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반장 추억 추섭 - (6)


: 일병 3호봉이 되어서야 느끼는 건데 좋은 후임은 되기 쉬워도 '진정한'
  좋은 고참 되기는 참 힘들다.

/* 제가 군 생활을 하고 나서 깨달은 건데요.
   무조건 잘해주고 친절하게 대해주는 고참은 결코 좋은 고참이 아닙니다.
   챙겨 줄 때는 챙겨주고 깰 때는 깨는 게 진짜 좋은 고참입니다.
   말은 쉬운데 행동으로 옮기기는 참 힘이 들지요.
   자식 키우는 거랑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   */

 

: 98년 하지날 밤, 정말 많은 별들을 보았다.
  여태 보았던 그 어떤 밤하늘보다
  훨씬 멋지고 훨씬 많은 별들이
  검기만한 밤하늘을 꾸며 놓고 있었다.

  군대 와서 본 밤하늘 중에서
  별들이 가장 많은 밤하늘이다.
  마치 흰 종이에 먹물을 조금만 뿌린 것 같이 말이다.

 

: 먹는 것만으로,
  잠을 푹 자는 것만으로
  행복해 지는 곳이
  바로 군대 아닐까?

 

: 자대에 전입 왔을 때가 생각난다.
  집에서 전화가 왔거나 내가 짬을 내서 전화를 할 때면 괜히 목이 막히고
  코끝이 찡한 게... 기분이 좀 그랬다.

  군대오기 전의 말투로 전화를 주고받지 못하고  '다'나 '까'만을 써서 통화하던 그 때...

  내 이름을 부르면 "예!"라고 하지 않고  "이병 한광양"이라고 관등성명을 대던 그 때...
  그 때 내 목소리를 듣던  어머니도 기분이 많이 울적 하셨겠지....

/* 제가 군대있을 때만 해도 누가 저를 부르면 "예!"라고 답하지 못했습니다.
   바로 관등성명이 튀어나와야 했죠. 긍정을 뜻할 때에도 "예"라고 하지 않고
   꼭 "예 알겠습니다.", "예 그렇습니다." 라고 해야 했습니다.

   "예???" 라고 말하는 게 듣기에 따라서 싸X지 없다고 많이들 싫어했거든요.
   만약 누가 어떤 말을 했는데 잘 듣지 못했다면 "예??" 라고 하지 않고
   꼭 "잘 못 들었습니다." 라고 말해야 합니다.

   요즘은 많이 바뀌었다고 하네요.   ^^;  */

 

: 일병 때는 시간이 정말 잘 가는 것 같다.
  뭐 한 것도 없는데 벌써  일병 4호봉이니... 월요일이다 싶으면
  수요일이고 좀 있으면 주말이 된다.
  앞으로도 이런 식으로 시간이 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 98. 7. 27 새벽 약 1:55 경...   태어나서 처음으로 별똥이
  떨어지는 것을 보았고 좀 있다 떨어지는 별똥을 2번 더 보았다.
  무슨 징조일까 하며 이런 저런 생각을 해봤다.

  며칠 뒤 범장이한테서 XXX 누나(친구 누나)가 백혈병으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영웅본색 2탄에서처럼 떨어지는  별똥은 나쁜 징조를 뜻하는 걸까?
  그 누나가 행복한 곳에서 편히 쉬셨으면 좋겠다.

 

: 98.7.7 군대 생활 처음으로 보초 근무를 사수로 해봤다.
  그것도 하루에 세 번씩이나.... 
  상대는 권태석 이병...

/* 보초를 설 때 사수, 부사수 이렇게 2명이서 근무를 서는데
   사수는 짬밥이 좀 있는 고참이, 부사수는 그 밑에 후임병이 섭니다.

   초소에서는 사단장, 군단장, 대통령보다도 더 높은 사람이
   바로 '사수'이기 때문에  ^^;
   거기서 만큼은 사수가 대빵입니다.

   그래서 사수가 되면 밑에 부사수한테 노래도 시키고
   온갖 재롱을 다 부리라고 하고 느긋하게 구경을 하는 일이 많습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 그냥 조용히 있는 고참도 있고
   같이 노가리 까는 고참... 가지각색 입니다.

   얼마나 사수를 하고 싶었으면
   처음 사수 섰던 것을 다 기억했는지...  원...
   그것도 그럴 것이 제가 꼬인 군번이라서 밑에 후임들이 잘 들어오지 않았거든요.
   근 1년 동안 부사수만 하다보니 사수 자리에 대한 열망(?)이 엄청났었지요.

   보통 다른 고참들은 일병 때, 그러니까 군 입대하고 6~7개월
   만에 사수가 되었거든요.

