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세이아 - 잠시 길을 읽어도 목적지를 잃지 마라! 대가 고전·인문 시리즈 (LINN 인문고전 시리즈) 8
호메로스 지음, 김성진 편역 / 린(LINN)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고전 중에 고전으로 많이 들어보았다. <일리아스>는 20대 시절에 읽어본 적이 있었다. 오래전이라 대략적인 기억만이 남아있다.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오디세이아』는 <신밧드의 모험>부터 <허클베리핀의 모험>까지 대부분의 서양 모험 이야기의 시작이다. 트로이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들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왜이러 험난한 것인지...... 신들의 장난인지, 영웅들의 잘못인지 읽다 보면 헷갈린다.

 

읽어갈수록 늘어나는 등장인물과 비슷비슷한 지명에 메모를 하며 읽어나가는데도 몇 번이나 책장을 되돌리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책 속으로 빠져들게 하였다. 각 장마다 있는 요약과 분석은 작품을 이해하는데 무척 도움이 되었다. 오디세이아 완역본은 처음 읽는 것이라 이 부분이 린출판사만의 편집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시작 부분에 각 인물에 대한 컬러사진과 설명은 읽어나가는 동안 이미지가 연속 재생되어 영상화가 되었다. 그래서 더욱 생생하게 이야기가 다가왔다. 등장인물이나 상황의 모습들의 <중세 필사본 속 그림 자료>는 스토리를 더욱 풍성하게 더해주었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어 오디세우스는 10년을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을까?

 

오디세우스 일행은 키클로페스섬 옆의 무인도에서 산양을 가득 잡아 배에 실었고 술도 남아있었다. 그러나 키클로페스섬에서 연기가 나고 사람 소리와 양과 염소 소리가 들리자 오디세우스는 그곳의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 알기 위해 가보자고 동료들에게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만난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 외눈박이 폴리페모스가 동료들을 죽이자 그의 눈을 찌른다. 모든 것이 이미 풍족한 상태에서 욕심을 부린 것이 시련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지금부터 내 말을 똑똑히 들어주세요.

오디세이아 P269

 

명계로 내려가 테이레시아의 예언을 듣고 키르케에게도 같은 이야기의 경고를 들었다. 만약 오디세우스가 키르케의 경고를 좀 더 중요하게 여겨 신중했더라면 어떤 결과가 이어졌을까? 상상을 해보았다. 그래도 아마 집에는 일찍 가지 못했을 듯하다. 그만큼 신의 분노는 무서운 것이다. 그럼에도 위기 때마다 그를 사랑하는 아테나의 도움은 큰 힘이 되었다.

 

고향에 무사히 돌아갈 수 있었던 기회마다 번번이 신들의 훼방이었을까 오디세우스는 잠에 빠져든다. 그리고 그의 동료들이 사고를 친다. 동료들은 단속 못한 오디세우스의 잘못일까, 그의 말을 따르지 않은 동료들의 잘못일까, 신들의 농간일까.

 

사력을 다해

오디세이아 P154-155

 

아름다운 님프 칼립소의 7년간의 유혹에도 <그럼에도 나는 늘 집에 돌아간다는 것과 귀향할 행복한 날만 바라는 처지입니다. 신들 중 어느 분께서 내가 탄 배를 또다시 부수더라도 견딜 굳은 결심으로 참겠습니다. P147>라고 오디세우스는 말한다. 드디어 칼립소를 벗어나 오기기아섬을 떠나다 포세이돈이게 들켜 배가 부서지게 된다. 미래를 예지한 것일까 놀랍다. 그리고 그의 말대로 굳은 결심으로 <사력을 다해> 헤엄을 친다.

 

<사력을 다해>라는 문장은 오디세우스가 고난을 극복하는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다. 이 문장이 그를 고향으로, 그리고 오매불망 그리워하던 페넬로페에게로 돌아가게 한다. 그것이 신들이 그를 사랑하는 이유이지 않을까.

 

오디세이아는 오디세우스가 주인공인듯하지만 등장하는 페넬로페, 텔레마코스, 아가멤논, 키르케, 칼립소, 에우마이오스, 에우리크레이아등 모든 인물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 그들의 이야기가 모여 크나큰 대서사시를 만들고 있다. 500여 페이지가 넘는 벽돌 책이지만 읽고 나니 왜 오랜 시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지 알게 되었다. 인문고전의 읽을 때 기본 스토리를 몰라 어렵다면 꼭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