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도 없는 한밤에 ㅣ 밀리언셀러 클럽 142
스티븐 킹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9월
평점 :
<미스터 메르세데스>라는
작품으로 한차례 광풍이 휘몰아쳐 탐정 추리 소설계를 발칵 뒤집아 놓았다. 그 사건을 일으킨 장본인은 <캐리>, <샤이닝>,
<미스트> 등의 호러 소설 작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영화 <쇼생크 탈출>, <그린 마일>,
<미저리>을 통해 영화 팬들에게도 유명한 인물이다. 이미 눈치챘겠지만 이 사건의 주인공은 스티븐 킹이다.
강력한 허리케인에 정신 못 차리고 있는
독자들에게 후폭풍을 안겨줄 스티븐 킹의 중단편집이 출간되었다. <1922>, <빅 드라이버>, <공정한 거래>,
<행복한 결혼 생활> 이렇게 총 4편의 소설이 한 권의 책에 담겨 있다. '<별도 없는 한밤에>를 쓰면서 나는 어떤 절박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저지를지도 모르는 일, 또 그들이 선택할지도 모르는 행동 방식을 기록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등장인물들은 희망을 아예
잃어버린 사람들은 아니지만, 우리의 가장 간절한 희망조차도 때로는 물거품이 된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다.'라고 저자 후기에서 밝히고 있듯이
4편의 소설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최악의 절망과 삶의 나락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스티븐 킹의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이
하나같이 하는 얘기가 있다. 그의 소설을 읽고 있으면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묘사하는 재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호러라는 장르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써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그의 소설을 읽는 이로 하여금 소설 속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고 밖에 할 수 없을
듯하다.
<1922>는 전 재산인 땅을
팔아 그 돈으로 시골을 떠나 도시에 살고자 하는 아내를 살해하는 농부와 그의 아들에 대한 이야기다. '나'로 표현되는 농부를 통해 인간이
자신의 욕망으로 인한 광기로 추락하는 모습을 처절하게 보여준다. 아내를 죽이기로 한 대단한 결심과는 다르게 현실은 아내를 살해하는데 애먹는
장면은 한편의 코미디처럼 보인다. 무서운 공포 영화 가운데서도 코믹한 장면을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아내를 살해한 후 우물에 매장을 한
'나'는 그런대로 만족한다. 그러나 완벽한 살인이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기 위함인지 우물에 사는 쥐들에 의해 '나'의 살인 행각은
서서히 드러나고 그러면서 점점 나락으로 떨어지는 '나'의 모습이 그려진다.
<빅 드라이버>. 책에 실린 두
번째 작품인데 총 4편 중에 가장 재미있게 읽은 작품이다. 줄거리를 간략히 요약하면 나름 유명한 여류 작가가 다른 유명한 작가의 강연 펑크를
대신 때우게 된다.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강연을 마친 주인공은 강연 초대자의 알려주는 지름길을 통해 집으로 향하다 타이어가 펑크가 나는 바람에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만다. 그러던 중에 낯선 트럭이 다가오고 도움을 요청하는데 트럭 운전자로부터 성폭력을 당한다. 간신히 위기에서
벗어난 그녀는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스스로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떠오른 영화가 있다.
이병헌, 최민식 주연의 <악마를 보았다>라는 영화다. 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경우가 비슷하고 그로 인해 처절한 복수극이 시작된다는
시놉시스가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와서 그랬던 것 같다. 자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미저리>와도 비슷한 장면을 보여준다. 특히,
작품의 도입부는 <미저리>를 보는 듯하다.
이 작품은 여성이 범죄의 피해자 특히
성폭력 피해자가 되었을 때 갖게 되는 내면의 심리는 극명하게 잘 표현한 듯하다.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일어나는 범죄가 바로 성폭력인데 반해 실제
신고되는 사건은 그리 많지 않다. 그것은 작품의 여주인공처럼 '세상에 알려 가해자를 처벌할 것인가 또는 자신의 명예를 지킬 것인가'하는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스티븐 킹은 그런 기로에 놓인 여성의 심리 묘사를 아주 세밀하게 표현한 듯하다. 그에겐 인간 심리를 꿰뚫어보는 남다른
식스센스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악막의 거래라는 익히 봐온 소재를 바탕으로
죽음을 앞둔 이가 자신의 목숨 연장을 위해 오랜 친구를 파멸로 몰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공정한 거래>. 제목만 봐서는 반대의
이야기가 펼쳐질 거라 생각하기 쉽지 않다. 스티븐 킹이 말하는 진짜 '공정한 거래'란 무엇일까.
어느 날 남편의 과거를 알게 된 한
여인. 그녀가 사랑한 남자는 결혼 전까지 무참히 살인을 일삼던 연쇄 살인마였다. 진실 앞에 놓인 행복했던 부부에겐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까.
만약 당신의 아내 또는 남편이 과거 무서운 범죄자였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그런데 그 사람이 자신과의 결혼 후 180도 새사람이 되었다면? 그
사실을 알기 전까진 누구보다 가족을 위하는 사람이었다면? 앞으로 절대 예전과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고백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길을 걸을 때 중력이 자신을 땅에 붙들어 줄 것'처럼 절대 의심하지 않았던 행복. 그 행복을 위해 새로 알게 된 사실을 무시한 채
살아갈 수 있을까? 글쎄. 쉽지 않은 결정이다. 마지막 작품인 <행복한 결혼 생활>이 우리에게 던지는 화두다.
총 4편의 중단편 소설들을 읽으면서 역시
스티븐 킹이구나를 새삼 실감했다. 이상하게 현재의 그를 있게 한 작품들은 모두 중편 혹은 단편인 경우가 많았다. 물론 개중에는 장편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그러하다. 그의 주특기인 인간의 심리묘사를 탁월하게 그려내는데 중단편이 가장 적절했던 걸까. 그의 소설을 읽는 우리에게 그건 그리
중요치 않다. 우리에겐 그가 살아생전 좀 더 많은 훌륭한 작품을 그저 세상에 내놓아주기만을 바랄 뿐이다. 중단편 소설을 보아 한편의 옴니버스
형식의 영화로 만들어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여 흥행한 영화 못지않게 멋진 영화가 되지 않을까 싶다.