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하루
박완서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득 며칠 전에 티브이를 보던 때의 기억이 떠올랐다. 일흔이라는 나이가 무색하게 곱디고운 연극계의 거장이 나온 오락프로그램이었다. 그 연극배우는 돈을 벌자고 연극을 해본 적이 없다고 했고, 삼십여 년 동안 한 번도 쉼 없이 무대 위에 올랐다고 소개됐다. 대가를 향한 존경심이 우러나야 당연한데, 마음속에서 시샘이 소리 없이 새어나왔다. 왜 이런 감정이 올라오는지 나도 뜨악했다. 생각해보니 그 이의 고고함 속에서 일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상의 무게에 짓눌린 우리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구축된 듯한 그 우아함에 배가 아팠던 것이다. 덧붙여, 라면 하나 제대로 못 끓인다는 그 거장의 말에 경계감이 사라지고 웃음이 터졌던 것도 비로소 일상의 존재를 확인했기 때문은 아닐지.


  이 책을 읽고 뜬금없이 그 기억이 떠오른 이유는 아마도 박완서는 그 반대이기 때문일 것이다. 말하자면, 박완서의 글에는 일상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서 애초부터 거리감이나 부담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작가는 언제나 누군가의 엄마이고, 이웃이며 일상에서 자유롭지 않은 생활인으로 등장한다. 일례로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라는 작품은 손윗동서와 전화 수다의 형식을 띠고 있다. 글이 내포하고 있는 주제의 심오함은 논외로 하고, 전화수다의 자연스러움만 이야기하자면 박완서에게 그런 일상은 친숙한 것으로 보인다. 돼지꼬리 수화기 선을 손으로 배배꼬며 삼십 분이 넘게 통화하는 어머니의 모습이 연상될 정도다.


  여섯 개의 단편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카메라와 워커」였다. 1975년에 쓰인 작품이지만 단연 압권이다. 작가의 작품에서 여러 번 다뤄진 한국전쟁의 아픈 기억이 중심 소재가 되지만 진짜인지 가짜인지 헷갈리는 개인사를 담고 있다. 주인공은 오빠부부가 전쟁통에 비명횡사한 탓에 홀로 남겨진 조카를 키우며 겪었던 갈등을 겪는다. 갈등은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전쟁통에서 간신히 살아남아 개발독재시대를 살아가는 주인공은 사회에 순응하며 성실하고 근면하게 살면 된다고 믿는다. 카메라는 세상이 어떻게 굴러가든 조카가 가족들과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주인공의 바람을 상징한다. 하지만 조카는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포착하고 주인공의 소신에 반항한다. 워커는 그 상징이다. 발바닥에 땀나도록 뛰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현대사 교과서의 1970년대의 중심내용을 요약한다면 이렇지 않을까? 그리고 박완서가 포착한 이 갈등은 지금도 유효한 질문이 아닐까? 박완서의 글이 개인사인 동시에 우리 모두의 역사이며, 일상이 탈색되지 않으면서도 예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사실 나는 잠을 이기고 밤늦게까지 무엇에 집중을 해본 경험들이 없다. 하지만 잠자리에 들기 전, 피곤한 상태에서 이 책을 읽었는데 그때마다 눈가에 눈물이 맺히고 가슴이 먹먹해지곤 했다. 읽다보면 어느새 피곤이 싹 달아나고 무거웠던 머리가 가벼워졌다. 뭔가 있어보이는 문장 하나를 만들려고 공을 들였지만 내용은 부실한 책들이 많다. 박완서의 글에는 아포리즘은 없지만 쉽게 읽히고, 읽고 나서는 반드시 가슴을 때린다. 정말 모국어로 쓰인 글을 읽는 기쁨을 알게 하는 작가이며, 대단한 이야기꾼이다. 사실 게으른 탓에 박완서의 작품을 몇 개 읽지 못해 더 이상의 수사를 붙이기가 부끄럽다. 이 기회에 올 해의 목표는 박완서전집을 독파하는 것으로 삼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침 一針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책에서 임금에게 간언하는 대목을 보면, 대부분 속 시원하게 왕의 잘못을 지적하지 않고 고사(古事)를 인용해 돌려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왕의 비위를 맞추려는 소심함의 표현일 수도 있겠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참 현명한 방법인 것 같다. 오늘의 잘못을 바로 치고 들어가는 방법은 적진으로 돌격하는 것과 같아서 자칫 목적달성도 실패하고, 큰 희생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옛 일의 권위를 빌려서 말하는 것은 적진을 우회하여 포위하는 방법으로, 상대가 순순히 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기 때문이다. 옛 일을 빌려서 이 시대에 하고 싶은 말들을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이 책이 말하는 차고술금(借古述今)의 정신이고, 그 어떤 방법보다 매서운 현실참여의 유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현재에 시사점을 던져주는 문구와 일화를 고전에서 추려 소개하고 있다. 단순히 사자성어를 소개하여 독자의 교양수준을 높이려는 목적이 아니라, 매 꼭지마다 사자성어와 함께 현 시대에 대한 지은이의 소신을 피력하고 있다. 때문에 이 책은 일간지의 칼럼을 모아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짧아서 쉽게 읽히고, 출퇴근 시간 등 짬을 내어 한 꼭지씩 읽으며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것은 장점이지만, 그 한계도 분명하다.