   마음 맞는 사람과 보초 서는 것만큼 재밌는 일도 없지요.
   즐겁게 노가리를 까다보면 한 시간은 그냥 훌쩍 지나가 버리지요.
   (노가리 까다 -> 이야기를 나누다)

   그런데 성질이 사나운 고참, 혹은 사이가 나쁜 고참과 같이 근무를 서면
   시간이 진짜 안갑니다. 온갖 갈굼을 다 받을 수도 있구요.

   흔히들 계약서에서 쓰는 용어인 "갑"과 "을" 관계가 바로
   "사수"와 "부사수" 관계랑 거의 똑같다고 보셔도 될 겁니다.    */

 

: 여태까지 봐왔던 그 어느 때,  어느 날들의 하늘보다도
  군대 있을 때 봤던 하늘이 제일 멋있고,  제일 깨끗하고, 제일 기억에 남는 것 같다...
 
  군대 오기 전에는 왜 몰랐을까?    왜 보지 못했을까?

  아마 젊은 날의 이 잠깐 동안의  구속이 여태까지 내가 깨닫지 못했던
  행복들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것 같다.

/* 허허허...  (^_^)a
   사람이 많이 단순해져서 인지 별것 아닌 것을 보고도
   쉽게 감동이 되더라구요.
   그 당시 보던 하늘.... 정말 멋있었습니다.  */

 

: 요번 98년에는 수해 피해가 정말 많았다
  우리 부대에서도 수해 복구, 대민지원을 많이 나갔다.

  군인은 나라를 지키는 것 외에도 수해 복구 같은 위급한
  일을 처리하는 노무자(?)가 되기도 한다.

  솔직히 수해 복구 같은 일을 군인만큼 잘하는 사람이 또 누가 있을까?
  여튼 군인은 꼭 필요한 존재다!

/* 왜 군인들이 수해복구를 잘하냐구요?
   주특기 교육을 하는 만큼이나 삽질, 마대 쌓기, 돌 나르기를 많이 하거든요.
   아마 수해 복구를 따로 인부들을 구해서 일당 줘가며 일을 시킨다면...
   엄청난 재정 적자가 생길 겁니다... --;    

   제가 병장 때 한달에 담배값까지 포함해서 15740원을 받았으니
   15740 나누기 30을 하면 하루에 약 525원이 나오내요.
   숙식 제공에 하루 525원만 주고 부려먹는 이 웃지 못할 조직....
   요즘에는 한달에 35000원 정도 받는답니다.
   쩝....  그래봤자 하마 입에 건빵하나죠 뭐.....   -_-;


   지금 전화 주십시오!!! 한 달 내내 써먹어도 15740원!!!
   15740원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흐흐흐 만약 이런 홈쇼핑 광고가 나간다면 진짜 대박이겠네요.   ^_^a  */

 

: 탈옥수 신창원이 활개 칠 땐 신창원 잡으러 가질 않느냐고...
 
  수해가 나면 헬기 타고 사람 구조하러 가질 않느냐고...

  무슨 일이 생기면 항상 군대와 나를 연관시켜 생각하고
  걱정하는 우리 어머니...

        어머니!!!

  이 한마디가 지금 내게는 큰 힘이 된다.
  어머니! 사랑합니다.

/* 제 친구가 이런 말을 하더군요. 군인들 일병 때 전역 시켜주면
   전부다 효자가 되어서 부모님한테 잘 할거라구요...

   맞는 말 인 것 같습니다.

   병장이 되면 군대가기 전 자기 모습으로 돌아오는 게
   문제라면 문제라고 할 수 있지요.
   애인 있는 사람들은 잘 모르겠고
   그 외 군인들한테 어머니만큼 보고 싶은 사람도 없을 겁니다. */

 

: 범장이가 9월 24일에 군대에 간다고 한다.
  범장이는 지금 무슨 생각을 하며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영준이 이놈은 틈나는 데로 삐삐 음성으로
  편지 좀 쓰라고 닦달을 하지만 통 소식이 없다...
  녀석들 뭐하고 있을까?
  난 그 녀석들이 군대에 가면 편지 자주 해줘야지 꼭...!

 

: 꽃 보면 봄이요

  날씨 보면 여름이고
 
  하늘 보면 가을인데
 
  내 마음은 한 겨울 같다...

  98년 어느 여름 날 김재수 상병님한테 들은 말
  김재수 상병님도 누구한테 들은 거라나?

/* 멋지지 않습니까?
   군인들 마음을 아주 잘, 아주 멋지게, 아주 짧게
   표현한 시라고 생각합니다.
   김소월이라고 해도 군 생활을 '시'로
   이것만큼 표현 못 할 거라고 봅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