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반장 추억 수첩 - (8)

: 지금은 98년 9월 중순
다음 주에 유격 훈련이 있다.

말로만 듣던 유격 훈련

한편으로는 재미있을 것 같고, 할 만한 것 같아서 흥미롭고
다른 한편으로는 평소 익히 들었던 명성(?)으로 겁이 난다.

내가 해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과
나도 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자신감이 내 머릿속을 좀 복잡하게 만든다.

내가 유격장으로 향할 때
범장이는 군대로 향하겠지.....


- 유격 자이언트 (군가)

야야야 야야야 야 야야야야야~~~ 헤이!

끝없이 넓은 산악 올빼미 사는 곳.

젊은 가슴 펴게 하는 유격대 훈련 야~~~~야!

오늘도 밀림 속을 헤쳐 나간다.

My face is mountain

I love 링클, 로프

내 젊음 바칠 유~~~격~~대...에~~~~

/* “유격 자이언트”라는 군가입니다.  ^^;
   가사만 보면 유치하고 닭살이 돋는데...
   여느 군가와 마찬가지로 단체로 크게 부르면 꽤 흥겹고
   힘, 열정이 느껴지는 군가입니다. 
   유격 훈련을 뛰기 전에 당시 관측장교님한테 배웠는데
   막상 가서는 한 번도 부르지 않았던 군가입니다.   --;
   당시 관측장교님이었던 권회한 중위님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실지....   */

 

: 유격 훈련을 뛰고 나서...

첫 번째 날

아침부터 비가 왔다.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얼마 되지 않고 그치는 비였다.

/* 비가 오면 유격 훈련을 하지 않고 배수로 정리를 하거나 하면서
   적당히 시간을 때울 수 있습니다.
   안전 문제도 있고 해서 비가 오면 그냥 꿀맛 같은 대기만 하게 됩니다.    ^^;
   군인들은 비를 무척이나 사랑한답니다.   (^o^)   */

여름 날씨가 아니어서 그랬는지
행군은 그렇게 힘들지 않았다.

오후부터 본격으로 시작했다.

힘은 들었지만 예상 했던 것 보다는 강도가 쌔지 않았다.
좀 만만하게 느껴졌었다.

 

두 번째 날

오전에 있었던 훈련은 정말 “죽음” 그 자체였다.

한번도 쉬지 않고 계속 코스를 돌았으니...

표정 관리를 잘못해서 유격 교관한테 웃었다는 누명을 쓰고 정말 엄청 굴렀다.
'2번 코스 등판 오르기'
치가 떨린다.

내가 구르던 걸 본 사람들은 그 때 그 광경을 보고
정말 불쌍해 죽는 줄 알았다고 했다.

아무튼 그 검은 모자를 생각하면.... 으....

/* 저는 힘들어서 인상을 쓴 거였는데 유격교관은 그걸 보고 웃었다고
   따로 저를 불러내지 않겠습니까.   
   진짜 복날 주인공처럼 굴렀습니다. T_T

   그 때 느꼈지요.
   “아~~~ 몇 분 전까지만 해도 나는 정말 행복했*던* 사람이었구나~~~!”
   라구요.

   나중에 고참들이 그러더군요. 
   “야. 너 아까 정말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불쌍했다.”   라구요.   */

유격 훈련 중간 짬짬이
숨 좀 돌리며 하늘을 볼 때마다
범장이 그 녀석 얼굴이 떠올랐다.

잘 있을까?

땅 바닥에 엎드리고 있을 때 배를 깔고 요령을 피우는데
바로 코앞에서 떡하니 버티고 있는
이름 모를 풀에서 향긋한 냄새가 났다.

풀 냄새가 향기롭고 달게
느껴지기는 그때가 처음이었다.

유격 중간 중간 내심 퍼지길 바랬지만

/* “퍼진다”라는 게 무슨 뜻이냐면 쉽게 말해서
   정신이 오락가락하며 숨넘어가기 바로 전 단계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퍼지면 강제로 계속 훈련을 받는 게 아니고
   정신 차리고 상태가 나아질 때까지
   아무것도 안하고 그 자리에서 가만히 있습니다.   */

살 많고 느리기만 한
내 다리에는 어째 쥐도 한 번 나지 않고 잘 버티는 게 아닌가.

오후에는 좀 널널했다.

 

마지막 날

마지막 날이라서 그런지 교관도 조교도 많이 봐줬다.

저녁에 복귀 할 때 부대에 들어서니
꼭 내 집에 온 것 같이 편안하게 느껴졌다.

퍼졌으면 하고 나약한 생각을 가질 때도 있었지만
무사히 끝내니 기분이 무척 좋다.

'해냈구나'하는 성취감과 내년에 또 유격을
어떻게 뛸까하는 걱정이 동시에 든다.

유격 훈련 기간 내내 하루하루가 살면서 가장 긴 날들이 되지 않을까 했는데
여느 훈련처럼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다.


/* 저희 부대는 유격 훈련을 2박 3일로 뛰었습니다.
   고참들 말을 들어보면 원래 육군 규정에 포병은 유격을
   2박 3일 받는 거라고 하더군요.

   2박 3일짜리 유격이 유격이냐고 핀잔을 주실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유격은 유격이었습니다.  --;

   PT체조를 할 때면 꼭 하나 해야 하는 게 바로 마지막 구호를 생략하는 거죠.
   예비역 분들은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조교들이 PT체조를 시킬 때 하는 말
   "마지막 구호는 원기왕성하게(?) 생략합니다."
   -_-;


   만약에 그 많은 사람들 중에서 한명이라도 마지막 구호를 붙였다간
   PT체조를 2배씩 곱으로 다시 해야 합니다.

   2배곱.... 이거 상당히 무서운 겁니다.

   행여나 PT체조 한다고 정신을 딴 데 팔았다간 여지없이 마지막 구호를 붙이게
   되고 그랬다간 진짜 “공공의 적”이 되어 버립니다.
   손가락 안에 드는 왕고참이면 몰라도 일, 이등병이 그랬다간 군 생활하는 데에
   상당한... 뭐랄까나... 눈물어린 건빵 같은 쓴 맛을 경험하게 되지요.
  
   좀 잔인한 교관들은 3의 배수, 7의 배수 구호를 생략하라고 하기도 합니다.
   PT체조 하면서 공배수를 한 번 계산해 보세요. 
   진짜 머리 뽀개집니다.

   원래 PT체조를 하는 이유가 몸을 충분히 풀어서
   각종 코스를 통과할 때 사고를 예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데
   이상하게 변질이 되어서 여러 올빼미(훈련병)들을
   반 죽이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코스 타는 게 훨씬 더 편합니다.

   유격이라는 훈련도 ‘김신조' 아저씨 때문에 생겼다고 하더군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