  우선, 언급하고 있는 사건들은 시의성을 잃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모호할 때가 많다. 그리고 사자성어와 그에 대한 설명 이외에 덧붙인 말들이 오히려 중언부언으로 느껴질 때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꼭지가 너무 짧아 아쉽게 느껴지기도 한다. 또, 대부분의 경우에는 지은이의 말이 일침(一針)이라는 제목과 달리 매섭게 느껴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정민이라는 지은이의 명성에 비해 완성도에 있어서 아쉬움이 남는 책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소득이 있다면 선인들의 삶을 바탕으로 현재 나의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연암 박지원의 공작관문고자서(孔雀館文稿自序)에 나오는 한 대목이다. ‘얻고 잃음은 내게 달려 있고, 기리고 헐뜯음은 남에게 달려 있다. [得失在我, 毁譽在人]’ 참 연암다운 패기와 당당함이 느껴지는 말이다. 다른 사람의 눈에 벗어날까 전전긍긍하고, 실수와 실패가 두려워서 색다른 시도와 도전에 머뭇거리는 나에게 또 얼마나 정신이 번쩍드는 말인지! 실로 일침과 같은 문구였다.


  일상에 젖어서 하루이틀 보내다보면 문득 공허한 기분이 들 때가 있다. 중요한 결정들도 깊은 고민 없이 습관처럼 해치워버린다. 이런 날들이 누적되어 어느샌가 정신을 차려보면 내가 걷고자 했던 삶의 궤적에서 멀리 벗어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매일 몸과 마음을 성찰할 수 있는 준거틀이 필요하다. 이 책이 제시하는 준거틀은 바로 동양의 고전이다. 선인들은 전미개오(轉迷開悟)하여, 심입천출(深入淺出)하란다. 그리고 역경을 만나도 감이후지(坎而後止)라니…! 감히 내가 범접할 경지가 아니지만, 일침과 같은 그 조언들을 받아들여 인격의 한 단계 성장을 기대해본다. 못내 아쉬움이 남는 책이지만 일단의 유익함이 있다면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침 一針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2년 3월
장바구니담기


관건은 몸을 어디 두느냐가 아니라 마음을 어디에 두느냐에 달려 있다. 사람은 ‘마음이 넉넉해 몸도 따라 넉넉해야지[心足身還足]’, ‘몸은 한가한데 마음은 한가롭지 못한[身閑心未閑]’ 지경이 되면 안 된다.-16쪽

의리의 무거움만 알아 깊은 정을 배제하는 데서 독선(獨善)이 싹튼다. 뼈대가 중요하지만 살이 없으면 죽은 해골이다. 살을 다 발라 뼈만 남겨 놓고 이것만 중요하다고 하면 인간의 체취가 사라진다. 명분만 붙들고 사람 사이의 살가운 마음이 없어지고 보니 세상은 제 주장만 앞세우는 살벌한 싸움터로 변한다.
-21쪽

