외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기문화재단 10권 중 마지막 책!!! 시집이라 금방 읽을 것 같았는데 책장마다 생각에 붙잡혔다. 짧은 글의 <시>는 읽을 때마다 신기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분명 알고 있는 단어와 문장들인데 시인의 펜을 거치면 다른 의미가 된다. 그리고 작가는 이 조합들에 어떤 의미를 부여했을지 골똘히 고민하게 한다.

 

13명의 작가들의 프로필을 유심히 보니 윤동주 문학상, 내일의 작가상, 현대시 작품상, 김춘수 시문학상, 전태일 문학상 등 쟁쟁한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등단이 20여 년이 넘은 분들도 있었다. 경기도라는 하나의 지역에 이리 다양한 문인들이 살고 있다는 것이 재미있었다.

 

다 소모된 것과 사라진 것의 차이는 뭘까

이 세상에 여지없는 것들

그것을 찾아 나는 어디를 이리 떠도는 것인지

몇 세기가 지나도 싱싱했다. - 김이듬 이 이 세상에 없는 것 중 - P65

 

책장을 넘겨 나가다 김이듬 작가의 <이 세상에 없는 것>의 한 구절이 여러 생각을 불러왔다. 고모에게 선물 받은 50년이 넘은 오래된 시계를 수리하기 위해 시계 방을 찾았다. 그러나 부품을 구할 수 없어 수리를 하지 못한다.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를 살고 있어 무슨 물건이든 교체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

 

물건을 한 번 사면 꽤 오랫동안 사용하는 편이다. 가끔 수리를 하고 싶어도 부품 생산이 단종되어 고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소모품>은 쓸수록 마모되어 점점 닳아 없어져가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고 오래된 것들은 쓸모가 없어 사라져야 하는 것일까? 이 구절을 보며 사람의 몸도 해가 지날수록 사용하여 점점 낡아가는데 오래되면 불필요한 존재로 사라져야 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문득 들었다.

 

시집 한 권에 모든 세상살이 이야기 담겨있다. 빨리빨리 급하게 돌아가는 일상에 지쳐있어 한 호흡의 쉬어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