어떤 사람이 야생 거위를 잡아 길렀다. 불에 익힌 음식을 먹이자 거위가 뚱뚱해져서 날지 못했다. 어느 날인가부터 거위가 음식을 먹지 않았다. 한 열흘쯤 굶더니 몸이 가벼워져서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이 이야기를 전해들은 이익李瀷(1681-1763)이 말했다. "지혜롭구나. 스스로를 잘 지켰도다."
-24쪽

모든 일은 애초에 이해를 따지지 않고 바른 길을 따라 행해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실패해도 후회하는 마음이 없다. 이것이 이른바 순순히 바름을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만약 이해를 꼼꼼히 따지고 계교를 절묘하게 적중시켜 얻으면 속으로는 부끄러움을 면치 못하고, 실패하면 후회를 면치 못 견딜 것이다. 그때 가서 무슨 낯으로 남에게 변명하겠느냐. (이식李植이 아들에게 써 준 편지 중에서)
-29쪽

사람의 그릇은 역경과 시련 속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구덩이에 갇혀 자신을 할퀴고 절망에 빠져 자포자기하는 이가 있고, 물이 웅덩이를 채워 넘칠 때까지 원인을 분석하고 과정을 반성하며 마음을 다잡아 재기하는 사람이 있다. 후자라야 군자다. 소인은 대뜸 남 탓하며 원망을 품는다.
-39쪽

생각에도 종류가 참 많다. 념(念)은 머리에 들어와 박혀 떠나지 않는 생각이다. 잡념(雜念)이니 염원(念願)이니 하는 말에 그런 뜻이 담겼다. 상(想)은 이미지[相]로 떠오른 생각이다. 연상(聯想)이니 상상(想像)이니 하는 말에서 알 수 있다. 사(思)는 곰곰이 따져하는 생각이다. 사유(思惟)나 사색(思索)이 그 말이다. 려(慮)는 호랑이가 올라탄 듯 짓누르는 생각이다. 우려(憂慮)와 염려(念慮)가 그것이다. 생각은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므로 어휘에서도 뒤섞이지 않는다. 사려(思慮)는 깊어야 하나 염려(念慮)나 상념(想念)은 깊으면 못 쓴다. 사상(思想)은 따져서 한 생각이 어떤 꼴을 갖게 된 것이다. 곰곰한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을 때는 사념(思念)이라 한다.
-51쪽

얻고 잃음은 내게 달려 있고, 기리고 헐뜯음은 남에게 달려 있다. 得失在我, 毁譽在人 (박지원의 공작관문고자서孔雀館文稿自序 중에서)
-70쪽

군자가 택선고집擇善固執함은 그 선택함이 본래 정밀하기 때문이요. 만약 애초에 선택이 잘못되었는데도 굳게 지키는 것만 덕으로 여긴다면 북원적월北轅適越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요. (정약용의 편지 중에서)
-134쪽

묘계질서妙契疾書 순간의 깨달음을 놓치지 말고 메모하라.
-136쪽

해현갱장解弦更張! 느슨해진 거문고 줄을 다시 팽팽하게 바꾸어 맨다는 뜻. 어려울 때일수록 긴장을 늦추지 않고 기본으로 돌아가 원칙에 충실하자는 다짐을 해 본다. 편안함은 예술가들이 빠져들기 쉬운 치명적인 독이자 유혹이다. (허진 교수의 글 중에서)
-140쪽

반듯해도 남을 해치지 않고/ 청렴하되 남에게 상처 입히지 않으며,/ 곧아도 교만치 아니하고/ 빛나되 번쩍거리지 않는다. 方而不割, 廉而不劌, 直而不肆, 光而不耀 (도덕경 중에서)
-158쪽

들리는 명성이야 태산 같은데/가서 보면 진짜 아닌 경우 많네./소문은 도올檮杌(사람을 해치는 흉악한 짐승)처럼 흉악했지만/가만 보면 도리어 친할 만하지./칭찬은 만 사람 입 필요로 해도/헐뜯음은 한 입에서 말미암는 법. (정약용의 고시古詩 중에서)
-184쪽

공자는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에게 간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말했다. 첫 번째가 휼간譎諫이다. 대놓고 말하지 않고 넌지시 돌려서 간하는 것을 말한다. 말하는 사람이 뒤탈이 없고, 듣는 사람도 기분 좋게 받아들일 수 있다. 잘하면 큰 효과를 거둔다. 두 번째는 당간戇諫이다. 당戇은 융통성 없이 고지식한 것이니, 꾸밈없이 대놓고 간하는 것이다. 자칫 후환이 두렵다. 세 번째는 강간降諫이다. 자신을 낮춰 납작 엎드려 간한다. 상대를 추어주며 좋은 낯빛으로 알아듣게 간하는 것이다. 우쭐대기 좋아하는 임금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 네 번째가 직간直諫이다. 앞뒤 가리지 않고 곧장 찔러 말하는 것이다. 우유부단한 군주에게 필요한 처방이다. 다섯 번째는 풍간諷諫이다. 비꼬아 말하는 것이다. 딴 일에 견주어 풍자해서 말하는 방식이다.
-233쪽

덕위상제德威相濟 덕과 위엄은 균형을 잡아야만
-25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을 심다 - 박원순이 당신께 드리는 희망과 나눔
박원순 외 지음 / 알마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웃는 얼굴을 한, 겸손한 시민운동가로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자신만만한 사람임을 알게 되었다. 곳간에서 인심난다고 자신감이 충만한 사람이라야 겸손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걸까? 하긴 겸손과 자신만만은 반의어가 아니기 때문에 겹칠 수도 있는 일이지만 마치 새로운 사람을 알게된 듯한 생소함을 느끼게 된다. 참여연대, 아름다운 재단, 희망제작소까지. 자신이 해온 일들에 대한 자부심, 여태 모아놓은 자료들을 책으로 옮기기 위해 제발 귀양보내달라고 말하는 얄미운(?) 모습까지. 인터뷰집을 읽으면서 이제껏 보지 못한 뭔가 확신으로 꽉 차 있는 사람같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그가 시장이 된 후 추진하고 있는 정책들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과 같은. 이제 시민운동가라는 위치에서 서울의 행정수반이라는 자리로 옮겨갔는데 그때와 지금의 마음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공무원들이 열정이 없다, 정부가 나서면 일이 안된다는 말도 인터뷰집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지금도 그런 생각일까? 정부가 나서서하면 안된다, 무언가 계기만 만들고 유도해서 민간이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말을 인터뷰집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지금도 그렇게 생각할지가 제일 궁금하다. 사회적기업 육성이나 마을공동체 만들기에서 서울시는 과연 민간의 역량을 톺아주는 역할만 하고 있는지 말이다. 그리고 과연 행정부의 역할은 거기에 그치는 것만이 정말 옳은 일일지도.

 

노동부에서 나름대로 열심히 하는데요. 좌우간 모든 것은 정부가 앞장서면 잘 안 됩니다.(웃음) 정부는 민간이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유도하는 일을 해야 되는데요. 정부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이런 일은 할 수 있을 텐데, 정부가 모두 다해버리려고 해요. 갑자기 사회적 기업에 돈을 너무 많이 쏟아붓는 거예요. 부작용이 커질 겁니다. 뭐든지 자립성이 중요해요. - 289

 

  아이디어가 풍부한 박원순 시장이 과연 그 생각들을 어떻게 시정으로 구현해낼지도 관심사다. 일은 아이디어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아이디어는 쉽게, 아무렇게나 내놓을 수 있지만 과연 그것이 정책으로 구현되어야 하는지, 정책화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또다른 문제다. 대표적으로 지하철의 손잡이를 키에 맞도록 다르게 만들기는 희망제작소의 작품이지만 과연 그것이 효율적일까? 키높이대로 손잡이를 만들면 지하철의 모든 칸에 큰 키, 중간 키, 작은 키의 사람이 균등하게 들어가야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다. 그렇게 될 수가 없다. 출근길의 지하철만 타봐도 알 수 있는 일이지않는가? 정 필요하다면 신축이 가능한 스프링 손잡이를 달아서 누가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손잡이를 만드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좋은 정책은 아이디어만으로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생각한다.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정에도 희망을 심어가는 것을 기대하고 지지하는 사람 중에 한 사람이기에, 그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행정의 효율을 잘 조화시켜서 박시장의 퇴임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으면 한다. 그가 말하는 지속적인 혁명이 조금씩, 조금씩 시나브로 우리의 삶 속으로 스며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우리가 역사 속에서 배우는 존재잖아요. 많은 혁명이, 그 혁명이 성공했다 치더라도 반동에 의해 금방 물거품이 되고, 그렇지만 동시에 혁명했던 것이 결코 완전히 그 효과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역사는 발전해가잖아요. 온전한 혁명도 없고, 완전히 효과가 없는 혁명도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매일같이 작은 혁명을 해야 된다. 우리가 그런 자세로 세상을 바꾸려는 노력은 하지만, 역설적으로 또 하루아침에 모든 것이 바뀌는 혁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도 해야 되는 거죠. ‘지속적인 열정을 다해서 혁명가의 심정으로 일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밤낮없이 헌신하는 노력들이 많이 나와야 합니다. 겉으로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은 말로만 하거든요. 그러면 세상을 바꿔내지는 못하죠.” - 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을 심다 - 박원순이 당신께 드리는 희망과 나눔
박원순 외 지음 / 알마 / 2009년 4월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역사 속에서 배우는 존재잖아요. 많은 혁명이, 그 혁명이 성공했다 치더라도 반동에 의해 금방 물거품이 되고, 그렇지만 동시에 혁명했던 것이 결코 완전히 그 효과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역사는 발전해가잖아요. 온전한 혁명도 없고, 완전히 효과가 없는 혁명도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매일같이 작은 혁명을 해야 된다. 우리가 그런 자세로 세상을 바꾸려는 노력은 하지만, 역설적으로 또 하루아침에 모든 것이 바뀌는 혁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도 해야 되는 거죠. ‘지속적인 열정을 다해서 혁명가의 심정으로 일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밤낮없이 헌신하는 노력들이 많이 나와야 합니다. 겉으로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은 말로만 하거든요. 그러면 세상을 바꿔내지는 못하죠." -14쪽

이렇게 풍요로운(아니면 그렇게 보이는) 시대에도 굶어 죽는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어려운 시절이었지만 동네에서 굶어 죽은 사람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박원순은 전통 시대의 마을 공동체, 상호부조 공동체를 복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은 서양처럼 복지국가 시스템도 만들어내지 못한 상태에서 마을 공동체마저 무너졌기 때문에 만인이 만인과 투쟁해야 하는 무한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23쪽

부모님은 그런 기대를 한 번도 내비친 적이 없었습니다. 무엇이 되라고 한 적이 없었어요. 그 대신 끔찍이 사랑해주셨어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탕아, 탕자는 결국 돌아온다. 아무리 잘못된 길로 자식이 가더라도 부모의 사랑이 깊으면 그 자식이 돌아올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부모님이 제대로 살면 자식이 그것을 보고 배우고 따라갈 수밖에 없죠. -32쪽

검사 그만두고 올라오는데 어떤 변호사님이 서예 작품을 하나 선물로 줬어요. 변호사할 때 사무실에 걸어 두었는데 지금은 없어졌습니다. 그 글의 마지막 구절이 이런 겁니다. 대덕大德이면 득기위得其位라, ‘큰 덕을 쌓으면 자리는 저절로 얻는다’는 말이거든요. 세상 사람들이 자기 덕을 쌓을 생각은 안 하고 자리를 탐하는 데만 앞서 있잖아요. 열심히 노력하다 보면 자리는 저절로 오는 건데요. 그런 실력 없이 자리만 탐하면 패가망신하는 지름길이죠. -40쪽

일을 하다가 벽이 나타났을 때 ‘벽이 나타났습니다. 안 됩니다’라고 하는 사람들을 제일 미워합니다.(웃음) ‘그 벽을 한번 뛰어넘어봐라, 아니면 옆으로 돌아가봐라, 아니면 땅을 파고 터널을 만들어라, 아니면 그냥 한번 밀어봐라’ 이렇게 얘기합니다. 탐정소설 루팡을 보면 비밀의 문이 있잖아요. 책장을 밀면 비밀의 문이 나오잖아요. 그러니까 밀어보라는 거죠.(웃음) 온갖 시도를 하다보면 안 되는 일은 없다, 그것이 저의 체험적 경험의 소산입니다.-73쪽

그런 것을 보면서 제가 느낀 것은 민주주의가 완성된 것도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루었다고 해도 영원히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미국의 어느 인권단체 정문에 가면 ‘자유는 영원한 감시의 대가다(Freedom is price of eternal vigilance)'라는 말이 있어요. 그 말이 다 이유가 있는 거죠. -172쪽

저는 끊임없이 정리하라고 말합니다. 사람을 만나면 책 쓰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데요. 누구나 자기 경험을 정리해놓으면, 그게 설사 부족하고 일부 잘못된 것이라 해도 그 다음 사람이 한 계단 딛고 올라갈 수 있잖아요. 그것을 지적하는 일은 쉬우니까.-140쪽

뭐든지 일을 꾸밀 때는 먼저 소문부터 내라고 하거든요. 그러면 자기도 끌려갈 수밖에 없어요. 인간은 누구나 약한 존재잖아요. 자기를 하나의 흐름 속에, 제도 속에 집어넣어버리는 것이 중요하더라고요.-161쪽

북한이 미국의 지원을 받으면 분명 그런 현상이 나타날 겁니다. 그래서 한국의 지원이 그냥 지원이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가 북한을 지원하게 되면 우리의 경제체제와 시스템으로 북한을 견인해낼 수 있다는 거죠. 그래서 이게 ‘퍼주기’가 절대 아니라는 건데요. 사람들이 그런 이면을 잘 모르는 거죠. 예컨대 일본의 전후 배상정책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됐습니다.-180쪽

우리 연구원들에게 ‘한 분야에서 1등부터 5등까지 (물론 그게 등수가 딱 매겨질 수 있는지는 잘 몰라도) 최고의 전문가들을 만나 심층 인터뷰를 해봐라. 인터뷰가 끝나면 당신이 1등이다. 당신이 최고의 전문가다’ 라고 얘기합니다. 이게 농담이 아닙니다. 1등은 절대 2등한테 안 물어보잖아요. 2등은 3등한테 안 물어봐요. 그러니 각자 자기 것만 알고 있는 거죠. 1등부터 5등한테까지, 모든 것을 듣고 나면 답이 딱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198쪽

저는 늘 ‘우리는 쫀쫀한 것을 좋아해야 된다, 술 먹고 큰소리치는 사람을 존경하고, 면 서기처럼 작은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비하하고, 그래서는 안 된다’고 얘기합니다. 대통령이나 장관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세운 정책을 실천하는 면 서기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사람의 몸이 머리뿐만 아니라 팔, 다리, 발 모두 소중하듯이, 그렇게 해서 우리가 치밀해질 수 있는 만큼 치밀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세해져야 합니다. 큰 틀에서 패기만만한 것도 중요하지만 미세한 부분을 그려내고, 고려하고,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작은 실수가 큰 것을 망칠 수 있어요. 저는 작은 결점이라도 발견되면 무조건 다시 해오라고 말합니다. 미세한 결점이 큰 틀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챙기길 요구합니다. -200쪽

제가 공무원들하고 일해보니까 무엇보다도 열정이 없어요. ‘멸사봉공滅私奉公’이라고 했는데 진정으로 국민과 시민을 위한 봉사정신이 느껴지지 않아요. 흔히들, 공무원들이 세 가지 타령을 한다고 해요. 법과 규정이 없어 못한다는 ‘법령 타령’, 예산이 없다는 ‘예산 타령’, 선례가 없다는 ‘선례 타령’인데요. 정부의 관료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거지요. 새로운 시대를 열려면 공직사회의 변화가 필수적입니다. -218쪽

저도 처음에는 비판받는 것에 적응이 안 돼서 분노하고 억울하고 그랬어요. 그렇게 비난받을 일을 한 것 같지 않은데 욕을 하시더라고요.(웃음) 누구에게나, 어떤 쪽이든 리더가 된다는 것은 비판도 함께 따르는 것 같아요. 아무리 잘해도 비판받을 요소는 있기 마련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은 비판이 없었나요. 비판 정도가 아니라 목숨까지 잃었잖아요. 관용하고 성찰하는 태도가 굉장한 덕목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269쪽

말도 안 되는 사람의 극단적인 얘기가 인구에 회자되도록 만든 게 문제라는 겁니다. 그런 얘기가 신문과 방송에서 버젓이 얘기되는 게 정상적인 사회는 아니라고 봅니다. 미국에서 그런 얘기를 하면 <뉴욕타임스>나 NBC나 ABC 방송에서 다루겠습니까. 정신 나간 사람의 얘기를 실어주겠어요? 그런 점을 지적했죠. 합리적이고 온건한 사람들의 얘기가 많이 나오고 그래야 합니다. 극좌가 됐든 극우가 됐든 터무니없는 얘기들이 회자되는 것은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라는 얘기를 했죠. -280쪽

노동부에서 나름대로 열심히 하는데요. 좌우간 모든 것은 정부가 앞장서면 잘 안 됩니다.(웃음) 정부는 민간이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유도하는 일을 해야 되는데요. 정부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이런 일은 할 수 있을 텐데, 정부가 모두 다해버리려고 해요. 갑자기 사회적 기업에 돈을 너무 많이 쏟아붓는 거예요. 부작용이 커질 겁니다. 뭐든지 자립성이 중요해요.-289쪽

‘이것은 누가 해도 되는 일인데 어떤 사람이 하면 안 되는 일이 있고, 이것은 누가 봐도 안 되는 일이고, 누가 해도 안 될 것 같은데 이뤄내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늘 그렇게 일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지 않은가’ 하는 것입니다.-340쪽

자신의 주체적인 기준과 가치와 인생의 목표가 없기 때문에 그런 건데요. 자기가 추구하는 가치가 확실하면 남하고 비교할 이유가 없죠.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거니까요. 우리는 그런 게 없으니까 늘 휩쓸려 다니는 거죠. 누가 좋은 집 사면 따라 하고, 차 사면 따라 사고, 유행에 따라 움직이는 부평초 같은 삶을 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요. 또 하나는 다양성에 대한 훈련입니다. 인생의 길이라는 것이 오색 무지개 같은 다양성이 있는데, 그것으로 인해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생각을 미처 못하는 거죠. 모두가 다 따라야 되는 가치가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데요. 인간의 삶은 다기多岐하고, 그 다기한 만큼 소중하고, 존중받아야 합니다. -390쪽

사람은 실수를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되거든요. 실수를 처음부터 안 할 생각을 하면 성공 못합니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은 실수를 기꺼이 용인하는 사람입니다. 마음속에서 완벽하게 짜놓고 말하려면 영어가 안 되거든요. 그 사이에 상황이 끝나버리기 때문에 그 말은 쓸 수가 없는 거죠. 말 한마디 못하게 됩니다. 인생에서 쓰고 고통스럽고, 젊은 시절에 실패한 삶들이 나중에 더 큰 성공을 가져다준다는 것은 삶의 철칙입니다. -393쪽

사상체계가 정립되고 나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현장을 먼저 가보라고 하고 싶어요. 일을 열심히 하다 보면 많은 경우에 정리가 됩니다. 책상머리에서 하는 정리는 사상누각이에요. 현장 속에서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허해질 수가 있는 가능성이 많습니다.-416쪽

미래를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하루하루 현재를 열심히 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축적이 미래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과거와 현재와 미래는 굉장히 다른 것 같지만, 하나로 통해 있어요. 제가 벌여놓은 일들을 잘 정리하고, 잘되도록 하는 것이 미래이기도 하지요. -4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